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Jung)의 원형론의 관점에서 본 궁궐 수공간의 상징성 - 공간구조와 디테일에 나타난 상징의미를 중심으로 -
An Interpretation of Symbols in Water Gardens of Old Palaces - Based on the Archetype Theory of Jung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28 no.3, 2010년, pp.60 - 71  

윤미방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김한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융은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을 통합하여 자신의 전체성을 이루는 것이 곧 자기정체성을 갖는 것이라 했는데, '전체성' 즉 자기중심의 균형을 갖게 하는 능력이 원형의 기능이다. 원형은 각 문화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상징으로 표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다른 문화권에 조성된 정원들을 분석하여 각각의 정원에 내재된 관념이 궁극적으로 인간의 정체성을 이루고자 하는 원형의 기능을 갖는지를 검토하고, 이에 따른 원형의 표상이 문화권에 따라 어떻게 정원에서 표현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대상지를 각 문화의 특성이 뚜렷이 구별될 수 있는 동양문화의 창덕궁 부용지(芙蓉池), 이슬람문화의 알람브라궁 사자의 정원, 서양문화의 베르사유궁 아폴로 분수로 선정하여, 각 정원을 분석한 결과 세 개의 정원 모두 자기중심 조절기능의 '균형 조화'와 인간을 보호하는 '수호신' 그리고 영생을 의미하는 '생명과 창조'의 원형을 갖고 있음이 드러났다. 부용지는 음양사상을 내재한 방지원도의 형태로, 사자의 정원은 이슬람 천국의 네 개의 강을 상징하는 십자형 수로와 에덴동산 물줄기를 상징하는 수반이 중심과 4분(分)의 형태로, 그리고 아폴로 분수는 태양이 가진 생명력의 상징이 원형(圓形)과 4각형이 중첩된 연못의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모두 자기중심의 균형과 조화의 원형이 만다라의 형상으로 나타나고 아울러 생명의 우주론적 사상이 내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각 정원에 내재한 관념은 모두 공통적인 원형을 갖고 있고, 이를 조성한 공간적 성격 역시 물을 주제로 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각 정원이 뚜렷하게 서로 다른 독특한 외형적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은 정원에 내재된 관념이 각 문화에 따라 고유한 사상으로 분화되고 이를 표현하는 공간구조와 디테일이 그들 문화에 따라 고유의 장소정체성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원형이 각 문화에 따른 관념을 통해 그 상징성을 드러냈고, 상징은 공간구조와 디테일에 의해 각 문화의 정체성을 표현했으며, 원형이 발현된 정원은 인간의 정신적인 균형을 갖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unified examination of apparently quite different gardens in terms of Carl Jung's psychological concepts such as Archetypes, Individualization, and a natural tendency towards balance or wholeness. In Jung's psychological framework, Archetypes are innate, un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페르소나란 무엇인가? 무의식이 바다라면 의식은 그 가운데 떠 있는 작은 섬과 같고, 의식의 중심에 해당되는 것이 자아(Ich, Ego)이다. 인간의 자아는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에 부응하는 가치와 태도를 습득하며, 그사회에 적합하지 않는 자신의 열등한 부분3)을 무의식에 감추어 사회생활에 긍정적인 요소만을 드러내려고 하는데, 융은 이것을 인간의 가면, 즉 페르소나(persona)라고 부른다(융, 2008: 127; 진교훈, 2007: 307-308). 자아, 즉 의식에 포함되지 못한 비사회적인 내용들은 의식(페르소나)에 가려진 그림자(shadow)가 된다.
무의식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인간의 정신은 의식과 무의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무의식은 개인적 무의식과 집단적 무의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의식이 바다라면 의식은 그 가운데 떠 있는 작은 섬과 같고, 의식의 중심에 해당되는 것이 자아(Ich, Ego)이다.
남성성과 여성성은 각자 어떤 역할을 가지고 있는가? 원형은 ‘근원적이면서 보이지 않는 의식의 뿌리’로서 항상 보호하고 치유하는 상으로 표현되어 자기 안에 있는 페르소나와 그림자를 통합하고 남성성과 여성성을 조절하여 균형을 이루고자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이부영, 2009: 113). 남성성은 우리를 미래지향적이며 진취적이고 규범적인 요소와 관련시키고, 여성성은 사람이나 사물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막연한 미래보다는 현재적 삶을 중시하여 안정성, 불변성의 토대를 마련 한다. 남성성과 여성성을 성적인 범주가 아니라 이러한 본질의 의미에서 이해하고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이 두 가지 본질을 통합시켜 균형 이룬 삶을 추구해야 하는 것이다(진교훈, 2007: 3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구미래(1992). 한국인의 상징세계. 서울: 교보문고. 

  2. 김연희(2007). 조지 발란신의 아폴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윤돌(2008). 우리 궁궐 산책. 서울: 도서출판 이비컴. 

  4. 이규목(1988). 도시와 상징. 서울: 일지사. 

  5. 이부영(2009). 분석심리학. 서울: 일조각. 

  6. 이상석(2006). 조경디테일. 파주: 도서출판 조경. 

  7. 이윤기 역(1996). 인간과 상징. Jung. C. G., Man and His Symbols. 서울: 도서출판 열린책들. 

  8. 이재실 역(1998). 이미지와 상징. Eliade Mircea, Images et Symboles. 서울: 까치글방. 

  9. 정재서, 전수용, 송기정(2008). 신화적 상상력과 문화.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0. 정재훈(1996). 조선대의 조경-궁궐조경, 동양조경사. 서울: 문운당, pp. 105-175. 

  11. 진교훈(2007). 인격.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2. 진상철(2007). 시문과 기문을 통해 본 창덕궁 원유의 유락행태와 경관. 오늘, 옛 경관을 다시 읽다. 파주: 도서출판 조경. 

  13. 최기수(2008). 신화의 측면으로 본 정원의 조성 의미.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38-48. 

  14. 최재훈(2009). 안달루시아와 이슬람 건축, 지중해 조형예술. 파주: 이담. pp.285-314. 

  15. 한국융연구원 C. G. 융 저작 번역위원회(2002a). 원형과 무의식. Jung. C. G., Archetyp und Unbewu $\beta$ tes. 서울: 솔출판사. 

  16. 한국융연구원 C. G. 융 저작 번역위원회(2002b). 상징과 리비도. Jung. C. G., Symbol und Libido. 서울: 솔출판사. 

  17. 한국융연구원 C. G. 융 저작 번역위원회(2008). 인간의 상과 신의 상. Jung. C. G., Menschenbild und Gottesbild. 서울: 솔출판사. 

  18. 한국조경학회(1996). 동양조경사. 서울: 문운당. 

  19. 홍순석, 정연학, 최은수, 천진기, 박호원(2001). 전통문화와 상징. 용인: 강남대학교 출판부. 

  20. Cadwell, Michael(2007). Strange Details. Cambridge: The MIT Press. 

  21. Francis, Mark and Hester Randolph T.(1990). The Meaning of Gardens. London: The MIT Press. 

  22. Garrett Bauman, M.(1992). Ideas and Details. Orlando: Harcourt College Publishers. 

  23. Hattstein, Markus and Peter Delius(2004). Islam: Art and Architecture. Koln: Konemann. 

  24. Hoog, Simone and Meyer Daniel(1995). Versailles. Art Lys Publishing. 

  25. Kirkwood Niall, G.(1999). The Art of Landscape Detail.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Inc. 

  26. McLeod, Virginia(2008). Detail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London: Laurence King Publishing Ltd. 

  27. Norberg-Schulz, Christian(1996). The Phenomenon of Place. Theorizing a New Agenda for Architecture.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8. Neil, Parkyn(2000). Wonders of World Architecture. Thames & Hudson. 

  29. Ogrin, Dusan(1993). The World Heritage of Gardens. New York: Thames and Hudson Inc. 

  30. Pinder, Angi and Alan(1990). Beazley's Design and Detail of the Space between Buildings. London: E. and F. N. Spon. 

  31. Ruggles, D. Fairchild(2000). Gardens, Landscape and Vision in the Palaces of Islamic Spain. University Park, Pa.: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32. Schinz, Marina(1985). Visions of Paradise. New York: Stewart, Tabori & Chang,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