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도구와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간의 관계 연구
Influence of Learning Instru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Learning Achievement in Online Learn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3, 2013년, pp.456 - 467  

심선경 (서울사이버대학교 복지시설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하여 학습도구의 개발과 자기조절학습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이버대학의 온라인 수업에서 사용되는 학습도구-강의, 과제, 참여도구-와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사이버대학교에서 인간복지학부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지 226개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강의, 과제, 참여도구는 모두 자기조절학습-인지, 초인지, 관리-전략에 긍정적 영향을 보였고, 자기조절학습도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학습도구는 학업성취에 대한 직접적 영향을 나타나지 않았고, 초인지전략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에 영향을 보였다. 즉 학습도구의 개발은 학습자들의 자기조절학습의 강화전략과 연계된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level of learning achievement by on-line learning instruments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3 learning instrument-lecture, homework, participation-self related learning strategy, learning achievement. This Survey was con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접효과에 대한 분석은 X→Y→Z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으로, X변수가 Y변수에 의해 매개되어 Z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도구가 자기조절학습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조절학습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학습도구가 자기조절학습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것으로 온라인 수업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학습도구의 개발과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서 온라인 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이버대학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을 현재 온라인 수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3개의 학습도구- 강의, 과제, 참여도구-가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인지, 초인지, 관리-에 따라 그 효과를 달리하는지, 학습도구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학습도구가 자기조절학습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도구가 자기조절학습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조절학습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학습도구가 자기조절학습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되는 학습도구는 자기 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지, 자기조절학습은 학업성취에 효과적인지, 학습도구가 자기조절학습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환경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학습환경은 수업이 이루어지는 장소 또는 장면 뿐 아니라 수업방법, 학습도구, 학습자의 학습을 안내하고 정보를 입수하는데 필요한 장비까지를 포함한다[22]. 온라인 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간에 면대면 학습이 아니기 때문에 온라인 강의와 상호작용을 돕는 학습도구 등은 학습을 진행하는 핵심도구이자 주요 학습환경이 된다.
초인지전략은 어떠한 활동인가? 초인지전략은 자신의 인지를 계획하고 점검, 교정하는 것으로, 자기평가, 목표설정과 계획, 자료검토, 자기 귀인 등이 포함된다. 즉 학습자가 자신이 이해하고 있는 것과 아닌 것을 구분하고 집중하는 활동이다[2]. 계획은 목표를 설정하거나 교재를 자세히 읽기전에 훑어보거나 과제를 분석하는 행위이다.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환경이란? 학습환경은 수업이 이루어지는 장소 또는 장면 뿐 아니라 수업방법, 학습도구, 학습자의 학습을 안내하고 정보를 입수하는데 필요한 장비까지를 포함한다[22]. 온라인 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간에 면대면 학습이 아니기 때문에 온라인 강의와 상호작용을 돕는 학습도구 등은 학습을 진행하는 핵심도구이자 주요 학습환경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권금주,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e-learning 사회복지교과목을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 12권, 제3호, pp.1717-1728, 2010. 

  2. 권성연, 자기조절학습의 단계와 구성요인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2. 

  3. 권호천, "온라인학습자 상호작용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사이버대학 수업 질문답변 게시판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6권, 제2호, pp.5-37, 2009. 

  4. 김경숙, 인터넷 학습자료의 제시유형과 자기규제 학습수준이 프로그래밍 언어학습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5. 김병철, 류근호, "e-learning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2호, pp.53-60, 2005. 

  6. 김원경, 황성현, 관승우,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자 -학습자, 학습자-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2권, 제1호, pp.23-46, 2006. 

  7.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8. 남정권, WAI환경과 자기조절학습: 웹기반 자기 조절학습 지원 전략, 한국학술정보(주), 2006. 

  9. 박형민, 염창선, "u-learning의 학습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0권, 제1호, pp.461-473, 2008. 

  10. 박홍균, "컴퓨터 기반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학습방법이 학습과정과 학습성취에 미치는 영향", 敎育情報技術硏究, 제7권 ,제4호, pp.33-53, 2001. 

  11. 백영균, 웹기반학습의 설계, 양서원, 2003. 

  12. 송주영,"학습자의 학습양식이 웹기반 혼합교육 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469-478, 2010. 

  13. 송인섭, 박성윤, "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연구", 교육심리연구, 제 14권, 제2호, pp.29-64. 2000. 

  14. 신민희, "자기조절학습이론: 이론, 구성요소, 설계원리", 교육공학연구, 제14권, 제1호(1),pp.143-162, 1998. 

  15. 심선경, "온라인수업에서 학습도구와 학습성취, 학습만족간의 관계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487-497, 2012. 

  16. 안도희, 이유정, "중학생의 성취목적과 학업동기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2권, 제4호, pp.2117-2133, 2010. 

  17. 양정훈, "정보화사회의 사이버교육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10권, 제2호, pp.149-189, 2002. 

  18. 윤현상, 김삼곤,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자아존중감 및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제13권, 제2호, pp.194-211, 2001. 

  19. 이규녀, 최완식, "e-러닝에서 학습참여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학습 요소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제7권, 제3호, pp.210-223, 2007. 

  20. 이웅규, 이종기, "자기주도학습과 이러닝 학습환경 만족: 자기조절효능감에 의한 비교분석", 한국경영과학회보, 제31권, 제3호, pp.127-142, 2006. 

  21. 이인숙, "e-learning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자기효능감과 e-learning 학습전략 수준 및 학업성취도 관련성 규명", 교육공학연구, 제18권, 제 3호, pp.3-25, 2003. 

  22. 이칭찬, 신민희, 신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동문사, 2005. 

  23. 이혜정, "온라인 원격학습환경에서 수업설계와 운영방식이 성적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업교육학회지, 제36권, 제1호, pp.169-180, 2004. 

  24. 이혜정, 김태현, "e-learning 콘텐츠 제시 유형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추계종합학술대회, pp.727-732, 2007. 

  25. 임철일, "웹기반 자기조절학습 환경을 위한 설계, 및 운영전략이 자기조절학습수준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공학연구, 제18권, 제2호, pp.117-137, 2002. 

  26. 정미경, 자기조절학습탐구, 한국학술정보, 2008. 

  27. 제보영, 김영수,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메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규명", 교육공학연구, 제24권, 제4호, pp.193-224, 2008. 

  28. 주영주, 김지영, 최혜리, "기업사이버교육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 만족도, 학업지속의향간의 구조적인 관계", 교육공학연구, 제2권, 제4호, pp.101-124, 2009. 

  29. 차대운, 문용은, 윤중현, 김유리, "브랜디드 러닝의 학습참여도와 성취도에 관한 실험연구", 경영연구논총, 제38권, 제1호, pp.3-18, 2005. 

  30. 최병연, 유경훈,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간의 구조분석", 교육문화연구, 제16권, 제3호, pp.183-203, 2010. 

  31. 한건환, 민윤기, "아동이 낙관성, 내 외적 동기,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의 관계성",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9권, 제6호, pp.3089-3101, 2007. 

  32. 한태인, "EBSi 수능방송에서 이러닝서비스 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변화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4권, 제1호, pp.477-485, 2002. 

  33. 허균,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서 수업만족 영향요 인의 구조적 모델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제10권, 제1호, pp.135-143, 2009. 

  34. T. Garcia, P. R. Pintrich, "Student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 LISEL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33 006], 1991. 

  35. P. R. Pintrich and E. V. DeGroot,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2, pp.33-40, 1990. 

  36. B. J. Zimmerma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Vol.25, No.1, pp.3-17, 1990. 

  37. B. J. Zimmerman and M. Martinez-Pons, M.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23, No.4, pp.614-628,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