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스템사고로 본 압축도시의 공간적 특성과 지속가능성과의 동태적 관계
System Thinking Perspective on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mpact City and Urban Sustainability 원문보기

한국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11 no.2, 2010년, pp.5 - 28  

김리영 (중앙대학교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  문태훈 (중앙대학교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mpact city and urban sustainabiliy from system dynamics perspective using causal loop analysis. It has been argued that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mpact city, high population density and mixed land use, are 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절에서는 압축도시의 공간적 특성과 사회적지속가능성, 경제적지속가능성, 환경적지속가능성 등이 어떤 동태적관계에 있는지를 부문별로 검토한다.
  • 이러한 맥락속에서 이 연구는 압축도시의 공간적 특성과 도시의 지속가능성과의 관계에 대한 상반되는 연구결과들을 시스템사고의 관점에서 검토하여 이론적 쟁점을 보다 명확히하고, 후속적인 시스템다이내믹스 시뮬레이션의 연구를 위한 기초작업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은 압축도시의 공간적특성이 지속가능성의 세가지 측면, 경제성, 사회성, 환경성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들에 대한 이론과 연구결과들을 인과지도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속가능한 발전은 기존의 경제성장 위주의 양적 성장에 대한 반성을 기저로, 환경성 ․ 경제성 ․ 사회성을 고려한 조화로운 발전을 지향하는 것이다.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도시가 자원의 소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지역일 뿐 아니라 오랫 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함께 어우러져 만들어 놓은 공간이며, 미래세대가 살아가게 될 중요한 삶의 터전이기 때문이다.
지속가능한 발전이란 무엇인가? 지속가능한 발전은 현 세대와 미래세대 모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회, 경제, 환경적 측면에서의 조화로운 발전을 의미한다. 지속가능한 발전은 기존의 경제성장 위주의 양적 성장에 대한 반성을 기저로, 환경성 ․ 경제성 ․ 사회성을 고려한 조화로운 발전을 지향하는 것이다.
고밀과 혼합토지이용을 지향하는 압축도시의 공간적 특성이 저밀의 분산도시에 비교하여 지속가능성에 바람직한 도시공간구조로 제시되는 이유는? 고밀과 혼합토지이용을 지향하는 압축도시의 공간적 특성이 저밀의 분산도시에 비교하여 지속가능성에 바람직한 도시공간구조로 제시되는 것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고밀개발과 혼합토지이용을 통해 압축적인 도시공간구조를 만들게 되면 공공시설 및 교통시설에 접근성이 높아진다. 접근성의 증가는 친환경적 교통수단의 의존도를 높이고, 에너지소비와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감소되어 환경적으로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또한, 도시내부를 개발함으로써 도시의 무분별한 외연적 확산을 막아 도심쇠퇴를 방지할 수 있고, 주민간의 접촉기회가 늘어나게 되어 사회계층간 통합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도 제시된다. 고밀의 압축도시는 도시확산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경제, 사회, 환경적 문제를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이라는 것이다(Jacobs, 1961; RERC's, 1974, Rickaby, 1987, Newman and Kenworthy, 1989; CEC, 1990; Elkin et al, 1991; McLalen, 1992; Duncan, 1989; Frank, 1989; Bainster, 1992; Downing, 1997; Breheny, 1997, Taniguchi, 2003; Jonthan Norman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김도훈, 문태훈,김동환(1999). 시스템다이내믹스, 대영문화사 

  2. 김동환(2000). 김대중 대통령의 시스템사고, 집문당, 아산재단연구총서, 제64집. 

  3. 김동환(2007). 부동산 정책에 관한 시스템사고의 교훈,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제8권1호. 187-209. 

  4. 김동환(2009). 녹색성장에 관한 이명박 대통령의 인지지도 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제10권, 제4호, 39-51. 

  5. 김선희, 정일호, 김성수, 정진규(2003). 자원절약적 국토발전방안 연구 : 국토.도시공간구조와 교통에너지소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6. 김승남, 이경환, 안건혁(2009). 압축도시 공간구조 특성이 교통에너지 소비와 대기오염 농도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제44권, 제2호, pp.231-246. 

  7. 김판석, 사득환(1999).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이해와 개념 정립, 한국정치학회보, 제32권, 제4호, pp.71-88. 

  8. 남기찬, 김홍석, 손민수(2008). 인구압축도와 교통에너지와의 관계 연구: 압축지표를 활용하여, 국토계획, 제43권, 제2호, 155-168. 

  9. 문태훈(2007). 시스템사고로 본 지속가능한도시, 집문당, 아산재단연구총서, 제245집. 

  10. 서혜미, 문태훈(2010). 녹색성장 프로그램의 성공요인 연구, 환경정책, 제18권, 제1호, pp.53-74. 

  11. 송기욱, 남진(2009). 압축형 도시특성요소가 교통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국토계획, 제44권, 제5호, pp.193-206. 

  12. 송미령(2003). 도시공간구조와 통근통행에 관한 연구 서울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3. 심교언(2001). 도시의 규모 및 밀도와 중심지 분포패턴이 교통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안건혁(2000). 도시형태와 에너지활용과의 관계 연구, 국토계획, 제35권, pp.9-17, 

  15. 전명진(1995). 다핵도시공간구조하에서의 통근행태, 국토계획, 제30권, 제2호, pp.223-236. 

  16. 조윤애, 김경환(2008). 도시개발 밀도가 에너지 효율성에 미친 영향, 한국정책학회보, 제17권, 제4호, pp.113-134. 

  17. 조윤애(2009). 압축도시와 교통에너지소비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 19권, 제4호, pp.113-132. 

  18. 최열, 문설희, 임하경(2007). 도시특성 요소가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2권, 제3호, pp.191-201. 

  19. 하성규, 김재익(1992). 주거지와 직장의 불일치 현상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27권, 제1호, pp.51-71. 

  20. 하성규, 김재익, 전명진(1995). 대도시공간구조 변화패턴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0권, 제5호, pp.141-152. 

  21. 하성규, 김재익, 전명진, 문태훈(2007). 지속가능한 도시개발론, 보성각. 

  22. 황기연, 조용학(2005). 도심고밀개발 전략의 교통영향분석, 국토계획, 제40권, 제3호, pp.91-105. 

  23. Ancell, S. and Michelle, T. F. 2008. The social sustainability of medium density housing: a conceptual model and Christchurch case study. Housing Studies. Vol.23(3):423-441. 

  24. Banister, D. 1992. Energy use, transport and settlement patterns, in: M. Breheny (E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rban Form, London: Pion. 

  25. Batty, S. 2006. Paradox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 Property and participation, Property Management. Vol.24:207-218. 

  26. Breheny, M. 1992. The contradictions of the compact city, in M. Breheny (E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rban form, Pion Limited. London. 

  27. Breheny, M. 1995. The compact city and transport energy consumption.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Vol.20:81-101. 

  28. Breheny, M. 1997. Urban compaction: feasible and acceptable?. Cities. Vol.14:209-217. 

  29. Bunker, R. 1985. Urban consolidation and Australian cities". Built Environment. Vol.11:83-96. 

  30. Bunker, R. 2005. Building the Connection Between Housing Needs and Metropolitan Planning in Sydney, Australia, Housing Studies. Vol.20(5):771-794. 

  31. Burchell, R. W. and Mukherji, S. 2003. Conventional Development Versus Managed Growth: The Costs of Sprawl.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91(9); 1534-1540.1 

  32. Burton, E. 2000. The compact city: Just or just compact? A preliminary analysis., Urban Studies. Vol.37(11):1969-2001. 

  33. Burton, E. 2003. Housing for Urban Renaissance : Implication for Social Equity, Housing Studies. Vol.18(4):537-562. 

  34. Carruthers, J. I. and Ulfarsson, G.F. 2003. Urban sprawl and the cost of the public service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Vol.30:503-522. 

  35. Carter, K. and Fortune, C. 2007. Sustainable development policy perceptions and practice in the UK social housing sector, Construction Management & Economics. Vol.25:399-408. 

  36. Chiu, L. H. 2000.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Hong Kong's Housing System and the Housing Process Model, International Planning Studies. Vol.5(1):45-64. 

  37. Chiu, L. H. 2002. Social Equity in Housing in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Sustainable Development. Vol.10:155-162. 

  38. Engelke, P. 2001. The Built Environment and Human Activity Patterns: Exploring the Impacts of Urban Form on Public Health. Journal of Planning Literature. Vol.16(2):202-218. 

  39. Galster, G., Hanson, R., Ratcliffe, M.R., Wolman, H., Coleman, S., and Freihage, J. 2001. Wrestling sprawl to the ground: Defining and measuring an elusive concept. Housing Policy Debate 12(4): 681-717. 

  40. Garcia, D. and Riera. P. 2003. Expansion versus density in Barcelona: A valuation exercise. Urban Studies. Vol.40(10):1925-36. 

  41. Gordon, P., and Richardson, H. W. 1997. Are compact cities a desirable planning goal?.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63:95-105. 

  42. Handy, S., M. Boarnet, R. Ewing. and R. Killingsworth. 2002. How the built environment affects physical activity: Views from urban planning. American Journal of Preventative Medicine. Vol.23: 64-73. 

  43. Hirt, S. 2007. The Compact versus the Dispersed City: History of Planning Ideas on Sofia's Urban Form, Journal of Planning History. Vol.6:138-165. 

  44. Holden, E. and Norland, I. T. 2005. Three Challenges for the Compact City as a Sustainable Urban Form: Household Consumption of Energy and Transport in Eight Residential Areas in the Greater Oslo Region. Urban Studies. Vol.42:2145-2166. 

  45. Jenks, M. and R. Burgess, 2000. Compact cities: Sustainable urban forms for developing countries, London: E. & F.N. Spon. 

  46. Jenks, M., Burton, E. and Williams, K. 2002. The Compact City: A Sustainable Urban Form?. Spon E & F N. 

  47. Lin, J. J. and Yang, A. T. 2006. Does the compact-city paradigm foster sustainability? An empirical study in Taiwan.,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Vol.33:365-380. 

  48. McCarthy, J. 2002. Social Justice Equity And Housing: A New Agenda For Scotland?, Sustainable Development, Vol.10:163-170. 

  49. Neuman, M. 2005. The Compact City Fallacy,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Vol.25:11-26. 

  50. Newman, P. W. G. and Kenworthy. 1991. Transport and Urban Form in Thirty Two of the World's Principle Cities, Transport Reviews, Vol.1:249-272. 

  51. Randolph, B. 2006. Delivering the Compact City in Australia: Current Trends and Future Implications". Urban Policy and Research. Vol.24(4):473-490. 

  52. Stone, B., Mednick, A. C., Holloway, T. and Spak, S. N. 2007. Is Compact Growth Good for Air Quality?".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73(4):404-418. 

  53. Sturm, R. and Cohen, D. 2004. Suburban sprawl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Public Health. 118:488-496. 

  54. Thinh, N.X., Arlt, G., Heber, B., Hennersdorf, J. and Lehmann, I. 2002 Evaluation of urban land-use structures with a view to 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Vol.22:475- 492. 

  55. Van Der Waals, J.F.M. 2000. The compact city and the environment: a review. Tijdschrift voor Economische en Sociale Geografie, Journal of Economic & Social Geography, Vol.91:111-121. 

  56. Whitehead, P. and Williams, J. Yates. 2006. Involving the Private Sector in Affordable Housing Provision: Can Australia Learn from the United Kingdom?, Urban Policy and Research. Vol.24:307-323. 

  57. Wirth, L. 1938. Urbanism as a way of lif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44(1):1?24 

  58. Yang, Y. 2008. A Tale of Two Cities : Physical Form and Neighborhood Satisfaction in Metropolitan Portland and Charlott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74. 

  59. Zhang, M. 2004. The role of land use in travel mode Choice : Evidence from Boston and Hong Ko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70:344-3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