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대근무간호사의 건강증진생활양식수준과 영향요인
Effect Factors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of Shift Work Nurses 원문보기

산업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0 no.3, 2011년, pp.356 - 364  

김영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factors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of shift work nurses. Methods: The 418 working nurses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with consent were analysed. Results: The average level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 of shift work nurses was 2.21 and 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대근무간호사를 대상으로 건강증진생활양식 수준 및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결과 교대근무간호사의 비율은 전체간호사 중 66.
  • 본 연구는 교대근무간호사의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직업이 있는 간호사로서 연구에 동의한 418명이었다.
  • 본 연구는 교대근무간호사의 인구 심리 및 직업 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생활양식수준을 파악하고, 건강증진생활양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중에서 자기효능감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Kim, Kim, Park, Kim, & Koo, 2007)이라는 결과가 보고된 바 있으며, 여러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Seo & Hah, 2004; Lee, 2001; Kim, 2001; Chun & Kim, 1996; Bandura, 1986).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의 건강증진생활양식수준과 자기효능감을 포함한 인구 및 건강, 심리, 직업 관련특성 등이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교대근무간호사의 건강증진향상을 위한 심층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대근무로 인한 환경으로 간호사들이 어렵게 생각하는 점의 순위는 어떠한가? 1%에 이르고 있어(Kim & Lee, 2010) 간호사가 교대근무를 하는 대표적 직종임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교대근무로 인한 환경으로 간호사들이 어렵게 생각하는 점은 생활리듬의 불규칙, 피로감, 육아 문제, 수면부족 순이었고 위염, 설사, 변비 등의 건강문제를 크게 호소한 바 있고(Lee et al., 2005), 교대근무 간호사들이 고정근무간호사보다 건강상태가 낮고, 수면문제, 직무만족이 낮다는 연구들이(Choi, 2008; Im et al.
교대근무간호사의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는 어떠한가? 교대근무간호사의 건강증진생활양식수준은 평균 2.21점으로 비교대근무간호사 2.36점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교대근무간호사에서 가장 높은 건강증진생활양식은 대인관계(평균 2.79점)였으며, 신체활동(평균 1.58점)은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연령이 낮고, 미혼, 일반간호사, 교대근무기간이 짧은 경우 식습관실천이 낮았으며, 기혼이나 연령이 많을수록, 교대근무기간이 길어질수록 신체활동력이 낮았고. 전문대졸업과 건강하지 못한 경우 스트레스관리를 잘 하지 못하였다. 건강행위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건강증진 전 영역에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으며,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정도, 피로도가 클수록 건강증진샐활양식의 수준은 낮았다. 결론적으로 건강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건강증진생황양식의 전 영역에 대해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암 이외에 10대 사망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7%로 1위를 나타내고 있다(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1). 암 이외에 10대 사망원인은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자살, 당뇨병, 만성하기도 질환, 운수사고, 간질환, 폐렴, 고혈압성질환 등으로 만성질환이 주요 사망원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만성질환은 생활습관과 관련되므로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대한 관심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 S. M., Jeong, I., Kim, J., & Jeon, S. S. (2004). A study oninfluencing factors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women workers at small-scale industr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6), 964-973. 

  2. Bandura, A. (1986). Self-efficacy: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cognitive theory. NJ: Prentice-Hall, Inc. 

  3. Choi, H. J. (2008). Comparison of health conditions, sleeping condition,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job between nurses working only during day and those working in shif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4. Chun, C. J., & Kim, Y. H. (1996). Correlational study of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self esteem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adulthood.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8(1), 41-54. 

  5. Higashiguchi, K., Morikawa, Y., Miura, K., Nishijo, M., Tabata, M., Ishizaki, M., et al. (1999) Burnout and related factors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41, 215-224. 

  6. Im, S. B., Yu, S. Y., Seo, E. B., Lee, S. J., Yun, B. R., Seo, E. J., et al. (2006). The effects of shift work on the nurses' negative affectivity and sleep disor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1), 40-47. 

  7. Kang, H. G., Ko, Y. K., Jee, Y. G., Kim, S. J., Yoon, H., Kim, M. A., et al. (2005). The effect of shift- work on psychological factors in university hospital's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1(1), 1-10. 

  8. Kho, H. J., Kim, M. Y., Kwon, Y. S., Kim, C. N., Park, K. M., Park, J. S., et al. (2004). The fatigue experience of shift work nurses.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8(1), 103-118. 

  9. Kim, E. K., Kim, B. G., Park, J. T., Kim, H. R., & Koo, J. W. (2007).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1), 56-64. 

  10. Kim, H. S. (1998). Model development of affect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and juvenile delinquency of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1. Kim, J. H., & Park, S. A. (2003).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job stress responses of the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9(2), 217-232. 

  12. Kim, M. S.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0(2), 153-163. 

  13. Kim, S. H., Lee, W. H., Kang, D. H., Park, J. H., Min, S. G., & Nho, J. H. (2006). Perceived stress, life style, health status indicators in medical center employe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3), 407-417. 

  14. Kim, Y. G., Yoon, D. Y., Kim, J. I., Chae, C. H., Hong, Y. S., Yang, C. G., et al. (2002), Effects of health on shift-work.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4(3), 247-256. 

  15. Kim, Y. I., & Lee, B. I. (2010). Affecting factors on nurses' stress-coping in schoolwork.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9(2), 150-158. 

  16. Kim, Y. J., & Lee, K. H. (1999). Factors influencing relate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hospital nurses. The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5(2), 51-64. 

  17. Kim, Y. M. (2002). Predictive 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industrial shift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1(1), 13-31. 

  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0, September 9). 2009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October 17, 2011, from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012 

  19. Lee, D. W. (2001). A study on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 influenced by primary school students' self-concep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20. Lee, K. J., Kim, M. R., Lee, A. S., Lee, J. H., Jang, Y. H., & Jung, M. S. (2005), Development of working type for nurses's working condition improvement, Hospital Nurses Association, 409-428. 

  21. Lee, M. K., Lee, M. S., & Park, K. O. (1997). Factors affecting on hospital worker's stress sympto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9(1), 61-74. 

  22. Lee, W. C. (1997). Occupational stress of hospital worker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3(1), 1-33. 

  23. Seo, H. M., & Hah, Y. S. (2004).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elderly: Application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7), 1288-1297. 

  24. Silva, A. A., de Souza, J. M., Borges, F. N., & Fischer, F. M. (2010).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working conditions among nursing providers. Review Saude Publication, 44(4), 718-725. 

  25. Sung, M. H., Kim, H. J., & Han, Y. M. (2007). A study of health statu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on day shift and nurses on night shif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1), 32-29. 

  26. Park, H., Jung, H. S., & Lee, J. H. (2009). Effects of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in teach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2(2), 183-191. 

  27. Park, Y. N., Cho, Y. C., Kim, H. L., & Yang, H. K. (2007).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sleep problems and fatigue symptoms of nurses for general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1), 37-47. 

  28. Pender, N. J. (199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rd ed.). Connecticut: Appleton and Lange Stamford. 

  29.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R. (1987).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