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안 남부 하정 연안의 조하대 해조류 군집구조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Subtidal Seaweed Community Structure at Hajung,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4 no.6, 2011년, pp.740 - 746  

김영대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박미선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유현일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민병화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문태석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최한길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btidal benthic macro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n barren grounds were examined seasonally along vertical shore gradients on the rocky shore of Hajung, Pohang,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from February 2005 to November 2006. Twenty-six seaweed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5 gr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것으로 기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하정 연안의 조하대 해조상과 군집구조의 계절적 그리고 수직적 변화를 파악하여 갯녹음 발생 해역에서의 해조군집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갯녹음 발생 이전에 수행된 인근 해역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갯녹음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란? 해조류는 연안생태계에서 광합성을 통하여 산소를 생성하고 해수의 영양염을 흡수하여 생장하는 일차생산자로서, 그리고 어·패류의 산란장, 서식처 및 은신처를 제공함으로써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Lindstrom, 2009). 또한, 해조류는 한국, 일본과 중국에서 오래 전부터 식용되어 대량으로 해면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다(Sohn, 1996).
해조류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해조류는 연안생태계에서 광합성을 통하여 산소를 생성하고 해수의 영양염을 흡수하여 생장하는 일차생산자로서, 그리고 어·패류의 산란장, 서식처 및 은신처를 제공함으로써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Lindstrom, 2009). 또한, 해조류는 한국, 일본과 중국에서 오래 전부터 식용되어 대량으로 해면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다(Sohn, 1996).
하정 연안의 조하대 해조상과 군집구조의 계절적 그리고 수직적 변화를 파악는 이유는? , 2001; Kim et al , 2007). 본 연구지역인 포항시 하정리 해역은 갯녹음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NFRDI, 2004), 이곳을 포함한 경북 해안의 갯녹음 발생 면적은 2004년에 31.0%로서 동해 중·북부해역인 강원도 연안의 7.0%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것으로 기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하정 연안의 조하대 해조상과 군집구조의 계절적 그리고 수직적 변화를 파악하여 갯녹음 발생 해역에서의 해조군집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갯녹음 발생 이전에 수행된 인근 해역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갯녹음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oo SM. 1987.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from shore area of Kangwon province. Korean J Phycol 2, 223-235. 

  2. Boo SM and Lee IK. 1986. Studies on benthic algal community in the east coast of Korea. I. Floristic composition and periodicity of Sokcho rocky shore. Korean J Phycol 1, 107-116. 

  3. Breitburg DL. 1984. Residual effects of grazing: inhibition competitor recruitment by encrusting coralline algae. Ecology 65, 1136-1143. 

  4. Choi CG, Kwak SN and Sohn CH. 2006.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marine algae at Uljin on the east coast of Korea. Algae 21, 463-470. 

  5. Choi CG, Lee HW and Hong BK. 2009.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Dokdo, east sea, Korea. Kor J Fish Aquat Sci 42, 503-508. 

  6. Choi CG, Takeuchi Y, Terawaki T, Serisawa Y, Ohno M and Sohn CH. 2002. Ecology of seaweed beds on two types of artificial reef. J Appl Phycol 14, 343-349. 

  7. Chunhan VD. 1987. Seaweed biomass as a source of energy. Energy 12, 375-378. 

  8. Chung H, Cho KW, Chung KH, Kim JH, Shin J, Seo Y, Kang JS and Lee IK. 1998.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gal whitening in coastal zone of Seogwip area, Cheju Island. Algae 13, 361-374. 

  9. Chung H, Lee HJ and Lee IK. 1991. Vert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on a Gallam rocky shore of the mid-east coast of Korea. Korean J Phycol 6, 55-67. 

  10. Clarke KR and Gorley RN. 2006. PRIMER V6: User Manual/ Tutorial. PRIMER-E Ltd, Plymouth, U.K., 1-190. 

  11. Figueiredo MA, Kain JM and Norton TA. 1996. Biotic interactions in the colonization of crustose coralline algae by epiphytes. J Exp Mar Biol Ecol 199, 303-318. 

  12. Gao K and McKinley K. 1994. Use of macroalgae for marine biomass production and CO2 remediation: a review. J appl Phycol 6, 45-60. 

  13. Horn SJ, Aasen IM and Ostgaard K. 2000. Ethanol production from seaweed extract. J Ind Microbiol Biotechnol 25, 249-254. 

  14. Ichiki S, Misuta H, and Yamamoto H. 2000. Effects of irradiance, water temperature and nutrients on the growth of sporelings of the crustose coralline alga Lithophyllum yessoense Foslie (Corallinales, Rhodophyceae). Phycol Res 48, 115-120. 

  15. Johansen HW. 1981. Coralline Algae, a First Synthesis. CRC Press, Inc., Florida, U.S.A., 135-157. 

  16. Johnson CR and Mann KH. 1986. The crustose coralline alga, Phymatolithon Foslie, inhibits the overgrowth of seaweeds without relying on herbivores. J Exp Mar Biol Ecol 96, 127-146. 

  17. Kang JW. 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Bull Pusan Fish Coll 7, 1-125. 

  18. Kawamata S. 1998. Effect of wave-inducted oscillatory flow on grazing by a subtidal sea urchin Stronglocentrotus nudus. J Exp Mar Biol Ecol 224, 31-48. 

  19. Kim HG, Jeon BU and Sohn 2003. Cause of phenomena of Getnokgum and the way to control it. MOMAF Report, 1-263. 

  20. Kim YD, Kim SK, Hong JP and Gong YG. 2007. The manual for the construction of seaweed forest on the east coast of Korea. NFRDI, Kangneung, Korea, 1-51. 

  21. Kim YD, Gong YG, Jeon CY, Song HI, Park MS, Lee CS, Yoo HI and Kim YH. 2010.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Daeji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Kor J Fish Aquat Sci 43, 532-539. 

  22. Lee JW and Lee HB. 1988. A floristic study on marine benthic algae of Yongil Bay and adjacent areas, ea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Phycol 3, 165-182. 

  23. Lee JW, Lee HB and Lee IK. 1993. A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intertidal marine benthic algae in the east coast of Korea. I. An intertidal marine benthic algal community at Sokcho. Korean J Phycol 8, 67-75. 

  24. Lee IK and Kim YH. 1977. A study on the marine algae in the Kwang Yang Bay. 3. The marine algal flora. Proc Coll Natur Sci SNU 32, 113-153. 

  25. Lee IK and Kim YH. 1999. Bio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marine benthic organisms and uses of algal resources in the coastal zone of Korea and Japan. I. Benthic marine algae in the east coast of Korea. Algae 14, 91-110. 

  26. Lee YP and Kang SY. 2002. A Catalogue of the Seaweeds in Korea. Cheju National University Press, Cheju, Korea., 1-662. 

  27. Lindstrom SC. 2009. The biogeography of seaweeds in southeast Alaska. J Biogeogr 36, 401-409. 

  28.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 36-71. 

  29. McNaughton SJ. 1967. Structure and function in California grasslands. Ecology 49, 962-972. 

  30. Nam KW, Kim YS, Kim YH and Sohn CH. 1996. Benthic marine algae in east coast of Korea: flora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J Korean Fish Soc 29, 727-743. 

  31. NFRDI. 2004. A study on construction of seaweed forest in the East Sea. Final Report on Fisheries Life Sciences and Aquaculture Sciences.Yemoonsa, Busan, Korea, 1-283. 

  32. NFRDI. 2007. A study on construction of seaweed forest in the East Sea. Final Report on Fisheries Life Sciences and Aquaculture Sciences. Yemoonsa, Busan, Korea, 1-542. 

  33. Okamura K. 1892. On the marine algae of Chosen. Rep Imp Bur Fish Sci 3, 114-127. 

  34. Paine RT and Vadas RL. 1969. The effects of grazing by sea urchins, Strongylocentrotus spp., on benthic algal population. Oceanography 14, 710-719. 

  35. Pielou EC. 1969.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Wiley, New York, U.S.A., 1-286. 

  36. Shannon C. 1948.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Bell Syst Tech J 27, 379-423. 

  37. Shin JD, Ahn JK, Kim YH, Lee SB, Kim JH and Chung IK. 2008a.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at Daejin and Jukbyeo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Algae 23, 231-240. 

  38. Shin JD, Ahn JK, Kim YH, Lee SB, Kim JH and Chung IK. 2008b. Temporal variations of seaweed biomass in Korean coast: Daejin, Gangwondo. Algae 23, 327-334. 

  39. Sohn CH. 1996. Historical review on seaweed cultivation of Korea. Algae 11, 357-364. 

  40. Suzuki Y, Takabayashi T, Kawaguchi T and Matsunaga K. 1998. Isolation of an allelopathic substance from the crustose coralline algae, Lithophyllum spp., and its effect on the brown alga, Laminaria religiosa Miyabe (Phaeophyta). J Exp Mar Biol Ecol 225, 69-77. 

  41. Terawaki T, Hasegawa H, Arai S and Ohno M. 2001. Management- free techniques for restoration of Eisenia and Ecklonia beds along the central Pacific coast of Japan. J Appl. Phycol 13, 13-17. 

  42. Worm B, Lotze HK and Sommer U. 2000. Coastal food web structure, carbon storage, and nitrogen retention regulated by consumer pressure and nutrient loading. Limnol Oceanogr 45, 339-3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