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업성취도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 및 전략 분석
The Analysis of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portional Reasoning Ability and Strategy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5 no.3, 2011년, pp.537 - 556  

엄선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  권혁진 (고려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최근 초등 수학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비례 추론에 초점을 두고 비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비례 추론 능력과 비례 추론 전략 사용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173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유형의 비례 문제를 제시하고 최대 세 가지 추론 전략을 사용하여 해결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상위권 학생들이 하위권 학생들보다 다양한 비례 추론 전략을 활용하고, 표현하고, 인식하는 능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선호하는 비례 추론 전략은 학업성취도에 따라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문제 유형과 문제에 제시된 숫자들의 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따른 능력 차이를 반영하여 적절한 비례적 추론 지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focuses on proportional reasoning being emphasized in today's elementary math, and analyzes the way students use their proportional reasoning abilities and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levels in solving proportional problems. For this purpose, various types of prop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의 형식적 사고에 매우 중요한 요소인 비례적 추론 능력을 발달시키고자 비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업성취도에 따라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학업성취도에 따라 학생들이 비례 추론 전략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올바른 비례적 추론 지도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제의 유형과 문제를 구성하고 있는 숫자가 정수비인지 정수비가 아닌지에 따라 학생들의 비례 추론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다.
  • 그러나 대다수의 초등학생들이 비와 비례 개념을 처음 접하였을 때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 따라서 초등 수학에서 반드시 성공적으로 지도해야 하는 비례 추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비례 추론 능력과 비례 추론 전략을 분석하였다.
  • , 2009)에서 사용한 문항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맞게 선별, 수정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예비 연구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여 비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비와 비례 단원을 학습한 6학년으로 연구 대상을 선정하고 대상에 맞게 검사지에 제시된 문제의 난이도를 조정하고 검사시간에 적절하게 문제의 개수를 조절하였으며, 앞의 문제가 뒤에 제시된 문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문제의 제시 순서 등을 재수정 및 보완한 후 2011년 5월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이 작성한 검사지를 토대로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생들의 문제 해결에서 나타나는 비례 추론 능력과 전략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의 형식적 사고에 매우 중요한 요소인 비례적 추론 능력을 발달시키고자 비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업성취도에 따라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학업성취도에 따라 학생들이 비례 추론 전략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올바른 비례적 추론 지도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총 8문항의 비례 문제를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각 문항별로 최대 3가지의 해결전략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여 학생들이 비례 문제를 해결할 때 다양한 추론 전략을 활용하는 능력을 살펴보았다. 검사는 K초등학교 6학년 6개 학급을 선정하여 5월 27일 각 반 담임교사의 감독아래 40분간 실시하였으며, 검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전에 담임교사에게 검사의 목적과 검사 방법, 검사 실시상의 유의점에 대해 충분히 전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Van Dooren 외(2009)가 제시한 전략을 토대로 비례식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형식적 접근(algorithm)을 전략 분석틀에 추가하였다. 비록 형식적 접근 방법이 학생들의 추론 과정을 알 수 없다는 단점은 있으나 현재 교육현장에서 비례식을 지도할 때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 같은 접근이 학생들의 비례 추론 전략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같은 사례는 김숙진(2011)의 연구에서도 비례 추론 문제 해결 내용적 전략 분석틀에 덧셈 추론 전략, 단위 비율 전략, 곱셈 추론 전략 다음으로 비례식의 성질을 이용하는 비례식 알고리즘 전략을 추가하여 학생들의 비례 추론 전략을 분석한 것을 볼 수 있다.
  • 이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례 추론 능력에 구조적 동질성을 인식하는 능력을 포함시킴으로써 비례 추론 능력을 문제의 유형이나 숫자의 영향 등을 받지 않고 두 비의 구조적 동질성을 잘 인식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자신의 추론 과정을 정확하게 표현하여 다양한 비례 추론 전략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과 비례 상황을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 개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김민경 · 권혁진(2010)의 연구에서도 수학 문제를 해결할 때 상위권 학생들은 수식의 사용을 선호하였고 문제 해결 과정에서 수학적 기호를 원활하게 사용한 반면 중, 하위권 학생들은 그림이나 표를 이용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도 비례 추론 능력에 비례 문제를 해결할 때 비례 상황을 일반화하고 자신의 사고 과정을 표현하는 능력을 포함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위의 연구들을 토대로 지필을 통해 분석할 수 있는 표현 양식만을 대상으로 하여 표현 양식을 글과 같은 언어적 표현, 그림이나 표 등과 같은 시각적 표현 그리고 수학적 기호와 수식을 이용한 기호적 표현으로 나누어 학생들이 자신의 비례 추론 과정을 어떤 표현 양식을 가지고 표현하는 지에 대한 표현 능력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비례 문제를 해결할 때 학업성취도에 따라 학생들이 사용하는 비례 추론 전략에 차이가 있는가?
  • 첫째, 비례 문제를 해결할 때 학업성취도에 따라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 수학에서 이러한 추론 교육의 가장 정점에 위치해 있는 것은 무엇인가? 초등 수학에서 이러한 추론 교육의 가장 정점에 위치해 있는 것이 바로 비례 추론(proportional reasoning)이다. 특히, 비례는 기하, 대수와 같은 다른 영역의 학습 요소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중․고등학교에서 배울 수학을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된다.
최근 초등 수학에서 중요시 되는 비례 추론에 초점을 두고 비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비례 추론 능력과 비례 추론 전략 사용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는?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173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유형의 비례 문제를 제시하고 최대 세 가지 추론 전략을 사용하여 해결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상위권 학생들이 하위권 학생들보다 다양한 비례 추론 전략을 활용하고, 표현하고, 인식하는 능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선호하는 비례 추론 전략은 학업성취도에 따라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문제 유형과 문제에 제시된 숫자들의 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따른 능력 차이를 반영하여 적절한 비례적 추론 지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비례 추론이란 무엇인가? 비례 추론은 수학적 추론의 하나로 초등 수학과 고등 수학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며 여러 수학적 개념들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박정숙, 2009). 비례 추론에 대한 정의는 연구자들 간에 다소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비례 추론은 비율, 비, 몫 그리고 분수와 같은 유리수 표현 사이의 총체적 관계에 대한 추론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 고은성?이경화 (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비례 추론 능력 분석 : 2명의 사례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연구 17(4), 359-380. 

  3. 권미숙?김남균 (2009).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교과서 비례 문제 해결과 비례 추론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2), 211-229. 

  4. 김민경?권혁진 (2010). 수학 문제 해결에서 학업성취도에 따른 표상 활용 능력과 특징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24(2), 475-502. 

  5. 김숙진 (2011). 초등학교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에 시각적 표현이 미치는 영향 : 5, 6학년을 대상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경은 (2004). 수학적 표상 활동 :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정숙 (2008). 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 유형과 비례상황 인지와의 관계.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609-627. 

  8. 박정숙 (2009). 학생의 비례추론의 분석 모형과 특성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이종욱 (2006). 4학년 아동의 비와 비례 개념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연구 16(2), 157-177. 

  10. 정은실 (2003). 비 개념에 대한 역사적, 수학적, 심리적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5(4), 421-440. 

  11. Bruner, J. S. (1967). Toward a theory of instruction, London : Oxford University Press. 

  12. Cramer, K., Post, T., & Currier, S. (1993). Learning and teaching ratio and proportion: research implications. In D. T. Owens (Ed.), Research ideas for the classroom: Middle grades mathematics (pp.159-178), New York: Macmillan. 

  13. Heller et al. (1989). Proportional reasoning : The effect of two context variables, rate type, and problem sett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3), 205-220. 

  14. Jane-Jane Lo & Watanabe, T. (1997). Developing Ratio and Proportion Schemes: A Story of a Fifth Grader.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8(2), 216-236. 

  15. Karplus, R., Pulos, S., & Stage, E. (1983). Early adolescents' proportional reasoning in 'rate' problem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4(3), 219-233. 

  16. Kaput, J. J., & West, M. M. (1994). Missing-value proportional reasoning problems: Factors affecting informal reasoning patterns. In G. Harel & J. Confrey (Eds.), The development of multiplicative reasoning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pp.235-287),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7. Lamon, S. (1989). Ratio and proportion: Preinstructional cognitions. PhD Thesis,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18. Lamon, S. (1993). Ratio and proportion: connecting content and children''s think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4(1), 41-61. 

  19. Lamon, S. (2007). Rational numbers and proportional reasoning: Towar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research. In F. K. Lester J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629-667), Reston, VA: NCTM. 

  20. Lesh, R., Post, T., & Behr, M. (1988). Proportional reasoning. In M. Behr, & J. Hiebert (Eds.), Number concepts and operations in the middle grades (pp.93-118),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1. Misailidou, C., & Williams, J. (2003). Diagnostic assessment of children's proportional reasoning.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2, 335-368. 

  2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3. Singh, P. (2000).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Proportion and Ratio Constructed by Two Grade Six Student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3(3), 271-292. 

  24. Tourniaire, F., & Pulos, S. (1985). Proportional reason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6(2), 181-204. 

  25. Van Dooren, W., De Bock, D., Hessels, A., Janssens, D., & Verschaffel, L. (2005). Not everything is proportional: Effects of age and problem type on propensities for overgeneralization. Cognition and Instruction, 23(1), 57-86. 

  26. Van Dooren, W., Bock, D. D., Evers, M., & Verschaffel, L. (2009). Students' overuse of proportionality on missing-value problems: How numbers may change solution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0(2), 187-2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