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akei proBio65의 면역 조절 특성
Characteristics of immunomodulation by a Lactobacillus sakei proBio65 isolated from Kimchi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9 no.3, 2011년, pp.313 - 316  

임정희 (영남대학교 생명공학부) ,  서병주 (영남대학교 생명공학부) ,  김정은 (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  채창석 (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  임신혁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  한윤수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  박용하 (영남대학교 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로부터 새로운 프로바이오틱균주인 Lactobacillus sakei proBio65를 분리하고 명명하였다. 형질전환 생쥐(Foxp3-GFP KI 생쥐)를 이용하여 L. sakei proBio65의 면역조절 메커니즘 규명 및 면역 조절능을 확인하고 in vivo 적용 질환제어 응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조절 T 세포의 master 전사조절인자로 알려진 $Foxp3^+$를 선정하고, L. sakei가 $Foxp3^+$ 전사조절인자를 증가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해 확립된 세포기반 screening system을 이용하였다. 항 염증성 사이토카인 전사조질인자의 증가에 이어 $Foxp3^+$ 전자조절인자발현의 상당한 증가를 확인하였다. L. sakei proBio65는 염증성면역 장애의 조절에 치료적으로 유용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solated and identified a novel probiotic strain, Lactobacillus sakei proBio65 from Kimchi. To determine whether L. sakei proBio65 has an immunomodulatory effect, we investigated cells via an in vitro screening system which co-cultured freshly isolated mesenteric lymphocyte with probiotics. A s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sakei proBio65(1×109 CFU/mL)와 공동배양을 수행하였다. 72시간 동안 생쥐의 장간막 림프구과 L. sakei proBio65를 1:1 공동배양(장간막 림프구의 개수를 측정하며, L. sakei proBio65는 장간막 림프구의 개수와 동일한 균수를 접종) 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GFP+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L. sakei proBio65가 Foxp3 전사조절인자를 증가시킬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였다(Fig. 1).
  • IL-12와 더불어 Th1 세포의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진 IFN-γ의 발현능과 최근 자가면역질환에서 중요한 병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Th17 세포의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인 IL-17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L.
  • sakei proBio65의 항 염증성 유산균주의 선별 표지 물질로 조절 T 세포의 master 전사조절인자로 알려진 Foxp3를 선정하였다. L. sakei proBio65가 Foxp3 전사조절인자를 증가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기반 screening system을 이용하여 면역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해 보았다.
  • L. sakei proBio65에 의한 IL-12의 발현 억제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IL-10과 동일한 sandwich ELISA 방법을 시행하였다.
  • IL-12와 더불어 Th1 세포의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진 IFN-γ의 발현능과 최근 자가면역질환에서 중요한 병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Th17 세포의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인 IL-17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L. sakei proBio65와 장간막 림프구를 1:1 공동배양을 하여 세포의 mRNA를 분리한 후 real-time PCR 실시간 증폭기를 이용하여 PBS와 공동배양 한 샘플과 비교를 통하여 L. sakei proBio65의 IFN-γ와 IL-17발현 조절능을 평가하였다(Fig. 5).
  • L. sakei proBio65와 장간막 림프구를 공동배양 후 얻어진 상층액으로 IL-12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Fig. 3). 그 결과 L.
  • 따라서 유산균의 투여를 통해 면역세포에서 IL-12의 생성을 감소 또는 억제시키는 유산균의 경우 강력한 항염증성 기능을 가질 수 있다[4]. L. sakei proBio65와 장간막 림프구와의 공동배양을 통해서 분비되는 IL-12 단백질의 양을 비교하여, 항염증성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 따라서 유산균의 투여를 통해 면역세포에서 IL10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유산균의 경우 강력한 항염증성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L. sakei proBio65와 장간막 림프구와 공동배양을 통해서 분비되는 상층액에 존재하는 IL-10 단백질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L. sakei proBio65에 의한 항염증성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 sakei proBio65를 공동배양 후 얻어진 상층액을 첨가하였다. 항체와 결합한 상층액을 인식하는 또 다른 항체(detection 항체)와 결합하게 한 후 secondary 항체에 결합되어 있는 효소에 의해 기질이 분해되면서 신호가 나오는 원리를 이용하여 각 상층액에 존재하는 IL-10의 양을 비교 분석하였다(Fig. 2).

대상 데이터

  • Foxp3 전사조절인자에 GFP 형광표지 단백질이 표지된 형질전환 생쥐(Foxp3-GFP KI 생쥐, 광주과학기술원)를 이용하였다. 생후 6-8주령 Foxp3- GFP KI 생쥐로부터 장간막 림프절을 분리한 후 장간막 림프구와 MRS 고체배지(Difco, USA)를 이용하여 37℃, 20시간 배양한 L.
  • 본 연구진들은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인 김치로부터 유래한 유산균 L. sakei proBio65의 항 염증성 유산균주의 선별 표지 물질로 조절 T 세포의 master 전사조절인자로 알려진 Foxp3를 선정하였다. L.
  • 생후 6-8주령 Foxp3- GFP KI 생쥐로부터 장간막 림프절을 분리한 후 장간막 림프구와 MRS 고체배지(Difco, USA)를 이용하여 37℃, 20시간 배양한 L. sakei proBio65(1×109 CFU/mL)와 공동배양을 수행하였다.

이론/모형

  • L. sakei proBio65에 의한 IL-10을 증가능을 평가하기 위해 sandwitch ELISA 방법을 사용하였다. plate에 IL-10와 결합할 수 있는 항체를 붙인 후 장간막 림프구와 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면역 체계는 어떻게 유지되는가? 면역 체계(Immune system)는 면역 반응(Immune response)과 면역 관용(Immune tolerance)의 균형을 이룸으로써 유지된다. 면역 반응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병원체 등을 제거하는 과정이며, 면역 관용은 체내에 존재하는 물질 혹은 생명체가 필요로 하는 외부 물질 등에 과잉 면역을 억제하는 기작이다.
IL-10은 T 세포에 작용하여 어떻게 항염증 작용을 하는가? IL-10은 Th1 세포의 IFN-γ 생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다른 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를 억제한다. 즉, T 세포에 작용하여 Th1 세포의 IL2, IFN-γ 형성을 억제하여 세포성 면역을 억제하고 대식세포, 자연사 세포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작용을 한다[3]. 따라서 유산균의 투여를 통해 면역세포에서 IL10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유산균의 경우 강력한 항염증성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유산균이란 무엇인가? 유산균(probiotics)은 숙주가 적정한 양을 섭취하였을 경우, 숙주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미생물로 Bifidobacteria, Lactobacillus 등이 비교적 잘 알려져 있으며, 각 균 주마다 여러 메커니즘을 통해 면역체계를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leerebezem, M. and E. E. Vaughan. 2009. Probiotic and gut lactobacilli and bifidobacteria molecular approaches to study diversity and activity. Annu. Rev. Microbiol. 63: 269- 290. 

  2. Leavy, O. 2007. Regulatory T cells in autoimmunity. Nat. Rev. Immunol. 5: 322-323. 

  3. Margarida Saraiva1 and Anne O'Garra. 2010. The regulation of IL-10 production by immune cells. Nat. Rev. Immunol. 10: 170-181. 

  4. Langrish, C. L., B. S. McKenzie, N. J. Wilson, R. de Waal Malefyt, R. A. Kastelein, and D. J. Cua. 2004. IL-12 and IL- 23: master regulators of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Immunol. Rev. 202: 96-105. 

  5. Ziegler, S. F. 2006. FOXP3: Of mice and men. Annu. Rev. Immunol. 24: 209-226 

  6. Marteau, P. 2006. Probiotics, prebiotics, synbiotics: Ecological treatment for inflammatory bowel diease. Gut. 55: 1692- 1693. 

  7. Sudo, N., X. N. Yu, Y. Aiba, N. Oyama, J. Sonoda, Y. Koga, and C. Kubo. 2002. An oral introduction of intestinal bacteria prevents the development of a long-term Th2- skewed immunological memory induced by neonatal antibiotic treatment in mice. Clin. Exp. Allergy. 32: 1112- 1116. 

  8. Kim, C. H. 2006. Migration and function of FoxP3+ regulatory T cells in the hematolymphoid system. Exp. Hematol. 34: 1033-1040. 

  9. Macpherson, A. J. and Uhr, T. 2004. Induction of protective IgA by intestinal dendritic cells carrying commensal bacteria. Science. 303: 1662-1665. 

  10. Maul J., C. Loddenkemper, P. Mundt, E. Berg, T. Giese, A. Stallmach, M. Zeitz, and R. Duchmann. 2005. Peripheral and intestinal regulatory CD4+ CD25 (high) T cell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Gastroenterology. 128: 1868-1878. 

  11. Bouma, G. and W. Strober. 2003. The immunological and genetic basi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Nat. Rev. Immunol. 3: 521-533. 

  12. Collado, M. C., J. Meriluoto, and S. Salminen. 2007. Development of new probiotics by strain combinations: Is it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to intestinal mucus?. J. Dairy. Sci. 90: 2710-27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