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콘텐츠 개발자와 설계자를 위한 보편적 접근성 가이드라인의 개발과 활용
Development and Use of Universal Accessibility Guidelines for Contents Developers and Designers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The KIPS transactions. Part A. Part A, v.18A no.1, 2011년, pp.33 - 38  

안미리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닝 콘텐츠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에 근거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개발자와 설계자의 역할에 따른 가이드라인의 활용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웹은 연령과 장애에 구애 없이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손쉽게 정보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하듯이 이러닝으로 제공되는 콘텐츠 또한 사용자 모두에게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국내 이러닝 콘텐츠의 빠른 접근성 개선을 위해서 기술적으로 복잡하지 않은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에 근거한 접근성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6개 이러닝 콘텐츠에 대한 장애별 사용자의 분석결과와 전문가의 접근성에 대한 설문결과로 보편적 이러닝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 개발자와 설계자의 역할에 따라 구별하였다. 국내 Flash 이러닝 콘텐츠의 접근성이 특히 시각장애인과 신체 장애인에게 접근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설계자와 개발자의 접근성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고, 개발자와 설계자의 역할에 따라 구분된 활용이 가능하며, 접근성의 정착화를 위해서는 관련 기관의 협력, 질 관리에 포함, 매뉴얼 개발과 연수, 그리고 기존의 Flash 콘텐츠의 접근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use the e-learning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s to improve contents accessibility for the non-technical developers and designers. The accessibility guidelines used for web or digital contents are usually technical, field dependent, or specific that 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의 민간 및 공공부문의 대표적인 이러닝 콘텐츠의 접근성을 조사하기 위해 이러닝 6종에 대한 접근성 실태를 조사하였다[1]. 사용자 평가를 위해서 시각장애, 청각장애 및 지체장애가 있는 장애인 사용자 5명을 장애등급별로 선정하여 각 콘텐츠의 접근성 수준을 아래 <표 1>과 같이 평가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웹 접근성 가이드라인과 학습 콘텐츠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IMS GLS 기술적인 가이드라인보다 간단한 보편적 학습 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원리에 기반한 접근성 가이드라인을 고려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정의하는 웹 접근성은? 웹 접근성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공통점은 정보 제공자가 제공하는 정보와 서비스의 보편성으로 사용자가 부가 적인 시스템을 활용하지 않고도 정보를 인식, 운용, 이해,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1]. 즉, 사용자를 차별화하지 않는 웹 정보의 보편성을 말하며,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어떠한 사용자(장애인, 노인 등), 어떠한 기술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정의한다[2].
이러닝 콘텐츠의 한계는?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웹 접근성에 집중하고 있어 아직까지 이러닝 콘텐츠의 접근성에 대한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고 있다. 이러닝 콘텐츠는 사용자의 연령과 대상자의 수준을 고려해 개발되어 제공되지만, 접근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어 보편적 접근, 활용 및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세계적 흐름에 부합하고, 국내 장차법에 근거한 이러닝 콘텐츠의 접근성 개선은 국내 콘텐츠 기업의 관계자들의 이해과 인식 개선이 필요하며[3], 쉽고 활용 가능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1].
국내 이러닝의 접근성에 대한 현 상황은? 이러닝의 접근성은 웹 정보와 같이 보편성의 원칙에서 시작해야한다. 국내 이러닝 콘텐츠의 접근성은 매우 열악한 실정이며, 특히 전맹인의 경우 거의 접근이 불가능한 수준이고, 청각장애인도 제한적이다. 키보드 이용에 대한 신체장애인들도 접근이 제한적이며 접근성 개선을 위해 자료의 재활용이나 부분 수정이 어렵다. 국내 이러닝 콘텐츠 대부분이 SCORM 표준 지침과 Flash 중심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사례 대상 콘텐츠와 크게 다르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안미리, 노석준, 김성남(2009). 이러닝콘텐츠 접근성 개선 추진 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2. 웹 접근성 연구소 http://www.wah.or.kr/ index.asp. 

  3. 안미리, 김성남, 황윤자, 부향숙(2009). 이러닝 콘텐츠 접근성 현장. 한국정보처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16(2). 

  4. 안미리(2010). 제2회 다문화사회 모두를 위한 정보 포럼, 행정안전부. 

  5. The WCAG 2.0 Documents. http://www.w3.org/TR/WCAG20. 

  6.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9). 디지털 교과서 접근성 설계.평가 지침,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7. 송승훈,박두순, 홍민(2008).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 개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1(2), pp45-53. 

  8. 문태은, 문형남(2008). 국내 사이버대학교 웹사이트 평가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14(2), pp137-156. 

  9. 장상현(2010). UDL 가이드라인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접근성 향상 방안 연구. 컴퓨터교육회논문지, 13(3), pp65-75. 

  10. 최정임, 신순남(2009). 보편적 학습설계(UDL)를 반영한 디지털 교과서 설계 원리. 교육공학연구, 25(1), pp29-59. 

  11. Ahn, M. & Hwang, Y.(2010). How Accessible is EDUNET Contents?, International Journal for Educational Media and Technology, 3(1), pp79-87. 

  12. 정보통신부(2005).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0. 

  13. IMS/GLC(2002). IMS Guidelines for Developing Accessible Learning Applications. 

  14. 안미리, 김선태, 손경아, 한태인, 김용, 고범석(2005). 이러닝 품질관리(QA) 종합계획수립,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15. 안미리, 노석준, 김성남(2010). 보편적 학습설계, 접근 가능한 교육과정과 디지털 테크놀로지, 서울: 한양대학교출판부. 

  16.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8). 교육정보 메타데이터 확장 표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