$\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간 의료기관에서 보건교육사의 활동 영역과 능력 개발
The Roles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in Private Health Care Setting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7 no.2, 2010년, pp.37 - 48  

김영복 (대구대학교 건강증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n health care setting, patient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services are inexpensive and effective initiatives to change health behavior due to use medical service resources and personnel. This study performed to define the responsibilities and competencies of health education speci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변화하는 보건의료 환경 속에서 포괄적 보건의료서비스를 추구하는 민간 의료기관 내의 보건 교육사의 활동 영역을 파악하고, 의료기관에서 요구하는 특화된 필요 능력을 분석함으로써 의료기관에서의 보건교 육사의 책임과 능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민간 의료기관의 보건교육·건강증진 서비스 영역을 살펴보고, 둘째, 병원중심의 보건교육·건강증진 서비스 제공에 관한 선진 사례를 검토하여 의료기관에서의 활동 가능한 영역을 파악한다.
  • 이를 위해 첫째, 민간 의료기관의 보건교육·건강증진 서비스 영역을 살펴보고, 둘째, 병원중심의 보건교육·건강증진 서비스 제공에 관한 선진 사례를 검토하여 의료기관에서의 활동 가능한 영역을 파악한다. 셋째, 의료기관에서의 보건교육 전문 인력의 역할과 필요 능력을 외국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넷째, 우리나라 민간 의료기관에서의 보건교육사의 책임과 능력을 제안함으로써 민간의료기관에서의 보건교육사 역할 정립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이러한 의료기관 내에서의 특화된 보건교육사의 업무룰 체계적으로 제시한 단체가 미국 보건교육사인증협의회 (NCHEC)이다. <표 5>와 같이 보건교육사의 기본 능력에 기초하여 의료기관에서의 특화된 책임과 능력을 제시하였다. 의료기관 내에서의 주요 대상을 응급실 환자, 수술환자, 외래환자 등으로 구분하여 보건의료정보의 분석, 보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전략·중재·수행·평가·관리, 정보 관리및 제공, 상담 및 홍보, 전문성 향상 등의 영역으로 특화된 책임과 능력을 세분화하였고, 보건의료조직의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한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포함하였다(NCHEC, 1999, 2000).
  • 이와 같은 필요 능력을 기초로 하여 의료기관에서의 특화된 능력을 구체화하면, <표 6>과 같다. 의료기관에서 요구하는 필요 능력과 보건교육사의 기본 능력을 결합하여 대상 및 접근방안별로 구체화된 책임과 능력을 제시하고자 한다. 비록 우리나라의 민간 의료기관이 아직까지 포괄 적인 서비스 제공에 소극적이나, 향후 발전적 동향을 고려할 때 보건교육사가 의료기관에서 특화된 업무를 수행할수 있도록 의료기관에서의 책임과 능력을 제안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중심의 보건교육·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유형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병원중심의 보건교육·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유형은 크게 직접 서비스 제공형, 보험자와의 결합형, 외부자원과의 연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직접 서비스 제공형은 유럽의 건강증진병원(Health Promoting Hospitals and Health Services, HPH), 보험자와의 결합형은 미국의 지역사회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혁신병원 (Innovators of Community Health Promotion), 외부자원과의 연계형은 호주의 일차진료의 중심의 SNAP(Smoking, Nutrition, Alcohol, Physical Activity) Program을 대표적인 사례로 살펴보고자 한다.
건강검진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 검진 행정에 관한 담당 인력의 전문성이 제고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처럼 건강증진 서비스의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검진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 검진 행정에 관한 담당 인력의 전문성이 제고되고 있다. 이는 의료기관에서 과학적 근거 하에 체계적인 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건강검진 및 행정의 질 개선이 선행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영국은 이미 건강검진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을 수행하고 있다.
의료기관이란 무엇인가? 의료기관은 의료법 제3조에 의거하여 의료인이 공중 또는 특정 다수인을 위하여 의료·조산의 업을 하는 곳으로, 의료기관은 의원급 의료기관(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조산원, 병원급 의료기관(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요양병원, 종합병원)으로 구분된다.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에는 국민건강보험법 제39조에 의거한 질병, 부상, 출산 등에 관한 요양급여로서 진찰·검사, 약제·치료재료의 지급, 처치·수술 기타의 치료, 예방·재활, 입원, 간호, 이송 등이 포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국민건강보험공단. 2010년도 건강검진실시안내. 2010. 

  2. 국민건강보험공단. 2010 건강검진 업무처리요령. 2010. 

  3. 기획재정부 등. 경제난국 극복 및 성장기반 확충을 위한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민관합동회의. 2009. 5. 8. pp.162-3. 

  4. 김광기, 김건엽, 김영복, 김혜경, 박경옥, 박천만, 이무식 (2008). 보건교육사 제도 정립의 방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5(2):73-89. 

  5. 문정주, 이승은, 황은정, 김성규, 서지우, 이흥훈. 공공병원의 공공보건의료사업 교육 계획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보건산업진흥원.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7. 

  6. 박용문, 이원철, 임현우, 정혜선 등. 생활습관병 조기검진 및 사후관리를 연계한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모형개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6. 

  7. 법제처. 건강검진기본법. 2010. 

  8. 법제처. 의료법. 2010. 

  9. 법제처. 국민건강증진법. 2010. 

  10. 보건교육사자격관리사무국. 보건교육 업무 경력. 2010. http://www.khe.or.kr. 

  11. 보건복지가족부. 일자리, 기회, 배려를 위한 능동적인 복지 2008년 계획. 2008. 

  12. 보건복지가족부. 2008 보건복지가족백서. 2009. 

  13. 보건복지가족부. 의료서비스산업 선진화 추진 과제 확정. 2009. 5. 8. 보도자료. 

  14. 보건복지부. 병원중심의 건강증진 활성화방안 연구. 연세대학교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2001. 

  15. 이애경, 고민정, 한준태, 오상우, 서순려.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사업의 평가연구. 연구보고서 2008-07. 국민건강보험공단. 2008. 

  16. 이윤태. 외국의 건강관리서비스 현황과 사례. 한국에서 건강관리서비스의 필요성과 외국의 현황. 건강관리서비스 심포지움. 한국보건산업진흥원.보건복지가족부. 서울. 2008. 10. 1. 

  17. 이원철, 이순영, 이경재, 임현우 등. 국가 검진 후 지속적 관리를 위한 지역사회 사후관리체계 구축방안. 가톨릭대학교.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7. 

  18. 임은실, 김영복, 고민정, 이정석. 보험자 건강증진사업 모형개발. 2009. 

  19. 유재희, 이선영, 홍아름. 이강숙. 의료기관에서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산업보건 2008;6:17-23. 

  20. 조우현, 김지윤, 이선미, 김희태, 장영화, 이은하, 박성은. 지방의료원의 건강증진사업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7. 

  21. 조우현, 이순영, 강명근, 송미숙. 병원중심의 건강증진 활성화 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보건복지부. 2001. 

  22. 청와대. 100대 국정과제. 2010. http://www.president.go.kr/policy/task/100.php 

  23. Bureau of Labor Statistics, U.S. Department of Labor. 2010. http://www.bls.gov 

  24. Good Health Solutions. 2010. http://www.goodhealthsolutions.com.au. 

  25. Gilmore GD, Olsen LK, Taub A, Connell D. Overview of the National Educator Competencies Update Project, 1998-2004. Health Education & Behavior 2005;32(6):725-737. 

  26. Groene O. Implementing Health Promotion in Hospitals: Manual and Self-Assessment Forms.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Copenhagen. 2006. http://www.euro.who.int. 

  27. Kaiser Permanente. 2010. http://www.kaiserpermanente.org. 

  28. Kathleen M. Lux, Health Education Roles, Job Prospects and Evidence into Practice in the United States, 2009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연제집, 2009. 

  29. McKenzie JF, Smeltzer JL.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3rd ed. MA: Allyn and Bacon Publication. 2001. 

  30. Oracle. Healthcare Career Information, Health Educator. 2010. http://library.thinkquest.org/15569/car1bch2.html 

  31. Spero CI, Sol N. Health Promotion Indicators and Actions, Health Promotion in Hospital. NY: Splingers. 1989. 

  32. The National Commission for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 2001-2004 National Task Force on Accreditation in Health Education. The National Commission for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 Inc. 2009. 

  33. The National Commission for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 The Health Education Specialist: A Study Guide for Professional Competence. The National Commission for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 Inc. 2000. 

  34. The National Commission for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 A Competency-Based Framwork for Graduate-Level Heath Educators. The National Commission for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 Inc. 1999. 

  35. The UK National Screening Committee. UK NSC Education Strategy Program. 2010. 

  36. UPMC Health Plan. 2010. http://www.upmchealthplan.com. 

  37.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 Promotion Hospitals and Health Services (HPH) Document 2006. 2010. http://www.who-cc.dk/library/hph-reports-and-documents 

  38. World Health Organization. Standards for Health Promotion in Hospitals. World Health Organization Europe. 2004. 

  39.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venting Chronic Disease: A Vital Investment. 2005. http://www.who.int/chp/chronic_disease_report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