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1급 호텔 조리사의 위생교육 현황과 위생관련 조리업무 인지 및 직무수행도
Status of Sanitary Education and Recogni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Cooking Operations Related to Sanitation for Cooks in a Super Deluxe Hotel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1 no.5, 2011년, pp.746 - 755  

장명하 (한화호텔&리조트) ,  강근옥 (국립한경대학교 영양조리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urvey on the status of sanitary education and recogni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cooking operations related to sanitation for cooks at nine deluxe hotels in the Seoul area was conducted. The frequency of a food sanitary training program inside the hotel was 94.0%, and the frequency of tra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들 선행연구를 토대로 특급호텔에 근무하는 조리사들의 HACCP를 비롯한 위생교육 현황과 인식, 위생개념 인지, 위생관련 조리업무 인지 및 직무수행도를 조사하여 전반적인 위생체계 분야의 개선방안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위생개념 중 개인위생 중요도, 개인위생 만족도 및 업장의 음식위생 안전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Table 7과 같이 연령, 조리경력 및 직급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먼저 연령에서 보면 40세 이상에서 개인위생 중요도(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중독 사고가 대량으로 발생할 위험은 점점 커가고 있으며, 발생원인도 날로 다양화되고 있는 이유는? 급식 및 외식기회의 증가와 이상고온 현상의 발생 등으로 식중독 사고가 대량으로 발생할 위험은 점점 커가고 있으며, 발생원인도 날로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Ha et al 2006). 외식업체에서 식품의 안전은 고객뿐 아니라 종사원 모두를 안전하게 하며, 외식업체의 존재까지도 보호하는 것이다.
서비스 산업의 중심축에 있는 호텔에서도 전략적인 기업경영의 다각화 및 글로벌화를 추진하는데 있어서 고객들의 식음료 상품에 대한 품질 기대와 상품의 안전성 즉, 위생 부분에 대한 요구에 매우 예민하게 대처해야 하며(곽노성 2008), 이를 반영한 대책 마련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이유는? 현대의 식생활 패턴은 대량 급식 및 외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품의 안전성 확보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또한 식품안전에 대한 욕구가 질적, 양적으로 다양화되고,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식품에 대한 사회적 가치가 양 및 비용에서 안전 및 건강으로 전환되는 등 국민의 웰빙형 식품안전 의식도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서비스 산업의 중심축에 있는 호텔에서도 전략적인 기업경영의 다각화 및 글로벌화를 추진하는데 있어서 고객들의 식음료 상품에 대한 품질 기대와 상품의 안전성 즉, 위생 부분에 대한 요구에 매우 예민하게 대처해야 하며(곽노성 2008), 이를 반영한 대책 마련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외식업체에서 식품의 안전은 무엇을 보호하는 것인가? 급식 및 외식기회의 증가와 이상고온 현상의 발생 등으로 식중독 사고가 대량으로 발생할 위험은 점점 커가고 있으며, 발생원인도 날로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Ha et al 2006). 외식업체에서 식품의 안전은 고객뿐 아니라 종사원 모두를 안전하게 하며, 외식업체의 존재까지도 보호하는 것이다. 특히 외식업체의 조리사들은 생산과정에서 식품과 가장 밀접하게 접촉하므로 고객에게 음식이 제공되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식품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류경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곽노성 (2008) 소비자 탐사대 운영에 대한 제언-국민과 함께하는 식품안전II.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 3. 

  2. 류경 (2007) 국내 급식?외식 위생기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급식?외식위생학회 종합학술대회. pp 11-19. 

  3. Bae HJ, Chae MJ, Jung HA (2007) A comparison of opinions between dietitians and students parents on sanitation management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302-313. 

  4. Bae HJ, Jeon EK, Le HY (2008)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within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25-332. 

  5. Byun JS (2004) A study on the hotel kitchen employee's perception level with application of HACCP. MS Thesis Chungwoon University, Hongsung. p 32-65. 

  6. Chong YK, Kwak TK (2000) Perceived performance of sanitary management for school food service managers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5: 100-108. 

  7. Ha SD, Lee CH, Kim GH, Shin DH (2006) Evaluation of levels of technology in the field of food safety. Safe Food 1: 16-22. 

  8. Kang KO (2008) Studies on the sanitary recogni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sanitary management for school food service managers in the Kyonggi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264-275. 

  9. Kim HJ (2003) Evaluation of hotel food service employees for sanitation management and sanitation knowledge. MS Thesis Kyonggi university, Seoul. p 29-68. 

  10. Kim JE (2006) The influence of the hygiene practice on the HACCP hygiene education of employees cooking for school food services. M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p 1-60. 

  11. Kim JG (2004) Studies on the food hygiene & safety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kitchen employees in school food service programs. Korean J Env Hlth 30: 173-183. 

  12. Kim JM, Kim AR, Heo J (2007) The influences of the important perception on food hygiene to kitchen employees performance in hotel banquet. Korean Culinary Research 13: 75-86. 

  13. Kim YS (2003) The importance of hygiene condition and HACCP system application at school food service. Food Science & Industry 36: 92-98. 

  14. Kwak TK, Hong WS, Moon HK, Rue K, Chang HJ (2001) Assessment of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of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Seoul. J Fd Hyg Safety 16: 168- 177. 

  15. Kwak TK, Lee KM, Chang HJ, Kang YJ, Hong WS, Moon HK (2005) Analysis of critical control point through field assessment of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in food service establishm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290-300. 

  16. Lee YE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sanitation training program at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in Chungbuk province.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2: 68- 81. 

  17. Lim YH, Kwak HO (2006) A study on the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employees in Daejeon and Chungnam area. Korean J Food Culture 21: 381-387. 

  18. Lyu ES, Chang HJ (1995) Food sanitary practices of the employees in university and industry foodservices. Korean J Soc Food Sci 11: 274-281. 

  19. Moon HK, Hwang JO (2003) Study of hygienic knowledge and recognition on job performance levels for HACCP application for employees at contract foodservices. Korean J Food Cookery Sci 8: 71-82. 

  20. Shin MH, Youn JS, Kang KO (2009) Estimating recognition of sanitation and sanitary education in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from the Kyunggi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301-309. 

  21. Soh GS, Kim YS, Shin DH (2007) A survey on the sanitary management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J Fd Hyg Safety 22: 63-75. 

  22. Song DH (2006) An assessment of food sagety knowledge and practices of restaurant employees.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p 2-54. 

  23. Yoo BS (2005) A study on the sanitation standard of the restaurant food & beverage - HACCP. MS Thesis Youngsan University, Yangsan. p 36-45 

  24. Yoo SS, Shin YC (2007) Perceived importance of kitchen equipment and facilities on cook's hygienic performance in deluxe hotels. Korean J Soc Food Sci 23: 25-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