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단계별 근골격계 통증, 폐경증상 및 우울
Musculoskeletal Pains, Menopausal Symptoms and Depression by Women's Menopausal Stage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18 no.2, 2011년, pp.158 - 168  

장현정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usculoskeletal pain, menopausal symptoms and depression by women's menopausal stage. Method: With a survey design, a convenience sample of 203 women between age of 40 to 64 was recruited through a community. Data were collected via a structured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40~65세 폐경기 여성 203명을 대상으로 폐경단계에 따른 근골격계 통증, 폐경증상, 우울수준을 비교하고, 변수 간 관계를 파악하여 그 차이에 따라 폐경기 여성에게 폐경단계에 따른 맞춤식 간호중재를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폐경 이행기 후기와 폐경 후기 여성이 폐경 이행기 초기 여성에 비해 전신통증과 통증이 생활을 방해하는 정도가 심하고, 폐경관련 증상 중 수면 증상과 성행동 관련 증상이 많으며, 우울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폐경단계에 따라 근골격계 통증, 폐경증상 및 우울 정도를 비교하고 주요 변수 간 관계를 확인하는 비교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폐경단계에 따른 근골격계 통증, 폐경증상과 우울 정도를 비교하고 주요 변수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일반적으로 폐경기 여성 집단을 크게 하나로 묶어 광범위하게 평가하던 관점을 폐경 단계별로 분류하여 평가하고 비교한 것이다. 연구결과 폐경 이행기 후기와 폐경 후기 여성에서 폐경 이행기 초기 여성에 비해 불편감이 더욱 심각함을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팀은 폐경기 여성의 심신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폐경단계에 따른 근골격계 통증, 폐경 증상 및 우울 간 관계를 살피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폐경기를 경험하는 여성의 폐경단계에 따른 건강 요구도에 적합한 맞춤식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하지만 근골격계 불편감은 안면홍조와 야간발한과 같은 폐경기 증상보다 그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에(Dugan et al., 2006; Shakhatrh & Mas'ad, 2006), 본 연구에서는 폐경기 증상과 분리하여 대상자가 더 많이 불편감을 호소하는 근골격계 통증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경기 여성이 경험하는 증상은 무엇이 있는가? 폐경기 여성은 폐경증상과 함께 관절통, 요통, 관절의 강직, 몸의 부분적인 저림, 손발의 감각 저하 등과 같은 근골격계 통증을 많이 경험한다(Kwon et al., 1996; Shakhatreh & Mas'ad, 2006).
폐경이란 무엇인가? 폐경은 일반적으로 여성이면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정상적이고 생리적인 노화현상이며, 평균 50세 전후로 발생한다. 여성의 평균수명을 80세로 볼 때, 삶의 1/3을 폐경인 상태로 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함에 따라, 폐경을 경험하는 여성의 건강문제 탐색과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연구는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폐경 이행기 동안 나타나는 특징적인 증상 및 징후는 무엇인가? 또한 대부분의 여성은 폐경 이행기동안 증상의 경중은 다르지만 특징적인 증상 및 징후를 경험한다. 첫째, 혈관운동계 불안정으로 인한 안면홍조, 야간발한과 심계항진이 나타나고, 둘째, 감정 및 행동반응과 관련된 수면장애, 신경과민, 우울과 불안, 기억력 감퇴, 과민반응을 경험하며, 셋째, 생식기계 위축과 관련된 배뇨장애, 질 건조, 성교통 등을 경험하게 된다 (Yoo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S, & Song, R. (2009). Bone mineral density perceived menopausal symptoms: factors influencing low back pain in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 1228-1236. 

  2. Altshuler, L. L. (2002). The use of SSRIs in depressive disorders specific to women.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3, 3-8. 

  3. Avis, N. E., Kaufert, P. A., Lock, M., McKinlay, S. M., & Vass, K. (1993). The evolution of menopausal symptoms. Bailliere's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7, 17-32. 

  4. Avis, N. E., Colvin. A., Bromberger, J. T., Hess. R., Matthews, K. A., Ory, M., et al. (2009). Change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ver the menopausal transition in a multiethnic cohort of middle-aged women: Study of Women's Health Across the Nation. Menopause, 16, 860-869. 

  5. Beck, A. T., Ward, C. H., Mendelson, M., Mock, J., & Erbaugh, J.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 561-571. 

  6. Choi, H. W., Kim, H. W., Park, K. C., Lee, K. K., & Park, J. W. (1998). Menopause-related attitude and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7 1146-1157. 

  7. Choi, S. J. & Park, K. M.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menopause management practice and low back pain in climacteric women by menopausal st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4, 71-81. 

  8. Dennerstein, L., Dudley, E. C., Hopper, J. L., Guthrie, J. R., & Burger, H. G. (2000).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study of menopausal symptoms. Obstetrics and Gynecology, 96, 351-358. 

  9. Dugan, S. A., Powell, L. H., Kravitz, H. M., Everson Rose, S. A., Karavolos, K., & Luborsky, J. (2006). Musculoskeletal pain and menopausal status. Clinical Journal of Pain, 22, 325-331. 

  10. Fan, X., Kim, H. J., Warner, M., & Gustafsson, J. A. (2007). Estrogen receptor $\beta$ is essential for sprouting of nociceptive primary afferents and for morphogenesis and maintenance of the dorsal horninterneuron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4, 13696-13701. 

  11. Jin, K. O. & Lim, N. Y. (2008). A study on the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pain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5, 73-87. 

  12. Kang, S. J. & Shin, K. R. (2002). Lifestyle and menopausal symptoms and depression of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Women's Health, 3, 207-228. 

  13. Kim, H. (2004). Perimenstrual symptoms of Korean Women living in the USA: applicability of the WDHD (Women''s Daily Health Diary) on prospective repor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1395-1401. 

  14. Kim, H. Y. & Koh, H. J. (1996). Study on depression and ego identity of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3, 117-138. 

  15. Kim, J. A. (1999). A study on the climacteric symptoms and emotion of Korean women living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6, 35-50. 

  16. Kim, J. H. & Moon, H. S. (2006). Health perception, body image, sexual function and depression in menopausal women according to menopausal stag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449-456. 

  17. Kim, Y. H, Ha, E. H., & Shin, S. J. (2003). A Study on the menopau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601-608. 

  18. Kravitz, H. M., Zhao, X., Bromberger, J. T., Gold, E. B., Hall, M. H., Matthews, K., et al. (2008). Sleep disturbance during the menopausal transition in a multi-ethnic community sample of women. Sleep, 31, 979-990. 

  19. Kwon, S. H., Kim, Y. J., Moon, G. N., Kim, I. S., Park, G. J., Park, C. H., et al. (1996).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nopausal symptoms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 235-245. 

  20. Mitchell, E. S., Woods, N. F., & Lenz, M. J. (1994). Differentiation of women with three perimentrual patterns. Nursing Research, 43, 25-30. 

  21. Osmers, R., Friede, M., Liske, E., Schnitker, H., Freudenstein, H., & Henneicke-von Wepelin, H. (2005). Efficacy and safety of isopropanolic black cohosh extract for climacteric symptoms. Obstetrics and Gynecology, 105, 1074-1083. 

  22. Parry, B. L. (2010). Optimal management of perimenopausal depres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Women's Health, 2, 143-151. 

  23. Park, G. J. & Lee, K. H. (2002). A structural model for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8, 69-84. 

  24. Park, H. M., Sang, J. H., Lee, E. S., & Hur, M. (2005). The change of hormone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after publication of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nopause, 11, 99-106. 

  25. Pien, G. W., Sammel, M. D., Freeman, E. W., Lin, H., & DeBlasis, T. L. (2008). Predictors of sleep quality in women in the menopausal transition. Sleep, 31, 991-999. 

  26. Schmidt, P. J., Haq, N., & Rubinow, D. R. (2004). A Longitudinal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productive status and mood in perimenopausal women.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1, 2238-2244. 

  27. Shakhatreh, F. M., & Mas'ad, D. (2006). Menopausal symptoms and health problems of women aged 50-65 years in southern Jordan. Climacteric, 9, 305-311. 

  28. Sievert, L. L. & Goode-Null, S. K. (2005). Musculoskeletal pain among women of menopausal age in Puebla. Mexico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20, 127-140 

  29. Soares, C. N, & Almeida, O. P. (2001). Depression during the perimenopaus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8, 306. 

  30. Yoo, E. K., Kang, N. M., Kim, M. H., Kim, S. A., Kim, S. J., Ahn, S. H., et al. (2008). Maternity and Women's Health Nursing (9th ed.). Seoul: Hyunmoon Publish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