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계천 수표교(水標橋)의 경관 향상을 위한 진단학적(診斷學的) 훼손상태 분석
Analysis on the Damage Status by Diagnostical Methodology for the Improvement Landscape on the Supyo-bridge at Chunggae-stream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28 no.3, 2010년, pp.105 - 113  

안진성 (제노바 국립대학 건축학과) ,  최아현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김유일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통공간에 대한 보존계획에 있어서, 대상물의 가치평가를 위하여 수행되는 훼손상태조사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전통공간에 위치해 있는 전통 건조물의 보존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체계화하고 있는 전문가 집단에서 가치평가의 주된 요소로써 대상물의 훼손상태는 어떠한 과정과 방법에 의해서 분석될 수 있는가? 에 대한 과정과 방법론에 관한 실험적인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 '진단학(Diagnostic)'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표교에 대한 물리적 특성과 대상지 환경여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행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그 특성상 수표교의 훼손상태를 기록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훼손상태 분포도는 사진측량 기법을 적용한 실측도면을 활용하였고, 대상물의 훼손상태를 조사하기 위한 '평가지침'은 이탈리아 정부의 건축문화재 관리지침이라 할 수 있는 'Raccomandazioni Normal'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접근은 국외 건축문화재의 훼손상태 조사에 사용되는 표준지침의 국내 문화재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실험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졌음을 밝혀둔다. 그 결과, 수표교의 각 부분별 훼손상태는 침전물에 의한 훼손과 부식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부식을 비롯한 9가지의 훼손유형의 경우에는 그 구성성분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분포상태를 고려할 때, 수표교의 안전성과 관련하여 위협적인 요소로는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반면에, 경관 향상을 위하여 상판마루와 멍에석, 그리고 교각부분에서 관찰되는 'Thermoclastism(열전화)' 현상의 경우, 교각을 중심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훼손부위의 제거와 함께 표면강화 작업의 조속한 처리가 요구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for the preservation plan of the tradition space which is performed by the damage status analysis through performing the value assessment. Especially, it is an experimental study for finding the process and methods by analyzing the major element for the value assessment of the sele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논문의 전개와 내용구성 중 경관 향상측면에 있어서는 다소 부족한 부분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전통 기념물에 대한 보존처리 자체가 대상 기념물의 경관 향상이 주된 목적으로 수행되며, 이를 위한 조정과정(調整科程)으로서 대상물에 대한 훼손상태의 원인을 규명하고 그에 따른 물리적인 보존처리 기법에 대한 해결책 모색이 필수적인 과정임을 고려할 때, 본 연구를 출발점으로 하여, 보다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는 의도에서 시도되었다. 이에 적지 않은 연구의 내용적 한계도 포함되겠으나, 향후 이와 관련한 후속연구들을 기대하는 측면에서 처음 시도하였기에 이해를 구하고자 한다.
  • 그리고, 이에 대한 간접적인 해결책으로서 외부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현재 수표교 하부를 가로지르는 계류(溪流)의 수량(水量)을 확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상징적인 측면에서 수표교의 교량(橋梁)으로서의 기능 회복과 그에 따른 경관 향상, 그리고 화강석의 물성(物性) 보호차원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전통공간에 대한 보존계획과 설계에 있어서, 대상물의 가치평가를 위하여 수행되는 진단학을 적용한 훼손상태분석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진행되었다. 특히, 전통공간에 대한 보존계획 시, 보다 구체적인 보존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분석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일련의 선진기법을 국내사례에 적용한 실험적인 측면에서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전통공간의 경관 향상을 위하여 전개되는 전통공간의 보존 또는 복원 계획과 설계에 있어서, 전통공간의 주된 구성요소인 전통 기념물의 가치평가를 위하여 수행되는 진단학적(診斷學的) 조사방법을 적용한 ‘훼손상태분석1)’에 대한 연구이다(안진성, 2007: 106).
  • 그러나, 전통 기념물에 대한 보존처리 자체가 대상 기념물의 경관 향상이 주된 목적으로 수행되며, 이를 위한 조정과정(調整科程)으로서 대상물에 대한 훼손상태의 원인을 규명하고 그에 따른 물리적인 보존처리 기법에 대한 해결책 모색이 필수적인 과정임을 고려할 때, 본 연구를 출발점으로 하여, 보다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는 의도에서 시도되었다. 이에 적지 않은 연구의 내용적 한계도 포함되겠으나, 향후 이와 관련한 후속연구들을 기대하는 측면에서 처음 시도하였기에 이해를 구하고자 한다.
  • 이러한 연구접근은 국외 건축문화재의 훼손상태 조사에 사용되는 표준지침의 국내 문화재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실험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며, 전통공간의 보존을 위해 적용되는 조정기법(調整技法)의 일부과정을 국내사례에 적용, 소개하는 것 자체도 연구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전통공간의 역사성 회복 및 경관 향상을 위하여 요구되는 기념 건조물의 보존(保存) 및 복원(復原)에 대한 원칙과 기준, 그에 따른 조사방법론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미흡한 국내여건을 고려할 때(김영모, 2007: 73), 이를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조사방법을 소개하는데, 본 연구의 근본적인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 한편, 본 연구에서는 대상 전통 기념물인 수표교의 경관향상을 위하여 원 재료인 화강석의 훼손상태에 진단과 조사연구로서, 주로 수표교의 보존처리 방법을 조정(調整)하기 위한 물리․화학적 조사와 분석위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이유는 첫째, 전통 기념물의 경관 향상을 하기 위한 방법 중 대상 기념물에 대한 훼손상태의 정도가 심각하다면, 훼손상태에 대한 원인규명과 해결책 모색이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일차적인 접근방법이기 때문이며, 둘째, 그동안 행해졌던 수표교 관련 연구들이 역사연구나 구조적 특성에만 집중되어 있는 반면, 수표교를 구성하고 있는 주된 재료인 화강석에 대한 물리․화학적 특성과 원 재료의 훼손상태에 대한 관련 연구가 없었다는 점에서 그 이유와 필요성을 간접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훼손상태분석은 무엇을 적용하였는가? 본 연구는 전통공간의 경관 향상을 위하여 전개되는 전통공간의 보존 또는 복원 계획과 설계에 있어서, 전통공간의 주된 구성요소인 전통 기념물의 가치평가를 위하여 수행되는 진단학적(診斷學的) 조사방법을 적용한 ‘훼손상태분석1)’에 대한 연구이다(안진성, 2007: 106). 다시 말해, 전통경관을 구성하는 주된 요소인 전통 건조물의 보존(保存)과 복원(復原)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체계화하고 있는 전문가 집단에서 전통 건조물에 대한 가치평가의 주된 요소로써 대상 전통 건조물의 훼손상태는 어떠한 과정과 방법에 의해서 분석될 수 있는가?에 대한 접근방법을 보여주는 실험적인 연구라 할 수 있다.
실측도에 사용된 기법은? 한편,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라 할 수 있는 수표교의 훼손상태에 대한 분석과정은 수표교가 위치한 장충단 공원의 대상지 환경여건에 대한 이해와 건축문화재에 대한 ‘진단학적 방법론(Diagnostical Methodology)’의 적용을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특히, 수표교의 훼손유형에 대한 조사에 있어서는 수표교의 원재료(原材料)인 화강석의 재료적(材料的) 특성과 물성변화(物性變化)에 관련된 분석기법의 적용과 그에 따른 결과 위주로 기술하였다2). 또한, 수표교의 훼손상태에 대한 총체적인 결과를 기록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훼손상태 분포도는 사진측량 기법을 적용한 실측도(實測圖)를 활용하여 도면화 하였으며, 대상물의 훼손상태를 조사하기 위한 평가지침은 이탈리아 정부의 건축문화재 관리지침이라 할 수 있는 ‘Raccomandazioni Normal’을 기준으로 하였다3). 이러한 연구접근은 국외 건축문화재의 훼손상태 조사에 사용되는 표준지침의 국내 문화재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실험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며, 전통공간의 보존을 위해 적용되는 조정기법(調整技法)의 일부과정을 국내사례에 적용, 소개하는 것 자체도 연구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훼손상태분석1)’에 대한 연구를 위해 고찰한 것은?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 진단학(文化財 診斷學)과 수표교(水標橋)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수표교의 이론고찰에 있어서는 수표교가 지닌 장소성과 역사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기본전제로 하고,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전통 기념물인 수표교의 보존방법을 설정하는데 요구되는 훼손상태분석 연구라는 점을 감안하여, 수표교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조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라 할 수 있는 수표교의 훼손상태에 대한 분석과정은 수표교가 위치한 장충단 공원의 대상지 환경여건에 대한 이해와 건축문화재에 대한 ‘진단학적 방법론(Diagnostical Methodology)’의 적용을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특히, 수표교의 훼손유형에 대한 조사에 있어서는 수표교의 원재료(原材料)인 화강석의 재료적(材料的) 특성과 물성변화(物性變化)에 관련된 분석기법의 적용과 그에 따른 결과 위주로 기술하였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영모(2007). 전통정원의 보존 및 복원 원칙설정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73-74. 

  2. 김용옥(2003). 도올의 청계천이야기. 통나무. pp.33-36. 

  3. 서울시(2005). 수표교정밀실측 및 기본설계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pp.27-31. 

  4. 손영식(1993). 한국 고 교량의 구조형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53-57. 

  5. 안진성(2007). 진단학을 적용한 수표교의 훼손상태 조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105-117. 

  6. 조광권(2005). 청계천에서 역사와 정치를 본다. 여성신문사. pp.101-102. 

  7. 和田雄治(1912). 京城の水標橋 . Jps(in press). pp.121-122. 

  8. Brimblecombe(2000). Air pollution and architecture. Journal of Architectural Conservation. 13(2):11, 37. 

  9. Mazzolani, F. M.(1992). Nouve Strategie di Protezione Sismica per Edifici Monumentali. Celid. pp.69. 

  10. Costa, M. Dalla(1994). Il Restauro. Teoria e Pratica. Torino. pp.34. 

  11. Musso, Stefano F.(2004). Recupero e Restauro degli Edifici Storici: Guida Pratica al Rilievo e alla Diagnostica. EPC Libri. pp.18. 

  12. Palliaga, A.(1998). Il Disfacimento delle Rocce ed I suoli: Termoclastismo. Universita' di Genova. pp.129-133. 

  13. European Commission(2006). Overview of the Expected Negative and Positive Consequence of Global Environmental Changeson Deterioration of Materials: Deliverable 6. pp.5-16. 

  14. Furani, Gabrio(2001). Restauro dei Monumneti. Collana. pp.81-82. 

  15. Giusti, Maria Adriana(1988). Temi di Restauro. Celid. pp.148-149. 

  16. Matteini, Mauro(1984). Sceienza e Restauro. Nardini Editore. pp.31. 

  17. Saccardi, U.(1985). Appunti sil Corso di Fotografia. Nardini Editore. pp.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