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리순 분말의 첨가가 Yellow Layer Cake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oung Barley Leaf Powder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8 no.6, 2011년, pp.830 - 835  

김영애 (건양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리순 분말이 yellow layer cake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보리순 분말을 밀가루의 0, 2, 4, 6, 및 8%의 수준으로 대체하여 첨가하였다. 보리순 분말을 함유한 반죽의 점성은 대조구보다 증가하였으며 반죽의 비중은 낮게 나타났다. 케이크의 비체적은 시료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Volume index는 대조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symmetry index와 uniformity index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리순 분말의 함량이 커질수록 껍질 특유의 적갈색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내부색은 보리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진한 녹색을 나타냈다. 저장기간 동안의 경도는 보리순 분말을 6%, 8% 함유한 케이크들이 낮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는 8% 케이크에 대한 기호도가 다른 시료들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 보리순 분말을 2%, 4%, 및 6% 함유한 케이크들은 내부색을 제외하고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밀가루의 일부를 보리순으로 대체하여 yellow layer cake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6% 이하의 농도에서는 케이크의 품질이나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ubstitution of flour with young-barley-leaf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akes (i.e., viscosity, specific gravity, specific volume, cake index, and color) were measured, and the c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리를 이용한 가공식품은 보리국수, 보리빵, 보리 미숫가루, 보리차, 보리음료 등의 소수 제품이며, 요즘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제과나 제빵에서 보리나 보리순을 첨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발효 빵보다는 quick bread에 속하는 케이크의 경우가 밀가루의 일부를 기능성 소재로 대체해서 제조하기가 쉽고, 더 많은 양을 첨가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는 yellow layer cake에 보리순 분말을 첨가하여 케이크의 제조특성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이섬유소의 낮은 섭취는 무슨 질환의 발병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가? 이와 더불어 식이섬유 섭취의 부족이나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의 과다 섭취와 관련된 질병의 발생률이 사회적 문제로 지적이 되고 있다. 식이섬유소의 낮은 섭취와 당뇨병, 관상심장질환, 다발성 게실염, 대장암 등의 발병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1). 보리는 예로부터 쌀 다음으로 중요한 작물이였으나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라 소비량이 감소하였다가, 최근 들어 성인병 예방에 좋은 식품으로 보리와 보리순이 재조명되고 있다.
보리와 보리 싹에는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저해하는 무엇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가? 보리는 예로부터 쌀 다음으로 중요한 작물이였으나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라 소비량이 감소하였다가, 최근 들어 성인병 예방에 좋은 식품으로 보리와 보리순이 재조명되고 있다. 보리는 식이섬유의 좋은 공급원이며(2), Klopfenstein CF(3)와 Behall KM 등(4)에 의하면 보리와 보리 싹에는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저해하는 수용성 식이섬유소인 β-글루칸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 보리순 뿐 아니라 다른 곡류의 새싹 및 새싹채소의 기능성에 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실험에서 밀가루의 일부를 보리순 분말로 대체하여 yellow layer cake를 제조할 경우 케이크의 품질이나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보리순 분말의 농도는 무엇인가?? 관능검사 결과는 8% 케이크에 대한 기호도가 다른 시료들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 보리순 분말을 2%, 4%, 및 6% 함유한 케이크들은 내부색을 제외하고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밀가루의 일부를 보리순으로 대체하여 yellow layer cake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6% 이하의 농도에서는 케이크의 품질이나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urkitt DP, Waker ARP, Painter NS (1974) Dietary fiber and disease. J Am Med Assoc, 229, 1068-1074 

  2. Lee YT (2001) Dietary fiber composition and viscosity of extracts from domestic barley, wheat, oat, and rye. Korean J Food Nutr, 14, 233-238 

  3. Klopfenstein CF (1998) The role of cereal beta-glucans in nutrition and health. Cereal Foods World, 33, 865-868 

  4. Behall KM, Scholfield DJ, Hallfrisch J (2004) Diets containing barley significantly reduce lipids in mildly hypercholesterolemic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80, 1185-1193 

  5. Lee JJ, Lee YM, Shin HD, Jeong YS and Lee MY (2007) Effects of vegetable sprout powder mixture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965-974 

  6. Lee SH, Lee YM, Lee HS and Lim DK (2009) Anti-oxidative and anti-hyperglycemia effects of triticum aestivum wheat sprout water extracts on the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mice. Kor J Pharmacogn, 40, 408-414 

  7. Yi BT, Yang MH (2008) Antioxidative effects of mil-sae-ssak-jub. Cancer Prevention Research, 13, 137-141 

  8. Kim KT, Kim SS, Lee SH, Kim DM (2003) The functionality of barley leaves and its application on functional foods. Food Sci Industry, 36, 45-49 

  9. Markham KR, Mitchell KA (2003) The mis-identification of the major antioxidant flavonoids in young barely(Hordeum vulgare) Leaves. Z. Naturforsch, 58C, 53-56 

  10. Yu YM, Chang WC, Chang CT, Hsieh CL, Tsai CE (2002) Effects of young barely leaf extract and antioxidative vitamins on LDL oxidation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type 2 diabetes. Diabetes Metab, 28, 107-114 

  11. Yang EJ, Cho YS, Choi MS, Woo MN, Kim MJ, Shon MY, Lee MK, (2009) Effects of young barley leaf on lipid contents and hepatic lipid-regulating enzyme activities in mice fed high-fat diet. Korean J Nutr, 42, 14-22 

  12. Jang JH, Choi HS, Cheong HS, Kang OJ (2007) A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arley leaf tea and green tea according to leaching conditions in distilled wat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65-172 

  13. Park SJ, Joung YM, Choi MK, Kim YK, KIm JG, Kim KH, Kang MH (2008) Chemical properties of barley leaf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0-65. 

  14.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10th ed. America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15. Campbell AM, Penfield MP, Griswold RM (1979) The experimental study of food. 2nd ed. Houghton Mifflin Company, Boston, p 447-447 

  16. Stone H and Sidel JL (1985) Sensory evaluation practice. Academic Press INC, California, p 230-239. 

  17. Chun SS (2003) Development of functional sponge cake with onion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i, 32, 62-66 

  18. Shin HJ, Choi DJ, Kwen OC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added steamed garlic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96-702 

  19. Lee JH, Kwak EJ, Kim JS, Lee Y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mesangi(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83-89 

  20. Kim YA (2003) Effects of mulberry leaves powder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 Korea J Food Sci Techol, 35, 871-876 

  21. Miller RA, Hoseney RC (1993) The role of xanthan gum in white layer cakes. Cereal Chem, 70, 585-588 

  22. Im JG, Kim YS, Ha TY (1998) Effect of sorghum flour addi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158-1162 

  23. Oh SC, Nam HY, Cho JS (2002) Quality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as affected by addition of dioscorea japonica flou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185-192 

  24. Park YS, Shin S, Shin GM (2008)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 made with mandarine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5, 656-661 

  25. Kim KJ, Chung HC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chlorell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860-8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