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공사 주요 재해 위험요소 도출
Selecting Key Accident Risk Factors i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1 no.1 = no.45, 2011년, pp.45 - 50  

안성훈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aegu University) ,  류호원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aegu University) ,  박미송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aegu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축공사는 매우 다양한 위험요소를 내재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재해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건축공사에서 재생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재해 발생원인 중 작업방법이 나 시설물과 같이 기술적인 요소에 대한 재해 방지대책에 관해서 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공사에서 기술적, 교육적, 규제적 요인을 모두 포함한 재해 위험요소를 도출한 후, 이를 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해서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주요 재해 위험요소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렇게 주요 재해 위험요소가 제시되면 사전에 위험요소를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재해발생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have various risk factors, so accidents is easily occurred in construction field. Therefore,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find methods for reducing such accidents. However, most of these studies have been focused to engineering factors, such as working metho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로 작업장의 환경적인 원인에서는 작업장의 환경이 재해 발생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기 위해서 선정하였다. 세부 요인으로는 작업장이 얼마나 정리정돈이 되어있는지, 작업장소가 협소한지, 작업발판이 구조적으로 안정적인지가 재해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 본 연구 결과인 재해 발생에 영향을 주는 재해 위험요소의 중요도를 가지고 건축공사에서 재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제시하고 있는 재해 감소 대책은 세부적인 실천지침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안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교육적, 규제적 요인을 모두 포함한 재해 위험요소를 도출한 후,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주요 재해 위험요소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렇게 주요 재해 위험요소가 제시되면 사전에 위험요소를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재해발생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재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기 위해서 의사결정문제를 계층 구조화하였다. 계층 구조화를 위해서는 Figure 2의 특성요인도를 이용하였다.

가설 설정

  • 셋째로 작업의 난이도도 재해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파악하였다. 건축공사가 점차 고층화, 대형화 되면서 여러가지 신기술과 신공법이 나오고 있는데 신기술 신공법의 습득정도에 따라서 재해 발생의 가능성이 달라질 것으로 판단하여 세부 위험요소로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축공사의 위험성은 어떠한가? 건축공사는 매우 다양한 위험요소를 내재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재해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건축공사에서 재생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진행되었다.
재해 위험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작업방법이나 시설물과 관련된 재해 위험요소를 도출하는 방법으로는 한국산업안전공단에서 제시하고 있는 재해사례를 분석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Hong et al.
현재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재해 위험요소와 관련된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재해 위험요소와 관련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국내의 연구는 대부분 재해 위험요소 중에서도 작업방법이나 시설물과 같이 기술적인 요소(Engineering)에 치우쳐서 연구된 경향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tate of industrial disaster at April 2010; 2010. 

  2.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Building consturction management. Kimoondang, Seoul; 2006. 

  3. Hong HS, Yeo SJ, Jeong YH, Kim CD.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Safety Management of Frequently occurred Accident Process in Steel Structural Work, 2004 Proceedings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4;9:552-555 

  4. Song H, Park HG, Go SS. A Study on the Analysis ofAccident Cause of Form Work Using FTA(Fault Tree Analysis) System.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6;26(6):119-127. 

  5. Kim JH. A study on Reducing Plans of Accident through Case Study of Construction Accident in Scaffolding Work.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9;11(2):275-284. 

  6. Kim JH. Plans for Reducing Risk through a Case Study of Risk Factors at a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0;10(4):83-93 

  7. Go SS, Song H. Risk index of work types for building construction using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5;21(1):139-146. 

  8. Yang YC, Choi H, Kim JJ. An Integrated Operation Method of Safety Checklist and Schedule for Construction Accident Preven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4;5(2):123-131. 

  9. Yu JH, Song JW, Kim CD.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Using FMEA Technique for Selecting Priority order,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8;9(6):185-193. 

  10. Carter G, Smith SD. Safety hazard Identification on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6;132(2):197-205. 

  11. Aksorn T, Hadikusumo BHW. Measuring effectiveness of safety programmes in th Thai construction industry.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2008;26:409-421 

  12. Cho KT, Cho YG, Kang HS.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for leaders. Donghyeonchoolpansa, Seoul; 2003. 

  13. Saaty TL,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New York; 1980. 

  14. Saaty TL, Decision making for leaders (AHP series, Vol.2), RWS Publications, Pittsburgh, PA;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