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화 흥행 결정 요인과 흥행 성과 예측 연구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Motion Picture Box-office Prediction Model 원문보기

한국통계학회 논문집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v.18 no.6, 2011년, pp.859 - 869  

김연형 (전주대학교 통계학과) ,  홍정한 (전주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화의 흥행 결정 요인에 대한 학문적 연구와 함께 상업적 시각에서 개별 영화의 흥행 예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0년 한국에서 개봉된 영화를 대상으로 영화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영화 흥행 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제작 전 투자 의사결정단계에서 영화 장르, 관람등급, 감독, 배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배급편성의 의사결정단계에서는 배우효과, 스크린수, 배급사파워, 소셜미디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선택확률개념을 이용한 다항로짓모형을 통해 영화 흥행작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으며, 인공신경망, 판별분석과 비교하여 다항로짓모형의 흥행영화 예측력을 입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rest has increased in academic research regarding key factors that drive box-office success as well as the ability to predict the box-office success of a movie from a commercial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success factors of a movie and box office records ba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신규영화의 흥행예측을 위해 다항로짓모형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상업적으로 영화 흥행을 예측한다는 것은 흥행에 성공할 영화를 예측하는것이지, 흥행에 실패할 영화를 예측할 이유가 없으므로, 영화 흥행 성과 예측은 전반적인 예측률(overall hit ratio)보다는 흥행 성공 영화(4, 5그룹)의 예측력을 모형간에 비교하는 편이 합목적적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영화흥행요인들로 밝혀진 변수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상업적 시각에서 영화 제작 전 시점과 개봉 전 시점에서 입수 가능한 정보를 기반으로 영화 수요를 어떻게 예측할 수 있는지 실증 분석하는것이다. 또한, 기존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던 소셜미디어를 고려하여, 영화흥행 결정요인으로서의 중요도와 흥행 성과예측에 있어서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상영된 영화를 대상으로 영화 흥행 결정 요인을 파악하고 흥행성과를 예측하였다.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기존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온라인구전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영화흥행요인들로 밝혀진 변수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상업적 시각에서 영화 제작 전 시점과 개봉 전 시점에서 입수 가능한 정보를 기반으로 영화 수요를 어떻게 예측할 수 있는지 실증 분석하는것이다. 또한, 기존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던 소셜미디어를 고려하여, 영화흥행 결정요인으로서의 중요도와 흥행 성과예측에 있어서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상업적 시각에서 개별 영화의 흥행 예측은 어떤 방식에 의존하고 있는가? 현재 상업적 시각에서 개별 영화의 흥행 예측은 스코어카드에 의한 평가점수합계의 주관적 방식에 의존하고있다. 개별영화의 흥행예측을 위해 객관적데이터를 수집하고예측모형에 적용하는 과학적 접근을 쉽게 발견하기 어려운실정이다.
영화의 흥행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2000년대 연구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 2000년대 연구의 가장 큰 특징은 흥행결정요인으로 온라인구전의 영향력에 주목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오상미 (2005)는 영화관련 인터넷 게시판의 메시지 수와 영화관객수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나타내었고, 김희경 (2007)은 온라인구전의 조작적 정의로 네이버 영화 디렉토리의 네티즌 리뷰 수를 사용하였으며, 정완규 (2009), 김미현 등 (2010), 김소영 등 (2010)은 포털 사이트 영화 디렉토리의 네티즌 평점을 영화 흥행 결정요인으로 확인하였다.
상업적 시각에서 영화흥행예측과 관련된 연구문제를 제작, 배급, 상영 각 단계별로 나누어 정리하면? • 제작 단계: 영화흥행예측모형이 초기지표(대본, 캐스팅, 예상상영등급)를 토대로 얼마나 정확하게 개발될 수 있을 것인가 • 배급단계: 영화마케팅을 위한 예산을 다양한 미디어-전통적미디어, 온라인미디어-에 어떻게 배분하는게 최적인가? 영화 흥행에 온라인 리뷰, 온라인 구전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 • 상영단계: 최적의 스크린 수를 결정하기 위해 어떤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가? 스크린 수는 할리우드 영화를 중심으로 한 연구에서 흥행에 중요한 변수로 제시되었다. 한국은 2000년대 이후 멀티플렉스 확산으로 전국 동시 개봉이 일반화되어 마케팅비용과 개봉 스크린수가 관객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간주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미현, 김수은, 최영준(2010). 한국영화의 흥행 결정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 46, 31-55. 

  2. 김소영, 임승희, 정예슬 (2010). 영화 유형별 영화 흥행 성과 예측 요인의 비교 연구, , 10, 381-393. 

  3. 김연형 (2010). 지역문화 축제의 서비스 품질과 고객충성도에 관한 연구, , 21, 437-446. 

  4. 김희경(2007).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다음소프트(www.daumsoft.com)소셜메트릭스DB. 

  6. 영화진흥위원회Box Office (www.kobis.or.kr)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DB. 

  7. 오상미 (2005). ,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이경재, 장우진 (2006). 베이지안 선택모형을 이용한 영화흥행 예측, , 1851-1856 

  9. 인터넷사이트네이버(www.naver.com)영화정보수퍼DB. 

  10. 장병희, 이양환, 김병선, 남상현 (2009). 심리적 변인 활용을 통한 영화흥행 예측의 정교화, , 53, 346-371. 

  11. 정완규(2009). 애니메이션 영화의 흥행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21-32. 

  12. Eliashberg, J., Elberse, A. and Leenders, M. A. A. M. (2006). The motion picture industry: Critical issues in practice, current research, and new research directions, Marketing Science, 25, 638-661. 

  13. Sharda, R. and Delen, D. (2006). Predicting box-office success of motion pictures with neural networks,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30, 243-2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