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스트레스, 외로움 및 자살시도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Self-control, Stress, Loneli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12, 2011년, pp.5541 - 5549  

이영미 (강원대학교 삼척제2캠퍼스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스트레스, 외로움 및 자살시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자살시도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1,253명의 대학생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Program으로 기술통계, $x^2$-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통계 처리 하였다. 자살시도를 한 정도는 대학생의 13.6%로 나타났고, 자기통제, 인터넷 중독,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불안, 외로움의 점수는 각각 69.9점, 42.5점, 86.4점, 48.2점, 46.2점, 40.1점 이었다. 자살시도는 성별, 종교, 부모 생존, 가족의 경제적 상태, 주거형태, 교우관계, 운동, 음주, 외로움, 상태불안, 스트레스, 자기통제력 그리고 인터넷 중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살시도의 영향요인은 부모생존, 인터넷 중독, 성별, 운동 그리고 외로움으로 나타났고, 변수의 설명력은 5.5%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에 대한 자살예방 프로그램과 조기 선별검사를 실시하여 대학생의 자살시도의 예방을 제안 한다. 향후 대학생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규명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self-control, stress, loneli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prevention of suicide occurrenc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53 university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인터넷 중독, 일상적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상태불안 및 외로움 등의 요인들과 자살시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자살시도의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대학생의 자살 예방 대책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스트레스, 외로움 및 자살시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생의 자살사고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대학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스트레스, 외로움 및 자살시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29세 청년층의 자살률이 1위인 이유는 무엇인가? 20대의 주 연령층인 대학생은 성인으로의 전환과정에 위치하고 있어서, 취업을 통해 경제적 독립에 대한 가족의 기대와 사회적 압력 등의 복잡한 심리사회적 위기에 당면하게 되는 시기로써, 내․외부적 혼란의 경험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죽음을 택하기도 한다[4].
자살시도는 무엇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가? 1점 이었다. 자살시도는 성별, 종교, 부모 생존, 가족의 경제적 상태, 주거형태, 교우관계, 운동, 음주, 외로움, 상태불안, 스트레스, 자기통제력 그리고 인터넷 중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살시도의 영향요인은 부모생존, 인터넷 중독, 성별, 운동 그리고 외로움으로 나타났고, 변수의 설명력은 5.
자살시도의 영향요인으로는 무엇이 나타났는가? 자살시도는 성별, 종교, 부모 생존, 가족의 경제적 상태, 주거형태, 교우관계, 운동, 음주, 외로움, 상태불안, 스트레스, 자기통제력 그리고 인터넷 중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살시도의 영향요인은 부모생존, 인터넷 중독, 성별, 운동 그리고 외로움으로 나타났고, 변수의 설명력은 5.5%를 차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tatistics Korea 2009, September 14.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2008. Retrieved July 20, 2010, from http://kostat.go.kr/ 

  2. Statistic Korea. 2008.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2007. from http://kostat.go.kr/ 

  3. Kim, J. J. 2009. An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suicidal ideation. Mental Health & Social Work, 32, 413-437. 

  4. Donald, M., Dower, I., Correa-Velez, & Jones, M. 2006.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medically serious sucide attempt: A comparison of hospital-based with population based-samples of young adults. The Australr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40, 87-96. 

  5. Lim, B. K. 2010.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stress and self-efficacy on suicidal ide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 Ju. 

  6. Roh, M. S., Jeon, H. J., Lee, H. W., Lee, H. J., Han, S. K., & Hahm, B. J. 2007. Suicide-related behaviors among the college students.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46(1), 35-40. 

  7. Jenkins, G. R., Hale, R., Papanastassiou, M., Crawford, M. J., & Tyrer, P. 2002. Suicide rate 22 year after parasuicide: cohort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325(7373), 1155-1160. 

  8.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 2006.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National College Health Assessment (ACHA-NCHA) Spring 2004 Reference Group data report (abridged).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4, 201-211. 

  9. Yoo, J. S., Son, J. W., & Nam, M. S. 2008. Factors influencing suicide ideat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3), 419-430. 

  10. Ryu, E. J., Choi, K. S., Seo, J. S., & Nam, B. W. 2004.The relationship of internet addict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1), 102-110. 

  11. Hong, Y. S. 2004. The effects of life and psychosocial resources for adolescent suicidal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2. Song, W. Y. 1998.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on the addictive use of interne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Young, K. S. 1998. Caught in the net. New York: Wiley & Sons press. 

  14. Lee, S. H., Lee, S. Y., Kim, E. J., & Oh, S. G. 2000. Internet addiction of adolescence and offspring education. Samsung Life Public Wellfare Foundation. 

  15. Delongis, A., Folkman, S., & Lazarus, R. S. 1988. The impact if daily stress on health and mood: Psychological and social resources as mediato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486-496. 

  16. Kim, C. H. 1995. Relationship of the daily hassle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trategies with emotional experience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7(1), 44-69. 

  17.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Reports, 51, 663-671. 

  18. Spielberger, C. D. 1972. Anxiety as Emotional State : Currents Trend in Theory and Research.. 1, Academic Press Inc. 23-49. 

  19. Kim, J. T. & Shin, D. K. 1972.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Newwest Medical Journal, 21(11), 69-75. 

  20. Russell, D., Peplau, L. A., &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 Psychology, 39(3), 472-480. 

  21. Kim, O. S. 1997.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4), 871-879. 

  22. Schmidtke, A., Weinacker, B., & Fricke, S. 1996. Suizid-und Suizidversuchsraten bei Kindern und Jugendlichen in den alten Landern der Bundesre-publik und der ehemaligen DDR. Kinderarzt, 27, 151-162. 

  23. McAndrew, F. T. & Garrison, A. J. 2007. Beliefs about gender differences in methods and causes of suicide.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11, 271-279. 

  24. Choi, D. C., Kim, H. R., Kim, C. H., Park, S. H., Kim, S. H., Cho, Y. R. et al., 2006.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room. Korean Journal of Psychopathology, 9, 36-49. 

  25. Williams, M. 1997. Cry of pain: Understanding suicide and self-harm. London: Penguin Books. 

  26. Wang, M. C., Lightsey, O. R., Pietruszka, T., Uruk, A. C., & Wells, A. G. 2007. Purpose in life and reason for living as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and suicidal behavior.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2(3), 195-204. 

  27. Hur, J. W., Choi, K. Y., Lee, B. H., Shim, S. H., Yang, J. C., & Kim, Y. K. 2007. The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suicide attempt.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6(2), 129-135. 

  28. Peluso, M. A. & Guerra de Andrade, L. H. 2005.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the association between exercise and mood. Clinics, 60(1), 61-70. 

  29. Kim, H. C. 200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suicide and suicidal type.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Social Issues, 12(1), 15-33. 

  30. Rubenowitz, Waern, Whilemson, & Allebeck,. 2001. Life events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elderly studies a case control study. Psychological Medicine, 31(7), 1193-1202. 

  31. Horesh, N., Rolnick, T., Janeu, I., Dannon, P., Lepkiker, E., Apter, A., et al. 1996. Coping styles and suicide risk.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93(6), 489-493. 

  32. http://welfare.samsunglife.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