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화에서 이미지가 주는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Paralinguistic Communication of the Image on Cartoon and Comic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1, 2011년, pp.83 - 91  

이원석 (공주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부)

초록

만화의 가장 큰 특성은 글과 그림의 결합체로 널리 알려져 왔다. 현대만화의 형태를 신문만화에서 찾아 볼 수 있는 것이 대표적으로 글을 넣은 만화였음이 이를 증명한다. 그러나 만화에서 글이 없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이러한 작품 역시 해독하는데 크게 어려움이 없고, 만화에서 형상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독자와 대화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렇다면 만화에서 이미지는 어떻게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전달하는지 의문점이 생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이미지가 주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을 살펴보고, 글 없는 만화의 특성을 고찰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ttribute of cartoon and comics has been known the combination of image and text. It is improved the we find the shape of comics at the first comics on the newspaper. But we can read the comic without word. These works don't give the difficult to read and it may transfer to readers by the imag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글 없는 만화의 작품에서 문자를 대신하는 요소를 찾아내어 독자와 소통하는 맥락을 밝히는데 주력하였다. 글 없는 만화를 ‘작가와 독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라고 규정하고, 서로가 의사를 전달하고 이해하기 위하여서 오로지 이미지만을 사용하는 글 없는 만화의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를 밝혀 보았다.
  • 또한 만화에서 연속적 이미지가 주는 스토리텔링과 소통 및 전달의 체계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는 이미지가 글을 대신하는 언어 역할을 어떻게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또한 글을 대신하는 가장 적절한 이미지를 고민하는 것을 통한 이미지 스토리텔링을 고찰하고, 대안적인 만화를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언어란 무엇인가? 언어는 인류가 발명한 가장 강력하고 손쉬운 의사소통 수단이다. 그러나 말을 하고, 글을 쓰는 것을 배우기 전에는 문자는 단순히 그림이었다.
활자매체는 어떠한 전환과정이 필요한가?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대표인 문자, 즉 활자매체의 경우, 활자가 말ㆍ기호 상징이기 때문에 ‘실체→언어→기호화→인지’라는 전환(轉換)과정이 필요하다. 발화자의 의미가 담긴 언어나 문자는 수용자가 학습한 기호를 바탕으로 인지된다.
만화가가 독자 및 일상의 생활을 이해하고 있어야만, 자신의 메시지를 독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미지는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어떠한 이미지를 이해하기 위하여서는 공통의 경험이 필요하다. 공통의 경험이란 단순한 경험부터 학습되는 생활규범, 규칙 등 그 시대와 사회의 문화를 반영하는 것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만화가는 독자 및 일상의 생활을 이해하고 있어야만 자신의 메시지를 독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8. 

  2. 김미림, 서사만화개론, 범우사, 1999. 

  3. 랜달 피 헤리슨, 만화와 커뮤니게이션, 이론과실천, 1989. 

  4. 루이스 자네티, 김진해 역, 영화의 이해, 현암사, 1998. 

  5. 심우성 편역, 판토마임 예술 : 마르셀 마르소와 헬베르 이에링의 대담, 예니, 1988. 

  6. 윌 아이스너, 그림을 잘 엮으면 만화가 된다, 현실문화연구, 2000. 

  7. 임청산, 만화영상예술사, 대훈닷컴,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