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일유래 시판 식초음료류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Vinegar Beverages Derived from Frui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2 = no.130, 2011년, pp.292 - 299  

정은정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선영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백정화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차용준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초는 동서양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 조미용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 음료로써 잠재력을 가진 식품으로, 다양한 종류의 식초음료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판 수입산 식초음료 3종(이탈리아산 발사믹식초음료-IVB, 일본산 포도블루베리식초음료-JVB, 일본산 유자폰즈-JYP) 및 국내산 1종(백포도식초음료-KWVB)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비교하여 다양한 식초음료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IVB 경우 총 62종의 화합물(산류 11종, 에스테르류 17종, 알콜류 10종, 알데히드류 8종, 테르펜류 3종, 방향족화합물 4종 및 케톤류 9종)이 검출되었다. 휘발성 화합물의 조성비율을 본다면 산류(61.3%), 에스테르류(11.7%) 및 케톤류(10.7%)가 대부분의 함량을 차지하였다. JVB는 총 55종 화합물(산류 7종, 에스테르류 8종, 알콜류 9종, 알데히드류 7종, 테르펜류 13종, 방향족화합물 7종, 케톤류 1종 및 기타 3종)로 산류 56.3%, 케톤류 15.7% 및 에스테르 8.97%로 IVB에 비해 전반적인 함량은 낮으나 유사한 조성비율 나타내었다. JYP의 경우 총 106종 화합물(산류 3종, 에스테르류 12종, 알콜류 8종, 알데히드류 7종, 테르펜류 63종, 방향족화합물 6종, 케톤류 2종 및 기타 5종)이 검출되었다. 휘발성 화합물의 조성비율을 본다면 유자로부터 기인되는 테르펜류화합물(79.6%)이 대부분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KWV의 경우는 총 50종의 화합물(산류 10종, 에스테르류 10종, 알콜류 9, 알데히드류 8종, 테르펜류 2종, 방향족화합물 5종, 케톤류 4종 및 기타 2종)으로 산류 81% 및 케톤류 9.0%가 대부분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KWVB 경우 다른 식초음료에 비해 산류의 함량이 높으나 다른 화합물의 함량은 낮고 조성비율도 낮게 나타났다. 와인을 원료하여 제조된 basamic식초음료에는 5가지 휘발성 향기성분인, 2-phenylethyl acetate (꽃향, 과일향), 2-phenylethanol (장미향), vitispirane (과일향), geranylacetone (fragrant향) 및 acetic acid가 주된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검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volatile flavor profiles of 4 commercial vinegar beverages (Italian vinegar beverage (IVB), Japanese vinegar beverage (JVB), Japanese Yuzu-Ponz (JYP), and Korean white wine vinegar beverage (KWVB)). Flavor components of vinegar beverages (VBs) were determined using SPME/GC/MSD. 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대부분이 발효식초로 특히 마시는 식초시장의 고급화 및 다양성으로 소비자의 성향을 이끌어 내고 있다[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수입산 식초음료 중에서 대표적인 브랜드인 일본산 2종(유자폰즈 포함), 이탈리아산 1종과 국내산에서는 고급화로 브랜드 한 제품 1종을 선정하여 제품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비교하여 다양한 식초음료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인 식초의 장점은 무엇인가? 그러므로 인공 첨가물을 넣지 않은 천연의 향미를 가지면서도 생리적 기능성 및 기호성이 강조된 건강기능성음료의 개발이 유도되고 있다. 식초는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으로 신체조직의 젖산을 분해하여 피로회복에 도움이 되며 새콤한 신맛으로 인해 식욕과 소화흡수를 촉진한다. 또한 식초는 규산과 나트륨의 배설을 촉진하여 동맥경화와 고혈압과 같은 성인병에 예방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22]. 이 외에도 항균성, 생선비린내제거, 방사선 물질의 제거효과등과 같은 식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외부적인 요소를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식품[22]이지만 특유의 강한 향과 신맛이 주는 거부감으로 단순 조미식품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13]. 반면 일본의 경우 음료시장의 약 80%를 건강식초 시장이 자리매김을 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블루베리, 망고, 와인식초 등 다양한 종류가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14].
일본의 경우 건강식초가 음료 시장에서 얼마큼을 차지하고 있는가? 이 외에도 항균성, 생선비린내제거, 방사선 물질의 제거효과등과 같은 식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외부적인 요소를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식품[22]이지만 특유의 강한 향과 신맛이 주는 거부감으로 단순 조미식품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13]. 반면 일본의 경우 음료시장의 약 80%를 건강식초 시장이 자리매김을 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블루베리, 망고, 와인식초 등 다양한 종류가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14]. 또한 대부분이 발효식초로 특히 마시는 식초시장의 고급화 및 다양성으로 소비자의 성향을 이끌어 내고 있다[12].
식초가 가지고 있는 단순 조미식품의 한계를 벗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식초는 규산과 나트륨의 배설을 촉진하여 동맥경화와 고혈압과 같은 성인병에 예방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22]. 이 외에도 항균성, 생선비린내제거, 방사선 물질의 제거효과등과 같은 식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외부적인 요소를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식품[22]이지만 특유의 강한 향과 신맛이 주는 거부감으로 단순 조미식품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13]. 반면 일본의 경우 음료시장의 약 80%를 건강식초 시장이 자리매김을 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블루베리, 망고, 와인식초 등 다양한 종류가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elitz, H. D., W. Grosh, and P. Schieberle. 2009. Precursors of aroma compounds, pp. 241-243, In Belitz H. D., W. Grosh, and P. Schieberle (eds.), Food chemistry 3.8.4.4, Springer- Verlag, Heidelberg, Germany. 

  2. Blanch, G. P., J. Tabera, J. Sanz, M. Herraiz, and G. Reglero. 1992. Volatile composition of vinegars.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ic-mass spectormetric analysis. J. Agri. Food Chem. 40, 1046-1049. 

  3. Cha, Y. J., H. Kim., S. Y. Park, S. J. Kim, and Y. J. Yoo. 2000. Identification of irradiation-induce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beef.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050-1056. 

  4. Chinnici, F., E. D. Guerrero, F. Sonni, N. Natali, R. N. Marin, and C. Riponi. 2009.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quality vinegars with protected european geographical indication. J. Agric. Food Chem. 57, 4784-4792. 

  5. Fischer, U., M. Strasser, and K. Gutzler. 2000. Impact of fermentation technology on the phenolic and volatile composition of German red wines. Int. J. Food Sci. Technol. 35, 81-94. 

  6. Flavors & Fragrances. 2008. SAFC supply $solutions^{TM}$ , USA. 

  7. Food World. 2008. Domestic food industry analysis: Food and food additives produced results. Food World 9, 124-128. 

  8. Food World. 2008. Market trends of beverages. Food World 9, 38-45. 

  9. Giordano, L., R. Calabrese, E. Davoli, and D. Rotilio. 2003. Quantitative analysis of 2-furfural and 5-methylfurfural in different Italian vinegars by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coupled to gas chromatography-ass spectrometry using isotope dilution. J. Chromatography A 1017, 141-149. 

  10. Gomez, M. J. and J. F. Cacho. 2007. Volatiles components of Zalema white wines. Food Chem. 100, 1464-1473. 

  11. Jackson, R. S. 2008. 6. Chemical constituents of grapes and wine, pp. 303-340, In Jackson, R. S. (ed). Principle and application of wine science. Charontec Ltd., Chennai, India. 

  12. Jeong, Y. J. 2009.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in the Korean vinegar industry. Food Science and Industry 42, 52-59. 

  13. Lee, K. O. 2008. Market trends of vinvegar beverages. Food World 9, 46-49. 

  14. Lim, C. W. 2005. Beverage industry market. Marketing issues & Trend 43, 19-23. 

  15. Morales, M. L., G. A. Gonz'alez, J. A. Casas, and A. Troncoso. 2001. Multivariate analysis of commercial and laboratory produced sherry wine vinegars: influence of acetification and aging. Eur. Food Res. Technol. 212, 676-682. 

  16. Morales, M. L., W. Tesfaye, Mc. Garcia-Parrilla, J. A. Casas, and A. M. Troncoso. 2002. Evolution of the aroma profile of sherry wine vinegars during an experimental aging in wood. J. Agric. Food Chem. 50, 3137-3178. 

  17. Natera, R., R. Castro, M. V. Garc'ia-Moreno, M. J. Hern'andez, and C. Garc'ia-Barroso. 2003. Chemometric studies of vinegars from different raw materials and processes of production. J. Agric. Food Chem. 51, 3345-3351. 

  18. Njoroge, S. M., H. Ukeda, and M. Sawamura. 1996. Changes in the volatile composition of Yuzu (Citrus junos Tanaka) cold-pressed oil during storage. J. Agric. Food Chem. 44, 550-556. 

  19. Ou, A. S. M. and R. C. Chang. 2009. Taiwan fruit vinegar, pp. 223-242, In Solieri L. and P. Giudici (eds.). Vinegar of world 14.4.5, Springer-Verlag, Italia. 

  20. Palacio, V., M. Valacrcel, I. Caro, and L. Perez. 2002. Chemical and biochemical transformations during the industrial process of sherry vinegar aging. J. Agric. Food Chem 50, 4221-4225. 

  21. Picinelli, A., B. Suarez, J. Moreno, R. Rodriguez, L. C. Garcia, R. Bedrinana, R. Pando, and J. J. Mangas. 2000. Analytical techniques in the quality control and characterization of Austrian natural cider. Alimentaria (Madrid). 315, 129-136. 

  2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8.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and storage. pp. 223-226. 

  23. Swiegers, J. H., E. J. Bartowsky, P. A. Henschke, and I. S Pretorius. 2005. Yeast and bacterial modulation of wine aroma and flavour. Aust. J. Grape Wine Res. 11, 139-173. 

  24. Yoon, H. N., S. Y. Moon, and S. H. Song. 1998.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odor properties of commerical vineg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99-305. 

  25. Zeppa, G. M. Giordano, V. Gerbi, and G. Meglioli. 2002. Characteris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three acetification batteries used for the production of “Aceto Balsamico Tradizionale di Reggio Emilia”. Ital. J. Food Sci. 14, 248-266. 

  26. Zhu, J., K. J. Park, and T. C. Baker. 2003. Identification of odors from overripe mango that attract vinegar flies, Drosophila melanogaster. J. Chemical Ecology 29, 899-90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