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구강간호교육이 노인요양시설 돌봄제공자의 구강간호 지식, 태도 및 행위와 재원노인의 구강위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ral Care Education on Caregivers' Knowledge, Attitude, & Behavior toward Oral Hygiene for Elderly Residents in a Nursing Hom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5, 2011년, pp.684 - 693  

박명숙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  최스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서울대 간호과학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al care education on knowledge, attitudes & behavior of caregivers in oral care and oral hygiene for residents in nursing homes. Methods: In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the intervention group (n=27) of residents received oral care from intervention group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강간호 교육프로그램이 노인요양시설 돌봄제공자의 구강간호지식, 태도 및 행위와 재원노인의 구강위생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돌봄제공자에게 제공한 구강간호교육은 돌봄제공자의 구강간호 지식(p < .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돌봄제공자를 대상으로 6주간의 구강간호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구강간호지식, 태도 및 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재원노인의 구강위생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전후시계설계이다. 2개 층(floor)으로 된 1개 시설전체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구자가 제비뽑기를 통해 1개 층은 돌봄제공자 및 재원노인 대조군, 1개 층은 돌봄제공자 및 재원노인 중재군으로 하였고 대조군의 자료수집이 끝난 후 중재군의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요양시설 돌봄제공자에게 제공한 구강간호 교육 프로그램이 이들의 구강간호 지식, 태도 및 행위와 간호대상인 재원노인의 구강위생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구강간호 교육프로그램을 받은 중재군 돌봄제공자의 구강간호 지식, 태도 및 행위와 재원노인의 구강위생상태가 돌봄제공자 및 재원노인 대조군에 비해 향상되어 이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 돌봄제공자에게 구강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구강간호교육이 돌봄제공자의 구강간호 지식, 태도 및 행위와 재원노인의 구강위생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요양시설 돌봄제공자에게 제공한 구강간호 교육 프로그램이 이들의 구강간호 지식, 태도 및 행위와 간호대상인 재원노인의 구강위생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구강간호 교육프로그램을 받은 중재군 돌봄제공자의 구강간호 지식, 태도 및 행위와 재원노인의 구강위생상태가 돌봄제공자 및 재원노인 대조군에 비해 향상되어 이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돌봄제공자 대조군이란? 돌봄제공자 대조군은 재원노인 대조군을 돌보는 돌봄제공자로, 1개층 돌봄제공자 대조군 모집단 45명 중 연구에 동의한 40명이 선정되었으나 12주 후 사직(n= 8), 근무지이동(5), 병원입원(n=1) 등으로 14명이 탈락하여 최종 26명이 돌봄제공자 대조군으로 선정되었다 (탈락률 35%). 돌봄제공자 중재군은 재원노인 중재군을 돌보는 돌봄제공자로, 1개층 돌봄제공자 중재군 모집단 45명 중 연구에 동의한 37명이 선정되었으나 12주 후 사직(n= 6), 근무지이동(n=3) 등의 이유로 9명이 탈락하여 최종 2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탈락률 24%).
노인 구강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이유는? 인구의 고령화와 경제수준 향상으로 노인건강, 특히 구강질환예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Peterson, 2009). 이처럼 노인 구강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이들이 기능저하 및 구강 건조증 등으로 인한 구강질환발생 취약 대상자이기 때문이다(Park & Ryu, 2010). 치아우식, 치주질환, 구취와 구강통증과 같은 구강건강문제는 영양불량(Choi, 2009), 폐렴, 심혈관 질환, 감염성 심내막염 및 당뇨악화(Xiaojing, Kristin, Lief, & Ingar, 2000)와 뇌졸중(Sim et al.
요양시설 재원노인들은 구강건강문제에 취약한데 그 이유는? 특히 요양시설 재원노인들은 일상생활 기능의존도가 높아 구강 간호 시 돌봄제공자(caregivers), 즉 간호사, 간호조무사 및 요양보호 사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 구강건강문제에 매우 취약한 대상자들이다(Coleman & Watson, 2006). 그러나 이들은 시설 돌봄제공자의 시간부족(Wårdh, Hallber, Berggren, Anderson, & Sörensen, 2000), 구강간호 지식부족(Mo, Choi, & Kim, 2008; Thean, Wong, & Koh, 2007) 및 중요성 인식부족(Sweeny et al., 2007) 등으로 인해 구강 간호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국내 선행연구 결과에서도 요양시설 재원노인들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 비해 구강 건강상태가 매우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Kim, Jung, Lee, & Kim, 2007; Yang, Moon, Han, Lee, & Jung,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lmers, J., & Johnson, V. (2002).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 oral hygiene care for functionally dependent and cognitive impaired older adults. Iowa: The University of IOWA Gerontological Nursing Interventions Research Center Translation and Dissemination Core. 

  2. Choi, H. S. (2009). Evaluation of the health status and dietary intake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by dental statu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Yongin. 

  3. Chung, S. H. (2006). The effects of an essential oil mouthrinse on oral health in the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84-92.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 Coleman, P., & Watson, N. M. (2006). Oral care provided by certified nursing assistant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4, 138-143. doi:10.1111/j.1532-5415.2005.00565 

  6. Frenkel, H. F., Harvey, I., & Newcombe, R. G. (2001). Improving oral health in institutionalised elderly people by educating caregiver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Community Dental Oral Epidemiolgy, 29, 289-97. doi: 10.1034/j.1600-0528.2001.290408 

  7. Frenkel, H. F., Harvey, I., & Needs, K. M. (2002). Oral health care education and its effects on caregivers' knowledge and attitude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Community Dental Oral Epidemiolgy, 30, 91-100. doi: 10.1034/j.1600-0528.2002.300202 

  8. Kim, S. H., Jung, J. A., Lee, B. J., & Kim, D. K. (2007). Comparison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people lived in nursing home with private home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 31, 366-375. 

  9. Korean Society for NeuroRehabilitation. (2005, April).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 Retrieved May 11, 2009, from http://www.ksnr.or.kr/popup/main_pop_02.html 

  10. Macentee, M. I., Wyatt, C. C. L., Beattie, B. L., Paterson, B., Levy-Milne, R., McCandless, L., et al. (2007). Provision of mouth-car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 educational trial. Community Dental Oral Epidemiology, 35, 25-34. doi:10.1111/j.1600-0528.2007.00318 

  11. McConnell, E. S., Lekan, D., Hebert, C., & Leatherwood, L. (2007). Academic-practice partnerships to promote evidence-based practice in long-term care: Oral hygiene care practices as an exemplar. Nursing Outlook, 55(2), 95-105. doi:10.1016/j.outlook.2006.12.003 

  12. Ministry for Health & Welfare. (2009, April 4). 09 The list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Retrieved May 9, 2009 from http://stat.mw.go.kr/stat/data/cm_data_view.jsp?menu_codeMN01020502&cont_seq10964& page2&search_key&search_word 

  13. Mo, H. S, Choi, K. B., & Kim, J. S. (2008). Knowledge of oral health and its predictors in nursing staff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15, 428-437. 

  14. Nicol, R., Sweeny, M. P., McHugh, S., & Bagg, J. (2005). Effectiveness of health care worker training on the oral health of elderly residents of nursing homes. Community Dental Oral Epidemiolgy, 33, 115-124. doi:10.1111/j.1600-0528.2004.00212 

  15. O'Leary, T. J., Drake, R. B., & Naylor, J. E. (1972). The plaque control record. Journal of Periodontology, 43(1), 38. 

  16. Park, M. S. (2010). The effects of oral health care education for care providers in a long-term care facility. Unpublished Docto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7. Park, M. S., & Ryu, S. A. (2010). Degree of dry mouth and factors influenc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community-dwelling el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747-755. doi:10.1040/jkan. 2010.40.5.747 

  18. Paulsson, G., Fridlund, B., Holmen, A., & Nederfors, T. (1998). Evaluation of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personnel in special hou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Special Care in Dentistry, 18, 234-242. 

  19. Peterson, P. E. (2009). Global policy for improvement of oral health in the 21st century-Implications to oral health research of world health assembly 2007, World Health Organization. Community Dental Oral Epidemiology, 37(1), 1-8. doi:10.1111/j.1600-0528.2008.00448 

  20. Petola, P., Vehkalahti, M. M., & Simoila, R. (2007). Effects of 11-month interventions on oral cleanliness among the long-term hospitalized elderly. Gerodontology, 24, 14-21. doi:10.1111/j.1741-2358.2007.00147 

  21. Reed, R., Broder, H. L., Jenkins, G., Spivak, E., & Janal, M. (2006). Oral health promotion among older persons and their care providers in a nursing home facility. Gerodontolgy, 23, 73-78. doi:10.1111/j.1741-2358.2006. 00119 

  22. Sim, S., Kim, H., Moon, J., Zavras, A. I., Zdanowicz, J., Jang, S., et al. (2008). Periodontitis and the risk for non-fatal stroke in Korean adults. Journal of Periodontology, 79, 1652-1658. doi:10.1902/jop.2008.080015 

  23. Simons, D., Baker, P., Jones, B., Kidd, E. A. M., & Beighton, D. (2000). An evaluation of an oral health training programme for carers of the elderly in residential homes. British Dental Journal, 188(4), 206-210. 

  24. Sjogren, P., Kullberg, E., Hoogstraate, J., Johansson, O., Herbst, B., & Forsell, M. (2010). Evaluation of dental hygiene education for nursing home staff.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 345-349. doi:10.1111/j.1365-2648. 2009.05181 

  25. Sweeney, M. P., Williams, C., Kennedy, C., Macpherson, L. M. D., Turner, S., & Bagg, J. (2007). Oral health care and status of elderly care home residents in Glasgow. Community Dental Health, 24, 37-42. 

  26. Thean, H., Wong, M. L., & Koh, H. (2007). The dental awareness of nursing home staff in Singapore-a pilot study. Gerodontology, 24, 58-63. doi:10.1111/j.1741-2358.2007.00138 

  27. Wardh, I, Hallberg, L. R., Berggren, U., Andersson, L., & Sorensen, S. (2000) Oral health care-a low priority in nursing: In-depth interviews with nursing staff.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14, 137-142. 

  28. Woo, C., Kim, K., Kim, S., Kim, J., Woo, S., Yoon, J., et al. (2003). Korean version of CERAD assessment packet.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9. Xiaojing, L., Kristin, M. K., Lief, T., & Ingar, O. (2000). Systemic disease caused by oral infection.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13, 547-558. 

  30. Yang, S. B., Moon, H. S., Han, D. H., Lee, H. Y., & Jung, M. G. (2008). Oral health status and treatment need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46, 455-4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