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가 피로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Fatigue and Depression among Shift Nurse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4, 2014년, pp.2256 - 2264  

이은주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신승화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피로 및 우울을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가 피로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대상자는 경상북도 A시에 소재한 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243명의 간호사로,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9월 19일부터 25일까지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0.0을 사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COVA,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점수는 모든 항목에서 비교대근무 간호사 보다 낮았고 피로와 우울에서는 높게 나타났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증진행위로는 영적성장 및 스트레스 관리로 11%의 설명력을 보였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증진행위로는 신체활동 및 대인관계로 5%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관차원에서 교대근무 간호사의 근무 형태를 고려한 맞춤형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과, 피로와 우울 중재를 통한 간호 업무성과 향상을 위한 영적성장, 대인관계, 신체활동 및 스트레스관리 항목이 강화된 전문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the effect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on fatigue and depression and to investigate these levels among n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9th 2012 to September 25th 2012 by questionnaires from 243 hospital nurses of 3 hospitals in Kyungsang-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피로 및 우울 수준을 비교대근무 간호사와 비교하고, 스트레스 관리, 운동, 영양, 건강책임, 대인관계 및 영적 성장의 각 건강증진행위가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지역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43명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 피로 및 우울을 파악하고, 피로와 우울에 건강증진행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교대근무 간호사는 비교대근무 간호사 보다 건강증진행위 하부 영역들의 점수가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그 중 대인관계 건강증진행위 점수가 가장 높은 반면, 신체활동 건강증진행위 점수는 가장 낮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 행위, 피로 및 우울의 수준을 비교대근무 간호사와 비교 하여 확인하고, 이에 대한 건강증진행위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설계는 병원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 행위, 피로 및 우울의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가 피로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건강증진행위, 우울 및 피로의 관계는 우울과 피로가 높으면 건강증진행위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반대로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키면 피로와 우울이 감소되는 순환 고리를 가지고 있다[33,38]. 이에 본 연구는 건강증진행위, 우울 및 피로의 단편적인 연구에만 그치지 안고, 건강증진행위의 하부 영역들이 어떻게 우울과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 간호사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고 환자에게 질 높은 간호 서비스 제공 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자는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피로와 우울의 양상 및 건강증진행위가 비교대근무 간호사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의 실천 정도가 피로와 우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향후 간호사들의 건강증진 행위 개선 방안마련에 기여하고, 간호사들의 건강 증진 뿐 아니라 나아가 환자에게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직률이 높다는 것은 어떤 문제가 있다는 것인가? 8%로 확인되었고 이는 적절한 간호사의 이직률이 5-10%임을 고려할 때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1,2].이직률이 높다는 것은 조직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저해하며 대상자들에게 질적으로 우수한 간호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2].
피로를 호소하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선행 연구에서는 일반 교대근무자가 비교대근무자에 비해 피로가 높다고 보고하였으며[7,8],밤 시간의 힘든 업무 및 빠른 낮 근무로의 변경은 간호사들에게 심한 피로를 유발하며[8],교대근무 간호사의 66%-67%가 피로를 호소한다고 보고하고 있다[9,10].간호사들의 신체적,정신적 피로는 간호사의 이직률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의료사고 발생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며,이러한 피로에 대한 저항으로 우울해지기를 포함하는 부정적인 사회,정신,신체적 저항반응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1].
2013년 병원간호사회에서 197개의 전국 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참여 병원의 간호사의 평균 이직률은? 2013년 병원간호사회에서 197개의 전국 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참여 병원의 간호사의 평균 이직률이 16.8%로 확인되었고 이는 적절한 간호사의 이직률이 5-10%임을 고려할 때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1,2].이직률이 높다는 것은 조직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저해하며 대상자들에게 질적으로 우수한 간호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Hospital Nurese Association. "The arrangement of hospital nurses", pp.15-80, Hospital Nurese Association Publishers, 2013. 

    인용구절

    인용 구절

    2013년 병원간호사회에서 197개의 전국 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참여 병원의 간호사의 평균 이직률이 16.8%로 확인되었고 이는 적절한 간호사의 이직률이 5-10%임을 고려할 때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1,2].

  2. B. L. Atencio, J. Cohen & B. Gorenberg. "Nurse retention: is it worth it?", Nursing Economics , Vol. 21, No. 6, pp. 262-268, 2003.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2013년 병원간호사회에서 197개의 전국 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참여 병원의 간호사의 평균 이직률이 16.8%로 확인되었고 이는 적절한 간호사의 이직률이 5-10%임을 고려할 때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1,2].

    이직률이 높다는 것은 조직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저해하며 대상자들에게 질적으로 우수한 간호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2].

  3. S. S. Kim, J. S. Park & Y. S. Roh. "Terelationship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perc- eived health status, body image, and heatlh promoting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Vol. 17, pp. 88-99, 2005. 

    인용구절

    인용 구절

    최근 들어 환자의 권익보호 및 양질의 의료 서비스에 대한 기대 확대로 간호사의 신체적, 정신적 소모가 과거에 비해 증가되었으나 대다수 병원들이 간호 인력을 충분히 보유하지 못하고 있어, 간호사들의 업무 과중이 초래되어 피로를 넘어 탈진의 상황까지 초래하고 있다[3].

  4. J. Shen, L. C. Botly, S. A. Chung, et al., "Fatigue and shift work", Journal of Sleep Research, Vol. 15, No. 1, pp. 1-5, 2006. DOI: http://dx.doi.org/10.1111/j.1365-2869.2006.00493.x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간호사는 24시간 환자를 간호해야 하는 업무의 특성상 교대근무가 불가피하며, 교대근무는 생체리듬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건강문제를 초래한다[4].간호사의 건강상태는 간호업무의 효율적인 수행 및 정확한 간호제공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의료사고와 직결되는 만큼 양질의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현안이 아닐 수 없다[5].

    특히 교대근무는 생체리듬의 교란으로 많은 피로를 유발시켜 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는데, 피로의 누적은 심리적 안녕과 더불어 건강한 생활양식을 유지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4].

  5. P. A. Ratner & R. Sawatzky, "Health status, preventive behavior and risk factors among female nurses", Health Reports, Vol. 20,No. 3, pp. 1-9,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간호사는 24시간 환자를 간호해야 하는 업무의 특성상 교대근무가 불가피하며, 교대근무는 생체리듬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건강문제를 초래한다[4].간호사의 건강상태는 간호업무의 효율적인 수행 및 정확한 간호제공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의료사고와 직결되는 만큼 양질의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현안이 아닐 수 없다[5].

  6. J. Trendall, "Concept analysis: chronic fatigu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32, No. 5, pp. 1126-1131, 2000. DOI: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0.01583.x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피로는 건강상태 변화의 일차적인 경고반응이며, 장기간 지속되면 개인의 건강상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6].

  7. Y. N. Park, H. K. Yang, H. L. Kim, et al.,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sleep problems and fatigue symptoms of nurses for general hospital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16, No. 1, pp. 37-47, 2007. 

    인용구절

    인용 구절

    선행 연구에서는 일반 교대근무자가 비교대근무자에 비해 피로가 높다고 보고하였으며[7,8], 밤 시간의 힘든 업무 및 빠른 낮 근무로의 변경은 간호사들에게 심한 피로를 유발하며[8], 교대근무 간호사의 66%-67%가 피로를 호소한다고 보고하고 있다[9,10].

  8. E. J. Yeun, H. J. Kim, & M, S, Jeon,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hospital registered nurses mood states, resourcefulness, and health perception".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17, No. 2, pp.198-208, 2011.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2.198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선행 연구에서는 일반 교대근무자가 비교대근무자에 비해 피로가 높다고 보고하였으며[7,8], 밤 시간의 힘든 업무 및 빠른 낮 근무로의 변경은 간호사들에게 심한 피로를 유발하며[8], 교대근무 간호사의 66%-67%가 피로를 호소한다고 보고하고 있다[9,10].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 우울, 건강증진행위 등의 각 변인들을 비교대근무 간호사와의 비교 없이 단편적으로 조사하였거나[8,19], 직무스트레스나 사회적지지 등과 우울과 피로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고[14], 일부 선행 연구에서 운동과 신체활동을 포함한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는 것이 피로와 우울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20,21].

  9. T. S. Lee, "Circadian type and fatigue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4. 

    인용구절

    인용 구절

    선행 연구에서는 일반 교대근무자가 비교대근무자에 비해 피로가 높다고 보고하였으며[7,8], 밤 시간의 힘든 업무 및 빠른 낮 근무로의 변경은 간호사들에게 심한 피로를 유발하며[8], 교대근무 간호사의 66%-67%가 피로를 호소한다고 보고하고 있다[9,10].

  10. Y. H. Kim & S. H. Cho, "A Study on the fatigue of hospital nurses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16, No. 2, pp. 271-284, 2002. 

    인용구절

    인용 구절

    선행 연구에서는 일반 교대근무자가 비교대근무자에 비해 피로가 높다고 보고하였으며[7,8], 밤 시간의 힘든 업무 및 빠른 낮 근무로의 변경은 간호사들에게 심한 피로를 유발하며[8], 교대근무 간호사의 66%-67%가 피로를 호소한다고 보고하고 있다[9,10].

  11. H. J. Ko, M. Y. Kim, Y. S. Kwon, et al., "The fatigue experience of shift work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18, No. 1, pp. 103-118, 2004. 

    인용구절

    인용 구절

    간호사들의 신체적, 정신적 피로는 간호사의 이직률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의료사고 발생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며, 이러한 피로에 대한 저항으로 우울해지기를 포함하는 부정적인 사회, 정신, 신체적 저항반응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1].

  12.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s survey", Ministry of Health Welfare, KNHANESIV-3, 2010. 

    인용구절

    인용 구절

    우울은 우울한 기분, 비관적이고 부정적인 생각, 그리고 신체적인 기능과 동기의 저하 등을 동반하며 개인 생활의 활기저하, 의욕이나 흥미 상실로 인해 주위 사람들에 대한 관심도 줄어들게 되는데, 대부분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의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

  13. W. H. Lee & C. J.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anger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6, No. 6, pp. 925-932. 2006.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특히 간호사는 평균보다 높은 우울 성향을 보이는 대상자가 40%를 상회한다[13].

  14. J. H. Kim, M. Y. Hyun & S. Y. Kim, "Job str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18, No. 2, pp. 219-231,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우울은 일상적인 건강관리 능력을 감소시켜 간호사 개인의 건강 뿐 아니라 근무의욕과 업무수행능률 감소, 잦은 결근 및 이직 등과 같은 병원 조직의 인력관리 문제를 일으키고 환자에게 양질의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14], 간호사의 우울에 대한 이해는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 우울, 건강증진행위 등의 각 변인들을 비교대근무 간호사와의 비교 없이 단편적으로 조사하였거나[8,19], 직무스트레스나 사회적지지 등과 우울과 피로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고[14], 일부 선행 연구에서 운동과 신체활동을 포함한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는 것이 피로와 우울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20,21].

  15. S. Damrosch, "General strategies for motivatin people to change their behavior",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26, No. 4, pp. 833-843, 1991. 

    인용구절

    인용 구절

    건강증진행위는 건강에 해로운 습관을 수정하고 건강에 유익한 생활 습관을 받아들이고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는데[15], 간호사의 건강증진 행위를 조사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간호사는 다른 직종의 근로자나 성인들에 비해 건강증진 실천률이 낮으며, 신체 활동이나 영양관리 영역에서의 건강증진 행위가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6-18].

  16. G. S. Le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perceptual factors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middle aged women" Master thesis, Gachon University, Inchun, 2006. 

    인용구절

    인용 구절

    건강증진행위는 건강에 해로운 습관을 수정하고 건강에 유익한 생활 습관을 받아들이고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는데[15], 간호사의 건강증진 행위를 조사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간호사는 다른 직종의 근로자나 성인들에 비해 건강증진 실천률이 낮으며, 신체 활동이나 영양관리 영역에서의 건강증진 행위가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6-18].

  17. H. Y. Kim & E. J. Yeun,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resourcefuln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6, No. 1, pp. 17-26. 2010. 

    인용구절

    인용 구절

    건강증진행위는 건강에 해로운 습관을 수정하고 건강에 유익한 생활 습관을 받아들이고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는데[15], 간호사의 건강증진 행위를 조사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간호사는 다른 직종의 근로자나 성인들에 비해 건강증진 실천률이 낮으며, 신체 활동이나 영양관리 영역에서의 건강증진 행위가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6-18].

  18. M. L. Sim, "A study on health-promoting beheavior and it's affecting factors of hospital nurses" Master thesis, Kyungbuk University, Daegu, 2010. 

    인용구절

    인용 구절

    건강증진행위는 건강에 해로운 습관을 수정하고 건강에 유익한 생활 습관을 받아들이고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는데[15], 간호사의 건강증진 행위를 조사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간호사는 다른 직종의 근로자나 성인들에 비해 건강증진 실천률이 낮으며, 신체 활동이나 영양관리 영역에서의 건강증진 행위가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6-18].

  19. Y. J. Son & Y. R. Park, "Relationships between sleep quality, fatigue and depress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by shift-work patterns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and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 13, No. 3, pp. 229-237, 2011. 

    인용구절

    인용 구절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 우울, 건강증진행위 등의 각 변인들을 비교대근무 간호사와의 비교 없이 단편적으로 조사하였거나[8,19], 직무스트레스나 사회적지지 등과 우울과 피로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고[14], 일부 선행 연구에서 운동과 신체활동을 포함한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는 것이 피로와 우울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20,21].

  20. K. H. Choi, Y. S. Yu, Y. H. Park et al., "The effects of lebed method exercise on nurses'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5, No. 1, pp. 67-77,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 우울, 건강증진행위 등의 각 변인들을 비교대근무 간호사와의 비교 없이 단편적으로 조사하였거나[8,19], 직무스트레스나 사회적지지 등과 우울과 피로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고[14], 일부 선행 연구에서 운동과 신체활동을 포함한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는 것이 피로와 우울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20,21].

  21. R. L. S. Jonathan, "Recognition of shift-work disorder in primary care",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 59, No. 1, pp. S18-S23, 2010.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 우울, 건강증진행위 등의 각 변인들을 비교대근무 간호사와의 비교 없이 단편적으로 조사하였거나[8,19], 직무스트레스나 사회적지지 등과 우울과 피로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고[14], 일부 선행 연구에서 운동과 신체활동을 포함한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는 것이 피로와 우울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20,21].

    번안 당시 연구에서는 신뢰도 Cronbach’sa=.83이였으며[21],본 연구에서의 신뢰도Cronbach’sa=.93이다.

  22. J. E. Schwartz, L. Jandorf & L. B. Krupp, "The measurement of fatigue: a new instrument" Journal Psychosomatic Research, Vol. 37, No. 7, pp. 735-762, 1993. DOI: http://dx.doi.org/10.1016/0022-3999(93)90104-N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피로 정도 측정은 Schwartz 등(1993)이 개발한 FatigueAssessmentInventory를 토대로 장세진(2000)이 국내의 실정에 맞게 19개의 문항으로 재구성한 다차원피로척도 (MultidimensionalFatigueScale:MFS)를 이용하였다[22-23].

  23. S. J. Chang, S. B. Ko, M. G. Kang, et al., "Correlates of self-rated fatigue in Korean employee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 38, No. 1, pp. 71-81, 2005. 

    인용구절

    인용 구절

    피로 정도 측정은 Schwartz 등(1993)이 개발한 FatigueAssessmentInventory를 토대로 장세진(2000)이 국내의 실정에 맞게 19개의 문항으로 재구성한 다차원피로척도 (MultidimensionalFatigueScale:MFS)를 이용하였다[22-23].

  24.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 1, pp. 385-401, 1977. DOI: http://dx.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우울 정도의 측정은 Radloff(1977)에 의해 개발된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를 바탕으로 전겸구와 이민규(1992)가 번안한 한국판 CES-D를 사용하였다[24-25].

    개발 당시 16점 이상이면 임상적 우울을 의미한다고 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개발 당시 Cronbach’sa=.85[24], 번안 시 Cronbach’sa=.89[25],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a=.93이다.

  25. K. K. Chon & M. K. Rhee,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1, No. 1, pp. 65-76, 1992. 

    인용구절

    인용 구절

    우울 정도의 측정은 Radloff(1977)에 의해 개발된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를 바탕으로 전겸구와 이민규(1992)가 번안한 한국판 CES-D를 사용하였다[24-25].

    개발 당시 16점 이상이면 임상적 우울을 의미한다고 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개발 당시 Cronbach’sa=.85[24], 번안 시 Cronbach’sa=.89[25],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a=.93이다.

  26. Walker, S. N. "Health promoting life style profileII: scoring instruction",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Nebraska, 1996. 

    인용구절

    인용 구절

    건강증진행위 정도의 측정은 Walker(1996)이 개발한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Ⅱ (HPLP-Ⅱ)를 윤순녕과 김정희(1999)가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26-27].

    Walker(1996)는 총 점보다 하위영역의 점수 사용을 제안하였다[26].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a=.92[26]이였으며, 번역 당시 Cronbach’sa=.91[27]이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Cronbach’sa=.93이다.

  27. S. N. Yun & J. H. Kim,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women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e, Vol. 8, No. 2, pp. 130-140, 1999. 

    인용구절

    인용 구절

    건강증진행위 정도의 측정은 Walker(1996)이 개발한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Ⅱ (HPLP-Ⅱ)를 윤순녕과 김정희(1999)가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26-27].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a=.92[26]이였으며, 번역 당시 Cronbach’sa=.91[27]이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Cronbach’sa=.93이다.

  28. J. Y. Yun, O. K. Ham, I. S. Cho, et al., "Effec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mental health status of shift and non-shift nurses on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6, No. 2, pp. 268-279, 2012. DOI: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2.268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일반적 특성 비교에서 교대근무 간호사는 비교대근무 간호사에 비해 연령과 근무경력이 낮았으며 3년제 전문 대학 졸업자와 미혼자의 비율은 더 높았다.본 특성은 윤지영, 함옥경, 조인숙과 임지영(2012)의 연구에서 교대근무 간호사의 경우 비교대근무 간호사에 비해 연령과 근무경력이 낮으며, 미혼자 및 일반간호사의 비율이 높다는 보고와 일치하는 결과이다[28].

    건강증진행위는 하부 영역이 균등하게 배분된 프로그램이 건강 증진 향상에 중요함을 고려할 때[28] 운동의 유익성을 강조하여 증진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반면 윤지영 등(2012)의 연구에서는 측정도구는 다르지만 교대근무 간호사와 비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하위영역 중 규칙적 식사, 건강식이, 식이조절, 휴식 및 수면, 운동 및 활동, 전문적 건강관리 및 자아실현 영역에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28].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증진행위 하위영역은 피로의 경우 영적성장 및 스트레스관리가 11%의 설명력을 보여, 건강증진행위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피로가 더 가중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스트레스는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와의 관련성과 삶의 질을 저해하는 주요인으로 밝혀진 바 있어[28], 이를 관리하고 중재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겠다.

  29. E. C. Chung & B. N. Doh, "Job stres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hospital nurses",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Vol. 11, No. 3, pp. 398-405, 2002.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는 임상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를 조사한 정의정과 도복늠(2002), 한금선 등(2004)의 연구에서 지지적 대인관계가 가장 높고, 운동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는 보고와 비슷하였다[29,30].

  30. K. S. Han, J. H. Kim, K. M. Lee, et al.,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hospital staff nurses"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Vol. 13, No. 4, pp. 430-437, 2004.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는 임상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를 조사한 정의정과 도복늠(2002), 한금선 등(2004)의 연구에서 지지적 대인관계가 가장 높고, 운동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는 보고와 비슷하였다[29,30].

  31. Y. S. Cho, J. Park, S. Y. Ryu et al.,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health promotion life style on job satisfaction in general hospitals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6, No. 1, pp. 5-15, 2012. DOI: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1.005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조영순 등(2012)의 연구에서는 종합병원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를 조사한결과 대인관계가 두 번째로 높았으며, 운동 영역이 가장 낮았다[31].

  32. Y. J. Son & Y. R. Park, "Relationships between sleep quality, fatigue and depress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by shit-work patterns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ience, Vol. 13, No. 3, pp. 229-237, 2011.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러한 결과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점수가 비교대근무 간호사보다 낮다고 보고한 손연정과 박영례(2011)의 연구와 비슷한 결과이나[32] 건강증진행위 하위영역에 대한 비교를 하지 않아 본 연구와 세부적인 비교는 어려웠다.

    또한 손연정과 박영례(2011)의 연구에서도 피로와 우울 및 건강증진 행위 간에 상관관계를 보고하였고[32], Neville 과 Cole(2013)의 연구에서도 건강증진행위는 공감피로 (compassionfatigue), 우울 및 소진을 감소시켜 간호사 안녕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혀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33].

  33. K. Neville & D. A. Cole, "The relationships amo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in nurse spracticing in a community medical center"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43, No. 6, pp. 348-54, 2013. DOI: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2942c23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손연정과 박영례(2011)의 연구에서도 피로와 우울 및 건강증진 행위 간에 상관관계를 보고하였고[32], Neville 과 Cole(2013)의 연구에서도 건강증진행위는 공감피로 (compassionfatigue), 우울 및 소진을 감소시켜 간호사 안녕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혀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33].

    건강증진행위, 우울 및 피로의 관계는 우울과 피로가 높으면 건강증진행위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반대로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키면 피로와 우울이 감소되는 순환 고리를 가지고 있다[33,38].

  34. M. Y. Park, J. Park, S. Y. Ryu, et. al., "The influence of health promotion life style, perception of head nurse's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n the work performance among nurses of some veterans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5, No. 1, pp. 45-53, 2009. 

  35. W. H. Lee & C. J.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anger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6, pp. 925-932, 2006.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원희와 김춘자(2006)는 임상간호사들의 신체적, 정신적 피로는 우울과 정적 상관관계를[35], 윤은자, 김희정과 전미순(2011)은 간호사들의 기분상태와 건강증진 행위가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36].

  36. E. J. Yun, H. J. Kim & M. S. Jeon,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hospital registered nurses -Mood states, resourcefulness, and health percep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2, pp. 198-208, 2011.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2.198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원희와 김춘자(2006)는 임상간호사들의 신체적, 정신적 피로는 우울과 정적 상관관계를[35], 윤은자, 김희정과 전미순(2011)은 간호사들의 기분상태와 건강증진 행위가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36].

  37. D. A. Crone, A. Smith, & B. Gough, "I feel totally alive, totally happy and totally at one': A psycho social explanation of the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relationship from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on exercise referral schemes" Health Education Research, Vol. 20, No. 5, pp. 600-611, 2005. DOI: http://dx.doi.org/10.1093/her/cyh007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Crone,Smith 와 Gough(2005)의 연구에서도 여가스포츠 활동은 대인 관계 증진 및 피로와 우울 감소와 같은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한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37].

  38. D. J. Byers, M. N. Wicks & T. H. Beard, "Depressive symptom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African-American women who are family caregivers of hemodialysis recipients", Nephrology Nursing Journal, Vol. 38, No. 5, pp. 425-431, 2011.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건강증진행위, 우울 및 피로의 관계는 우울과 피로가 높으면 건강증진행위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반대로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키면 피로와 우울이 감소되는 순환 고리를 가지고 있다[3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