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관적 삶의 질과 언어 사용의 관계성 분석
Preliminary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Use and Subjective Well-be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11, 2011년, pp.4875 - 4880  

김경일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  배진희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  김영진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  김동근 (아주대학교 경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인의 언어 사용 경향성은 그 개인의 심리적 측면을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생각되어 왔으며 따라서 언어분석은 심리적 특성의 분석을 위해 중요하게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삶의 질을 구성하는 두 지표에 해당하는 삶에 대한 느낌과 삶에 대한 만족도가 언어와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26명의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추출한 글쓰기 자료를 사용하여 KLIWC (Korean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를 통해 언어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주관적 삶의 질의 상 하위 집단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KLIWC 변인들과 주관적 삶의 질을 구성하는 두 하위변인들 간의 개별적 관계성들이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다양한 차이점들과 연관성들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주관적 삶의 질과 언어 사용의 연관성에 대한 이후 연구들에 대해 예비적이고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dividuals' language use has been hypothesized as a useful tool for the analysis of psychological aspects.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language use and their subjective well-being, which consists of life satisfaction and feeling about life. For this, 126 college students wrote an es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프로그램은 LIWC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어 분석을 통해 언어와 타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에 사용되어 오고 있다[14, 15, 16, 17]. 본 연구에서는 KLIWC를 사용하여 주관적 삶의 질이 그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반영되는지, 반영된다면 어떤 KLIWC 변인들에 의해 반영되는가에 관하여 탐색적인 분석을 탐색적으로 시도하고자 한다.
  • 그렇다면 이를 잘 반영해 낼 수 있는 행동지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관적 삶의 질이 언어적 측면에 어떻게 반영되는가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언어는 인간의 인지 및 심리적 활동에 대해 매우 구체적이면서도 풍부하게 반영을 하는 것으로 연구자들 간에 동의가 되어 왔다[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관적 삶의 질은 어떻게 연구되고 있는가? 주관적 삶의 질(subjective quality of life)은 심리학과 관련된 사회과학 분야들에서부터 의학 및 사회복지학, 노년학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건강 및 수명, 그리고 경제적 소득과 관련된 수량화된 지표들이 매우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객관적 지표들보다는 각 개인이 자신의 삶을 통합적이고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측면들이 현재 느끼고 있는 행복의 정도를 더 잘 반영한다는 것이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후속 연구들을 촉발시켰다[1, 2].
일반적으로 주관적 삶의 질의 정의는? 건강 및 수명, 그리고 경제적 소득과 관련된 수량화된 지표들이 매우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객관적 지표들보다는 각 개인이 자신의 삶을 통합적이고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측면들이 현재 느끼고 있는 행복의 정도를 더 잘 반영한다는 것이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후속 연구들을 촉발시켰다[1, 2]. 연구자마다 다소 상이하기는 하지만 기존 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일반적으로 주관적 삶의 질은 개인이 지각하는 심리적 안녕감(psychological well-being), 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being) 또는 개인이 자신의 삶에 만족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심리적, 사회적, 사회경제적 요인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하고 있다[1, 3, 4]. 그런데 심리적 지표인 주관적 삶의 질을 연구함에 있어서 한 가지 중요한 제한점은 바로 관련된 행동적 지표가 명확히 발견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심리적 지표인 주관적 삶의 질을 연구함에 있어서 관련된 행동적 지표가 명확히 발견되고 있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그런데 심리적 지표인 주관적 삶의 질을 연구함에 있어서 한 가지 중요한 제한점은 바로 관련된 행동적 지표가 명확히 발견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는 주관적 삶의 질이 현재 경험하고 있는 정서 상태보다는 경험된 바에 대한 회고를 상당수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고 따라서 단순하고 구체적인 행동지표들과의 연관성은 떨어지기 때문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pp. 542-575, 1984. 

  2. D. Kahneman, & A.B. Krueger, "Developments in the measurement of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20, 3-24, 2006. 

  3. Bryan J. Kemp, Brad M. Adams, Margaret L. Campbell,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aging polio survivors versus age-matched controls: Relation to postpolio syndrome, family functioning, and attitude toward disabilit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ume 78, Issue 2, Pages 187-192, 1997. 

  4. R. Veenhoven,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 1-34, 1991. 

  5. C. Lee, K.Kim, Y. S.Seo, & C. Chu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language use.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Vol. 134(4). 405- 413, 2007. 

  6. J. W. Pennebaker, M. R. Mehl, K. G. Niederhoffer, "Psychological aspects of natural language use : Our words, our selv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4, pp. 547-577, 2003. 

  7. J. W. Pennebaker, "Writing about emotional experience as a therapeutic process", Psychological Science, 8, pp. 162-166, 1997. 

  8. G. Bolton, S. Howlett, C. Lago & J.K. Wright (Eds., "Writing Cures: An introductory handbook of writing in counselling and therapy", Hove, East Sussex: Brunner-Routledge. 2004. 

  9. S.S. Rude, E.M. Gortner, & J.W. Pennebaker, "Language use of depressed and depression -vulnerable college students", Cognition and Emotion, 18, 1121-1133, 2004. 

  10. C. H. Lee, M. Lee, S. Ahn, & K. Kim, "Preliminary analysis of language styles in a sample of schizophrenics", Psychological Reports, 101(2), 392-394, 2007. 

  11. K. A. Baikie, & K. Wilhelm, "Emotional and physical health benefits of expressive writing", Advances in Psychiatric Treatment, 11, 338-346, 2005. 

  12. M.R. Mehl & J.W. Pennebaker, "The social dynamics of a cultural upheaval: Social interactions surrounding September 11, 2001", Psychological Science, 14, 579-585, 2003. 

  13. S.W. Stirman & J.W. Pennebaker, "Word use in the poetry of suicidal and non-suicidal poets", Psychosomatic Medicine 63, 517-522, 2001. 

  14. Lee, C. H., Kim, K., Seo, Y. S., & Chung, C. K., "The Relations Between Personality and Language Use",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134(4), 405-413, 2007. 

  15. K. Kim, J. Bae & C. Lee, "Gender Differences in Language Use: An Analysis by KLIWC",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1, No. 3 (B), pp. 1307-1318, 2009. 

  16. J. Seo & K. Kim, "Analyses of the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Writings of Sexual Crimina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1, No. 2 (B), pp. 717-730, 2009. 

  17. C. H.Lee, K. Kim & J. Park, "Preliminary Analysis of Language Styl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Broadcasting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1, No. 9, pp. 3311-3317, 2010. 

  18. A. Campbell,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ume 31, Issue 2, February 1976, 117-124, 1976. 

  19. M. S. Lee & H. K. Lee,, "Gender differences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Women, Vol.2, No.1, 89-101, 1997. 

  20. G. Keppel & T.D. Wickens, Design and Analysis: A Researcher's Handbook (4th Ed.). Prentice Hall, 2004. 

  21. Kim, K., Lee, Y., & Lee, C. H. under review, The Cues of Creativity in Writ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