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어린이집 유아 휴대 수저 및 수저집의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고, 가정과 어린이집에서 수저 및 수저집의 위생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세척 방법과 자외선 살균소독 시간을 제시하고자 유아 휴대 수저 36건 및 수저집 42건 등 총 78건을 실험하였다. 수저 36건 중 20건(55.6%), 지퍼형 수저집 20건 중 9건(45.0%), 플라스틱형 수저집 22건 중 13건(59.1%)에서 2.7 log CFU/$100cm^2$ 이상의 일반세균수가 검출되어 즉각적인 위생조치를 강구해야 하는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저 36건 중 19건(52.8%), 지퍼형 수저집 20건 중 14건(70.0%), 플라스틱형 수저집 22건 중 14건(63.6%)에서 대장균군이 검출되어 어린이집 유아 휴대 수저 및 수저집에 대한 위생조치가 요구되며, 가장 높은 위해수준을 나타낸 지퍼형 수저집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저와 플라스틱형 수저집에서는 실험한 모든 식중독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지퍼형 수저집 20건 중 2건(10.0%)에서 Staph. aureus가 검출되었고, 3건(13.6%)에서 B. cereus가 검출되어 지퍼형 수저집이 식중독 미생물 오염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 방법에 따른 미생물 저감화 효과를 실험한 결과 수세미에 주방세제를 첨가하여 30초간 세척한 후 30초간 흐르는 수돗물로 세척했을 경우 수저, 지퍼형 및 플라스틱형 수저집 모두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가정에서 수저 및 수저집을 1분 이상 깨끗이 세척, 건조시켜야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자외선 살균소독 시간에 따른 미생물 저감화 효과를 실험한 결과 15분 살균시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아 어린이집에서 수저 및 수저집을 15분 이상 자외선 살균소독기로 살균할 경우 대장균을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각 어린이집의 자외선 살균소독기의 램프 출력량과 살균대상 수저집의 수량을 고려하여 각각의 제조사가 제시하는 자외선 살균소독기 권장살균시간 이상 수저 및 수저집을 살균하여 제공하여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icrobiological hazard of spoons and their cases carried by nursery school children and to evaluate the reduction effects of washing methods and ultraviolet (UV) treatments against Escherichia coli on the spoon and spoon case. A total of 78 spoons and the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유아 휴대 수저 및 수저집의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고, 가정과 어린이집에서 수저 및 수저집의 위생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세척 방법과 자외선 살균소독 시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ND: not detected.
  • 2)S: susceptibility. 3)I: intermediat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낮은 출산율을 나타내는 이유는? 최근 우리나라는 육아와 교육에 대한 부담으로 저출산 현상이 고착화되어 세계적으로 가장 낮은 출산율을 나타내고 있다. 자녀 양육과 교육에 대한 부담으로 나타난 저출산 현상을 극복하고자 국가에서는 보육시설의 확충과 보육 서비스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동이 어린이집에서 사용하는 수저 및 수저집을 1분 이상 깨끗이 세척, 건조시켜야 하는 이유는? cereus가 검출되어 지퍼형 수저집이 식중독 미생물 오염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 방법에 따른 미생물 저감화 효과를 실험한 결과 수세미에 주방세제를 첨가하여 30초간 세척한 후 30초간 흐르는 수돗물로 세척했을 경우 수저, 지퍼형 및 플라스틱형 수저집 모두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가정에서 수저 및 수저집을 1분 이상 깨끗이 세척, 건조시켜야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집단급식시설의 식중독 발생 원인은? 8%로 음식점과 집단급식시설이 주요 식중독 발생 장소로 분석되고 있다(5). 집단급식시설의 식중독 발생 원인은 식재료 및 조리음식의 안전성 확보 미흡과 시설·설비의 부족이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으며(6), 급식 기구·용기 등의 세척과 살균소독이 불충분하여 집단식중독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 또한, 손, 스펀지, 행주, 조리기구 등에 의한 교차오염이 집단식중독 발생의 주요한 원인으로 보고되고(8-10) 있다. 따라서 어린이집 유아가 가정에서부터 휴대하여 식사에 사용하는 수저와 수저집의 세척이 불충분하면 미생물에 오염된 수저와 수저집을 통한 교차오염으로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상존한다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2009 Statistics on Child Care Service. Available at: http://library.mw.go.kr/skyblueopen/users/bogun/PdfViewer.aspx?mastid64771&pdf_urlK0032248.pdf. 

  2. Jang ML, Kim YB. 2003.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kindergarten meals program. J Korean Soc Early Childhood Education 23: 261-284. 

  3. Min JH, Lee YK. 2004.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for implementation of HACCP system in day-care center foodservice operation. I. Focus on heating process and after-heating process. Korean J Nutr 37: 712-721. 

  4. Min JH, Lee YK. 2004.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for implementation of HACCP system in day-care center foodservice operation. II. Focus on non-heating process. 

  5. KFDA. 2010. Information of Food Poison. Available at: 

  6. Kim JH, Kim YS, Han JS. 2004. Disinfection state and effective factors of facilities and utilities of elementary school in Busan-based in the characteristics of dietitian, employee and foodservice. J Korean Diet Assoc 10: 34-46. 

  7. Kim YS, Jeon YS, Han JS. 2001. Disinfection state and effective factors of utensils and equipments used to foodservice of elementary school in P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69-977. 

  8. Bryan FL. 1996. Hazard analysis: the link between epidemiology and microbiology. J Food Prot 59: 102-107. 

  9. Stauffer LD. 1971. Sanitation and the human ingredient. Hospital 45: 62-67. 

  10. Zhao P, Zhao T, Dolyle MP, Rubino JR, Meng J. 1998. 

  11. Jeong DK. 2005. Microbiological evaluation on the facilities and utilities of Korean restaur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611-1618. 

  12. Kim GY, Park GY, Chae MH. 2009. An analysis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n the facilities and utilities of Japanese restaurants. Korean J Culinary Res 15: 9-17. 

  13. Jeong DK, Lyu ES. 2002. The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environments and facilities at food service operations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61-220. 

  14. Kim HJ, Kim YS, Han JS. 2004. Seasonal changes of microbiological counts and sanitation state on the surface of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J Korean Soc Food Sci 

  15. Kim SY, Jeon YS, Kim JS. 2002. Inhibition effect of sanitizer against E. coli and a hygienic condition on the surface of utensils and equipments used to food serv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965-970. 

  16. Kim YJ, Choi KD, Shin IS. 2010. Bactericidal activity of strongly acidic electrolyzed water on various vegetables and kitchen appar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 Seol HR, Park HS, Park KH, Park AK, Ryu K. 2009. 

  18. KFDA. 2005. Food Code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 NCCLS. 2004.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Fourteenth informational supplement. 

  20. Harrigan WF, McCance ME. 1976. The examination of food processing plant. In Laboratory Methods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Academic Press, London, UK. p 231-236. 

  21. Kang MS, Chang YH. 2008. Sanitation assessment and microbiological analysis of the domestic kitchen utensils. 

  22. Jo SH, Kim CI, Ha SD. 2009. Outbreak pattern forecasting of food-borne disease in group food services in Korea. J 

  23. Dinges MM, Orwin PM, Schlievert PM. 2000. Exotoxins of Staphylococcus aureus. Clin Microbiol Rev 13: 16-34. 

  24. Kim JB, Kim JM, Kim SY, Kim JH, Park YB, Choi NJ, Oh 

  25. Nishi H, Komatsuzawa H, Yamada S, Fujiwara T, Ohara 

  26. Kim JB, Jeong HR, Park YB, Kim JM, Oh DH. 2010. Food poisoning associated with emetic-type of Bacillus cereus in Korea. Foodborne Pathog Dis 7: 555-563. 

  27. Bae YM, Heu SG, Lee SY. 2009. Inhibition effect of dryheat treatment and chemical sanitizer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contaminated on the surface of materia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265-1270. 

  28. Mok CK, Lee NH. 2008. Distribution of ultraviolet intensity and UV leaking of commercial UV sterilizers used in restaur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28-233. 

  29. Mok CK, Lee NH. 2009. Ultraviolet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in stainless steel cups. Food Eng Prog 13: 122-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