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딸기를 첨가한 막걸리의 제조와 발효 과정 중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Manufacturing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Strawberry and Its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4 no.4, 2016년, pp.307 - 313  

배상민 (배재대학교 바이오.의생명공학과) ,  한상민 (배재대학교 바이오.의생명공학과) ,  최종명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  이종수 (배재대학교 바이오.의생명공학과) ,  김하근 (배재대학교 바이오.의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딸기를 이용한 건강막걸리를 개발하고자, 딸기를 첨가하여 막걸리를 제조한 후 이들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딸기막걸리 제조에 적합한 효모를 선발하기 위해 시판 알코올 발효효모와 배재대학교에서 분리 보관중인 알코올 발효효모를 이용하여 딸기막걸리를 제조한 결과 분리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 JSK104가 발효 7일째에 17.4%의 에탄올 생성하여 우수효모로 선발되었고, 최적 첨가량은 5%이었다. 멥쌀과 생딸기, 입국, S. cerevisiae JSK104을 사용하여 딸기막걸리 발효 중 이화학적 성질, 효모와 유산균 생균수 및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저해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pH는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발효 1일 째, pH 4.01에서 pH 3.61까지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총산 함량은 증가하였다. 에탄올 함량은 발효 7일째 약 17%를 생성하여 최고에 달하였고, 효모와 유산균수는 발효 1일에 최고에 도달한 후 일정한 수를 유지하였다.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은 발효 5일에 최고치에 도달한 후 큰 변화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a functional strawberry Makgeolli, we produced Makgeolli using strawberry as an additive and then investigate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mong 7 different alcohol-fermenting yeasts, Saccharomyces cerevisiae JSK104 produced 17.4% ethanol on the 7th day of fermentation and was sele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딸기의 가공 가능성을 다양화시키고, 딸기의 우수한 생리 기능성을 함께 갖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조건을 확립하고자, 딸기를 첨가물로 넣어 전통주인 막걸리 제조 조건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알코올 발효 효모들의 알코올 생산 능력을 조사하여 딸기막걸리 생산에 적합한 효모를 선발하였다.

가설 설정

  • a)Total acidity described as succinic acid.
  • 3%로서, 5%를 접종한 배치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data not shown). 따라서 최적 효모 접종량은 5%로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 함유 성분 중 종양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은? 식이섬유, 비타민, 각종 아미노산 등이 풍부한 막걸리는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들이 들어 있음이 알려져 있다. 시판 막걸리 대부분에 식후 혈당과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 강하 및 면역개선 등의 효과가 보고된 β-글루칸[14], 여러 암세포주에서 세포주기 억제와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종양 억제 효과를 갖고 있다고 알려진 이소프레노이드 알코올 farnesol [15]이 함유되어 있음이 최근 보고되었다.
딸기가 사과, 배, 포도, 토마토, 오렌지, 키위보다 2배에서 11배까지 더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이유는? 딸기는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플라보노이드, 페놀산, 리그난 및 탄닌과 같은 페놀류에 속하는 피토케미컬 그리고 엽산, 비타민 C, 미네랄과 같은 미량 영양소를 다량함유하고 있다[1]. 이들 영양소들 중 특히 비타민 C와 페놀화합물들의 작용에 의한 활성산소 제거 능력 때문에, 사과, 배, 포도, 토마토, 오렌지, 키위보다 2배에서 11배까지 더높은 항산화 활성을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2]. 딸기로부터 제조한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을 때, 비타민C에 의해 딸기가 보이는 항산화 활성의 30% 이상이, 그리고 anthocyanin에 의해 딸기 항산화 활성의 25~40%가 나타났으며 이밖에 ellagic acid 유도체, favonol 등의 유효 성분들이 항산화 활성에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다[1].
막걸리 발효에 필요한 재료는? 한편, 한국의 전통주인 막걸리는 쌀, 찹쌀, 보리 또는 밀가루 등의 곡물을 주원료로 하여 누룩이나 입국을 섞어 발효시켜 만든다. 막걸리의 pH는 발효가 완료되면 3~4 정도이며, 이러한 산성 조건에 내성을 보이는 다양한 종류의 유산균들과 효모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12, 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Tulipani S, Mezzetti B, Capocasa F, Bompadre S, Beekwilder J, de Vos CH, Capanoglu E, Bovy A, Battino M. Antioxidants, phenolic compounds, and nutritional quality of different strawberry genotypes. J Agric Food Chem 2008;56:696-704. 

  2. Scalzo J, Politi A, Pellegrini N, Mezzetti B, Battino M. Plant genotype affects total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 contents in fruit. Nutrition 2005;21:207-13. 

  3. Edirisinghe I, Banaszewski K, Cappozzo J, Sandhya K, Ellis CL, Tadapaneni R, Kappagoda CT, Burton-Freeman BM. Strawberry anthocyanin and its association with postprandial inflammation and insulin. Br J Nutr 2011;106:913-22. 

  4. Zunino SJ, Parelman MA, Freytag TL, Stephensen CB, Kelley DS, Mackey BE, Woodhouse LR, Bonnel EL. Effects of dietary strawberry powder on blood lipids and inflammatory markers in obese human subjects. Br J Nutr 2012;108:900-9. 

  5. Giampieri F, Tulipani S, Alvarez-Suarez JM, Quiles JL, Mezzetti B, Battino M. The strawberry: composition, nutritional quality, and impact on human health. Nutrition 2012;28:9-19. 

  6. Afrin S, Gasparrini M, Forbes-Hernandez TY, Reboredo-Rodriguez P, Mezzetti B, Varela-Lopez A, Giampieri F, Battino M. Promising health benefits of the strawberry: a focus on clinical studies. J Agric Food Chem 2016;64:4435-49. 

  7. Skrovankova S, Sumczynski D, Mlcek J, Jurikova T, Sochor J.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different types of berries. Int J Mol Sci 2015;16:24673-706. 

  8. Kim JS, Kang EJ, Chang YE, Lee JH, Kim GC, Kim KM.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containing strawberry puree. Kor J Food Cookery Sci 2013;29:725-31. 

  9. Lee JM, Kim SK, Lee GD. Monitoring on alcoho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3;32:679-83. 

  10. Jeong EJ, Kim YS, Jeong DY, Shin DH. Yeast selection and comparison of sterilization method for making strawberry wine and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its fermentation. Kor J Food Sci Technol 2006;38:642-7. 

  11. Lee GD, Kim SK, Lee JM. Optimization of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condition for preparation of strawberry vinegar. J Kor Soc Food Sci Nutr 2003;32:812-7. 

  12. Kim JH, Lee DH, Choi SY, Lee JS.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in Korean traditional liquors. Kor J Food Sci Technol 2002;34:118-22. 

  13. Lee TJ, Hwang DY, Lee CY, Son HJ.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total acid and organic acid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Makgeolli,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Kor J Microbiol 2009;45:391-6. 

  14. Kim YH, Min JH, Kang MG, Kim JH, Ahn BH, Kim HK, Lee JS.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ctic acid bacteria content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Korean commercial Makgeolli. Kor J Microbiol Biotechnol 2012;40:325-32. 

  15. Ha J, Wang Y, Jang H, Seog H, Chen X. Determination of E,Efarnesol in Makgeolli (rice wine) using dynamic headspace sampling and stir bar sorptive extraction coupled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ood Chem 2014;142:79-86. 

  16. Saito Y, Wanezaki K, Kawato A, Imayasu S. Structure and activity of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from sake and sake lees. Biosci Biotechnol Biochem 1994;58:1767-71. 

  17. Kim YH, Joo JI, Lee BC, Kim HH, Lee JS. Screen of a novel yeast for brewing of Gugija leaf Makgeolli and optimal alcohol fermentation condition. Kor J Mycol 2013;41:167-71. 

  18. Kim E, Chang YH, Ko JY, Jeong Y.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mulberry during fermentation. J Kor Soc Food Sci Nutr 2013;42:1682-9. 

  19. Kim SY, Kim E, Yoon S, Jo N, Jung SK, Kwon S, Chang YH, Jeong Y.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cucumber during fermentation. J Kor Soc Food Sci Nutr 2011;40: 22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