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탐색경로 일치도 분석을 이용한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
Web Usability Testing by Using Scanpath Similarity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2, 2013년, pp.793 - 803  

김영준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  김영진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새로운 웹사용성 평가 방법의 하나로 탐색경로 일치도 분석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사용한 웹사이트는 5개 공공기관이었으며, 15명의 피험자가 참여하였다. 우선, 참가자들에게 각 웹사이트를 3초간 보여주고 자유롭게 탐색하게 하면서 안구운동을 추적하였고 호감도를 측정하였다. 그 후 안구운동 추적 상태에서 참가자들에게 17개의 임무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마지막 인터뷰에서는 웹사이트에 대한 만족도, 인지도, 과제 난이도 등에 응답하게 하였다. 여러 측정치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관심을 가졌던 탐색경로 일치도가 호감도 및 만족도와 의미 있는 관련성을 보였다. 즉 웹사이트에 대한 호감도가 높을수록 탐색경로 일치도가 높은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는 웹사이트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 평가 방식을 대신해, 안구운동의 탐색경로 일치도와 같은 측정치가 객관적인 사용성 평가 지수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안구운동 고정 및 응시시간 등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웹사이트에서 보이는 관찰자의 행동을 보다 더 적절하게 추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scanpath similarity analysis as one of new web usability testing. The 5 websites of public institutions were used and 15 students participated. First of all, eye movements were tracked and visual appeal ratings were measured as participants f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새로운 웹사용성 평가 방법의 하나로 탐색경로 일치도 분석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여러 측정치들과 비교할 때, 탐색경로 일치도의 지역적 지수가 가장 높은 웹사이트는 참가자들에게 가장 좋은 호감을 주었고 가장 만족스러운 웹사이트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섯 개 공공기관의 웹사이트에 대해, 사이트에 대한 첫인상, 만족도 등을 알아보는 전통적인 사용성 평가 방법과 함께 안구운동을 추적하였다. 안구운동 추적을 통해 사용성을 평가하는 경우, 보통 웹사이트 특정 영역(관심영역이라고 부르는)에 얼마나 많은 안구고정(fixation)이 일어나는지 혹은 그 응시시간(duration)이 얼마나 긴지 등을 분석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우선 지역적 지수를 분석하였다. 왜냐하면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관찰자들의 탐색경로의 일치도를 확인하여 이를 사용성 지수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기 때문이다.
  • 본 연구의 임무과제의 분석은 정답율, 반응시간, 적중률을 계산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역시 관심영역을 먼저 설정하였다.
  •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사용성 평가 방법, 안구운동 분석 방법과 함께 탐색경로 일치도 분석을 함께 해, 이 측정치들이 서로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 특히 탐색경로 일치도 분석이 유용한 사용성 평가 지수가 될 수 있는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의 호감도를 측정하여 웹사이트 첫인상을 평가하였으며, 동시에 안구운동 측정을 통해서 얻어진 탐색경로를 분석하여 탐색경로 일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들 측정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우선 본 연구의 초점이라고 할 수 있는 탐색경로 일치도 분석 방법에 대해 논의하겠다. 탐색경로 분석 방법이 비교적 덜 알려져 있기에 비교적 자세히 논의하겠으며, 그 후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전통적인 사용성 평가 방법을 간략히 논의하겠다.
  • Yarbus [15]의 연구 이후로 탐색경로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수행되었다[16-23]. 이 연구들은 관찰자의 인지적 처리과정을 엿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탐색경로에 대해 연구하였다. 탐색경로는 안구 고정(fixation)을 시간적 순서(관찰자 혹은 사용자의 관찰 순서)에 따라 표시한 선이다.
  • 우선 본 연구의 초점이라고 할 수 있는 탐색경로 일치도 분석 방법에 대해 논의하겠다. 탐색경로 분석 방법이 비교적 덜 알려져 있기에 비교적 자세히 논의하겠으며, 그 후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전통적인 사용성 평가 방법을 간략히 논의하겠다.

가설 설정

  • 웹사이트에 대한 첫인상 평가는 다른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사용성 평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 이유는 측정이 매우 쉽다는 것이다. 짧은 노출만으로도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형성된 첫인상을 측정해 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기관 웹사이트의 안구운동을 추적한 방법은? 본 연구에서는 다섯 개 공공기관의 웹사이트에 대해, 사이트에 대한 첫인상, 만족도 등을 알아보는 전통적인 사용성 평가 방법과 함께 안구운동을 추적하였다. 안구운동 추적을 통해 사용성을 평가하는 경우, 보통 웹사이트 특정 영역(관심영역이라고 부르는)에 얼마나 많은 안구고정(fixation)이 일어나는지 혹은 그 응시시간(duration)이 얼마나 긴지 등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 분석은 각 웹사이트에서 보인 여러 명의 안구고정시간을 평균해 계산한다.
탐색경로는 무엇을 표시한 선인가? 이 연구들은 관찰자의 인지적 처리과정을 엿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탐색경로에 대해 연구하였다. 탐색경로는 안구 고정(fixation)을 시간적 순서(관찰자 혹은 사용자의 관찰 순서)에 따라 표시한 선이다. Choi와 Mosley[24]의 연구는 순열편집(string editing) 알고리즘을 통해서 탐색경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역적 지수를 분석한 까닭은? 본 연구에서는 우선 지역적 지수를 분석하였다. 왜냐하면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관찰자들의 탐색경로의 일치도를 확인하여 이를 사용성 지수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기 때문이다. 한 웹사이트에 대해서 여러 관찰자들이 일치하는 탐색경로를 보인다는 것은, 결국 그 웹사이트가 표현하고자 했던 목적이 여러 관찰자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즉 목적 달성이 성공적이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Y. Puzis. "Accessible web automation interface: A user study". Proc. of the 14th International ACM SIGACCESS Conference on Computers and Accessibility (ASSETS). 2012. DOI: http://dx.doi.org/10.1145/2384916.2384999 

  2. D. A. Norman, The Design of Everyday Things, New York: Doubleday. 1998. 

  3. J. Nielsen, Usability Engineering, Boston, MA: Academic Press. 1993. 

  4. B. Keevil, Measuring the usability index of your Web site, Proc. of the 16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documentation(ACM), pp. 271-277. 1998. 

  5. A. Fernandez, S. Abrahao, and E. Insfran, "Empirical validation of a usability inspection method for model-driven Web development",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86, 1, pp. 161-186, 2013. DOI: http://dx.doi.org/10.1016/j.jss.2012.07.043 

  6. A. P. Afonso, J. R. Lima, and M. P. Cota. "A heuristic evaluation of usability of Web interfaces". Proc. of Iberian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and Technologies(CISTI), 2012. 

  7. J. M. Spool, Web Site Usability : A Designer's Guide. San Francisco, EUA: Morgan Kaufmann. 1999. 

  8. T. E. Moon and H. N. Moon,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methods of web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Korea government department websites.", Daehan Journal of Business, 22, 3, pp. 1511-1535, 2009. 

  9. J. G. Min and K. S. Lee, "Quality Evaluation for the Usability of Multimedia Web Sit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11, 5, pp. 139-148, 2006. 

  10. M. S. Lee and K. S. Lee, "Quality Evaluation for Usability of Internet Shopping Mal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12, 6, pp. 59-68, 2007. 

  11. H. W. Kwak, J. U. Kwahk, S. J. Kim, and J. M. Lee, "Usability testing of the domestic web site design: questionnaire and heuristic evaluation", Ko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11, 1, pp. 33-45, 2000. 

  12. B. J. Kim and K. P. Lee, "Development of Integrated Analysis Model and Tool for Web Usability Test-with Emphasis on Eye-Tracking, Mouse-Tracking, and Retrospective Think Alou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0, 5, pp. 39-50, 2007. 

  13. K. Choi, J. Shu, and Y. Kim, "An Investigation of Banner Ad Effects Using Eye Tracking: An Explorative Observation", The Korea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6, 4, pp. 421-434, 2004. 

  14. D. Rosaci and G. M. L. Sarne, "Recommending multimedia web services in a multi-device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s, 38, 2, pp. 198-212, 2013. DOI: http://dx.doi.org/10.1016/j.is.2012.08.002 

  15. A. L. Yarbus, Eye movements and vision, New York: Plenum Press. 1967. 

  16. S. Josephson and M. E. Holmes, "Attention to repeated images on the World-Wide Web: Another look at scanpath theory",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4, 4, pp. 539-548, 2002. DOI: http://dx.doi.org/10.3758/BF03195483 

  17. C. M. Privitera and L. W. Stark, "Algorithms for defining visual regions-of-interest: Comparison with eye fixations",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22, 9, pp. 970-982, 2000. DOI: http://dx.doi.org/10.1109/34.877520 

  18. J. M. Findlay and V. Brown, "Eye scanning of multi-element displays: I. Scanpath planning", Vision Research, 46, 1-2, pp. 179-195, 2006. 

  19. R. Pieters, E. Rosbergen, and M. Wedel, "Visual attention to repeated print advertising: A test of scanpath theor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6, 4, pp. 424-438, 1999. DOI: http://dx.doi.org/10.2307/3151998 

  20. D. Noton and L. Stark, "Scanpaths in saccadic eye movements while viewing and recognizing patterns", Vision Research, 11, 9, pp. 929-932, 1971. DOI: http://dx.doi.org/10.1016/0042-6989(71)90213-6 

  21. J. H. Goldberg and J. I. Helfman. "Visual scanpath representation". Proc. of Eye Tracking Research and Applications Symposium (ETRA), 2010. 

  22. C. Holland, O. Komogortsev, and D. Tamir. "Identifying usability issues via algorithmic detection of excessive visual search". Proc. of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2012. 

  23. L. W. Stark and Y. S. Choi, Experimental metaphysics: The scanpath as an epistemological mechanism. pp. 3-69. 1996. 

  24. Y. S. Choi, A. D. Mosley, and L. W. Stark, "STRING EDITING ANALYSIS OF HUMAN VISUAL-SEARCH",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72, 7, pp. 439-451, 1995. DOI: http://dx.doi.org/10.1097/00006324-199507000-00003 

  25. A. T. Duchowski, J. Driver, S. Jolaoso, W. Tan, B. N. Ramey, and A. Robbins, Scanpath comparison revisited, Proc. of the 2010 Symposium on Eye-Tracking Research & Applications(ACM), pp. 219-226. 2010. 

  26. G. Lindgaard and C. Dudek, User Satisfaction, Aesthetics and Usability: Beyond Reductionism, Proc. of the IFIP 17th World Computer Congress-TC13 Stream on Usability: Gaining a Competitive Edge, pp. 231-246. 2002. 

  27. G. Lindgaard, G. Fernandes, C. Dudek, and J. Brown, "Attention web designers: you have 50 milliseconds to make a good first impression!",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25, 2, pp. 115-126, 2006. DOI: http://dx.doi.org/10.1080/01449290500330448 

  28. A. Campbell and S. Pisterman, "A Fitting Approach to Interactive Service Design: THE IMPORTANCE OF EMOTIONAL NEEDS", Design Management Journal (Former Series), 7, 4, pp. 10-14, 1996. 

  29. W. Schneider, A. Eschman, and A. Zuccolotto, E-Prime User's Guide, Pittsburgh: Psychology Software Tools, Inc. 2002. 

  30. A. VoBkuhler. OGAMA Description (for Version 2.5). Available from: http://www.ogama.net/sites/default/files/pdf/OGAMA-De scriptionV25.pdf,(accessed Dec, 27, 2012). 

  31. A. VoBkuhler, V. Nordmeier, L. Kuchinke, and A. Jacobs, "OGAMA (Open Gaze and Mouse Analyzer): Open-source software designed to analyze eye and mouse movements in slideshow study designs", Behavior Research Methods, 40, 4, pp. 1150-1162, 2008. DOI: http://dx.doi.org/10.3758/BRM.40.4.1150 

  32. J. H. An, "A Study on the User's Evaluation Factors of a Broadcasting Company Web Sit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7, 1, pp. 191-215, 2003. 

  33. J. Nielsen. Thinking Aloud: The #1 Usability Tool. Alertbox: Current Issues in Web Usability 2012, Available from: http://www.useit.com/alertbox/thinking-aloud-tests.html, (accessed Nov, 12, 2012). 

  34. J. E. Kwahk and H. W. Kwak, "Usability of Internet Search Interfaces: Establishing Design Guidelines based on Expert Review and User Testing Methods", The Korean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14, 4, pp. 463-483, 2002. 

  35. J. Brooke, SUS: A quick and dirty usability scale, in Usability evaluation in industry, Edited by P. W. Jordan, B. Weerdmeester, A. Thomas, and I. L. McLelland, Taylor and Francis.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