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기분해수를 이용한 절임 조건에 따른 배추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nese Cabbage with Different Salting Conditions Using Electrolyzed Wat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12, 2011년, pp.1743 - 1749  

정진웅 (한국식품연구원) ,  박성순 (한국식품연구원) ,  임정호 (한국식품연구원) ,  박기재 (한국식품연구원) ,  김범근 (한국식품연구원) ,  성정민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절인배추의 저장성을 연장하기 위해 전기분해수를 이용하여 초기 미생물 제어효과를 살펴보았다. 절인배추 공정 중 미생물 제어 가능한 1차 세척, 절임, 2차 세척공정에 전해수를 이용하였으며, 총균, 젖산균, 대장균군, pH, 염도, 비타민 C 및 총당을 분석하였다. 미생물 결과 1차 세척한 처리구의 총 균수는 초기에 비해 2.78 log cfu/g 수준 감소하였으며 대장균군수도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탈염과정인 2차 세척공정 후 전해수 처리구가 수도수 처리구에 비해 최대 1.5 log cfu/g 감소하였다. 염수의 경우 배추의 오염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도수 처리구에 비해 전해수 처리구의 미생물수가 낮았으며, 저장 6시간째에 비해 15시간째 높게 나타나 절이는 동안 미생물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도는 절임 동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절임 3시간째 증가률이 가장 높았다. 처리구들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절임수의 염도는 배추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절임 3시간째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절이는 동안 전해수의 차아염소산 농도는 3시간째 90% 이상 감소하여 절임수로 전해수를 이용할 경우 살균효과가 절임시간 동안 지속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비타민 C는 절임 동안 감소하였으며 총당은 절임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전해수의 사용은 절인배추의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crobial reduc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ed Chinese cabbage using electrolyzed water were investigated. The electrolyzed water was used to control the microbes in the processes of primary washing, salting, and secondary washing. The total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coliform,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절인배추의 저장성을 연장하기 위해 전기분해수를 이용하여 초기 미생물 제어효과를 살펴보았다. 절인배추 공정 중 미생물 제어 가능한 1차 세척, 절임, 2차 세척공정에 전해수를 이용하였으며, 총균, 젖산균, 대장균군, pH, 염도, 비타민 C 및 총당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위생적인 김치 생산뿐만 아니라 절인배추의 저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전해수를 이용하여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의 미생물을 제어하며 품질에 변화를 조사하고자 한다. 절인배추의 가공공정에서 미생물 제어가 가능한 1차 세척, 절임, 2차 세척 공정에 전해수를 적용하여 미생물제어 효과와 이화학적 특성 및 성분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절인 배추는 어떤 이점이 있는가? 절인 배추는 생배추일 때보다 무게와 부피가 줄게 되어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김치를 담는데 과정을 단축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해 준다(7). 현대 사회는 맞벌이 부부의 증가, 소득 증가 등 사회 변화에 따른 식생활 간편화 추구로 김치를 담글 때 일손을 절약하기 위해 절인 배추를 이용하는 비율이 점점 늘어가고 있다.
전해수는 어떤 산업에서 이용되고 있는가? 전해수는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으로 의약품, 치과용, 농업, 양식업, 식품산업 등의 다양한 범위에 이용되고 있다(11). 세척 및 살균의 주요 성분은 차아염소산으로 염화나트륨이나 염산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된다.
증류수에 용해된 NaCl은 전기분해에 의하여 음성의 Cl-와 양성의 Na+로 분해됨과 동시에 OH-, H+ 이온을 생성한 후 어떤 물질을 생성하는가? 전기분해 시 증류수에 용해된 NaCl은 음성의 Cl-와 양성의 Na+로 분해되며 동시에 OH-, H+ 이온도 생성된다. Cl-와 OH-와 같은 음이온은 전자를 잃고 양극으로 이동하여, O2기체, Cl2기체, OCl-이온, HOCl과 염산을 생성하며 H+와 Na+ 같은 양이온은 전자를 얻어 음극으로 이동하여, H2, NaOH를 생성하게 된다(12). 식품 중 미생물 제어를 위한 전해수 적용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살균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Higdonm JV, Delage B, Williams DE, Dashwood RH. 2007. Cruciferous vegetables and human cancer risk: epidemiologic evidence and mechanistic basis. Pharmacol Res 55: 224-236. 

  2. Hwang ES. 2010. Changes in myrosinase activity and total glucosinolate levels in Korean Chinese cabbages by salting conditions.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104-109. 

  3. Park RS. 2005. Food materials. Kyomunsa, Seoul, Korea. p 65. 

  4.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0. Statistics of vegetables production amount. http://library.mafaff.go.kr. 

  5. Han ES, Seok MS. 1996. Improvement of salting process of Chinese cabbage in kimchi factory. Food Ind Nutr 1: 50-70. 

  6. Lee MH, Lee GD, Son KJ, Yoon SR, Kim JS, Kwon JH. 2002. Changes in organoleptic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Chinese cabbage with salting con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417-422. 

  7. Kim YW, Jung JK, Cho YJ, Lee SJ, Kim SH, Park KY, Kang SA. 2009. Quality changes in brined Baechu cabbage using different types of polyethylene film, and salt conten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6: 605-611. 

  8. Cha SM, Han GJ, Lee SR, Park YH. 2010. A study on the use of salted cabbage and the purchasing promotion in school foodservice. Korean J Food Culture 25: 198-206. 

  9. Kim JS, Yun SK, Cho SK, Kim JE, Kim BS, Han NS. 2010. Microbial analysis of Baechu-kimchi during automatic production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281-286. 

  10. Cha SM, Han GJ, Lee SR, Park YH. 2010. A study on the use of salted cabbage and the purchasing promotion in school food service. Korean J Food Culture 25: 198-206. 

  11. Huang YR, Hung YC, Hsu SY, Huang YW, Hwang DF. 2008. Application of electrolyzed water in the food industry. Food Control 19: 329-345. 

  12. Kim YS, Park IS, Ha SD. 2009. Application sanitizer for the control of microorganisms in food. Food Science and Industry 42: 26-51. 

  13. Fabrizio KA, Cutter CN. 2005. Application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to reduce Listeria monocytogenes on ready-to-eat meats. Meat Sci 71: 327-333. 

  14. Iwasawa A, Nakamura Y. 1993. Antimicrobial activity of aqua oxidizing water. Clinical Bacteriology 20: 469-473. 

  15. Kim C, Hung YC, Brackett RE, Lin CS. 2003. Efficacy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in inactivating Salmonella on alfalfa seeds and sprouts. J Food Prot 66: 208-214. 

  16. Koseki S, Itoh K. 2001. Prediction of microbial growth in fresh-cut vegetables treated with acidic electrolyzed water during storage under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s. J Food Prot 64: 1935-1942. 

  17.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zed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644. 

  18. Lee HS, Kim BS, Cha HS, Kwon KH. 2010. Quality evaluation of ginger dried using a molecular press dehydration method or employing a dehydration liquid. Korean J Food Preserv 17: 478-486. 

  19. KFDA. 2008. Food code .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 4-1-2. 

  20. Lee KH. 2008. Effect of ozone treatment of sanitation of Chinese cabbage and salted Chinese cabb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0-96. 

  21. Sung JM, Kwon KH, Kim JH, Jeong JW. 2011. Effect of washing treatments on pesticide residues and antioxidant compounds in Yuja. Food Sci Biotechnol 20: 767-773. 

  22. Heang YR, Hung YC, Hsu SY, Huang YW. 2008. Application of electrolyzed water in the food industry. Food Control 19: 329-345. 

  23. Koseki S, Yoshida K, Kamitani Y, Isobe S, Itoh K. 2004c. Effect of mild heat pre-treatment with alkaline electrolyzed water on the efficacy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on lettuce. Food Microbiol 21: 559-566. 

  24. Izumi H. 1999. Electrolyzed water as a disinfectant for fresh-cut vegetables. J Food Sci 64: 536-539. 

  25. Kim C, Hung YC, Brackett RE, Lin CS. 2003. Efficacy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in inactivating Salmonella on alfalfa seeds and sprouts. J Food Prot 66: 208-214. 

  26. Oh YA, Kim SD. 1997. Changes in enzyme activities of salted Chinese cabbage and kimchi during salting and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404-410. 

  27. Jeong JK, Park SE, Lee SM, Choi HS, Kim SH, Park KY. 2011. Quality changes of brined baechu cabbage prepared with low temperature stored baechu cabb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75-479. 

  28. Hahn YS. 2003. Effect of salt type and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43-747. 

  29. Shim YH, Ahn GH, Yoo CH. 2003. Characteristics of salted Chinese cabbage in relation to salt content, temperature and tim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210-215. 

  30. Park WS, Lee IS, Han YS, Koo YJ. 1994. Kimchi preparation with brined Chinese cabbage and seasoning mixture stored separately.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31-238. 

  31. Han KY, Noh BS. 1996. Characterization of Chinese cabbage during soaking in sodium chloride solu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707-713. 

  32. Rhee HS, Lee CH, Lee GJ. 1987.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extural properties of Korean cabbage during salting. Korean J Soc Food Sci 3: 64-70. 

  33. Jeon YS, Kye IS, Cheigh HS. 1999. Changes of vitamin C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on different cabbage variety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73-7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