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들레 뿌리를 첨가한 약주의 총 플라보노이드,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환원력 활성 조사
Studies on Antioxidant Activity, Total Flavonoids and Polyphenols, and Reducing Power in Yakju with Different Ratios of Dandelion Root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1 no.6, 2011년, pp.882 - 887  

이종복 (영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혜경 (영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종숙 (영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명희 (영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민들레 뿌리를 이용한 기능성 약주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민들레 뿌리를 각각 0, 5, 10, 15%로 첨가하여 민들레 약주(기본적특성: pH 4.0~4.2, 산도4.6~4.8%, 알코올14.92~15.78%, 민들레 뿌리 5% 첨가한 약주를 가장 선호함)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폴리페놀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이용한 항산화력을 측정하였으며, 활성 산소종유리기에 전자를 공여하는 환원력을 조사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폴리페놀 함량은 민들레 뿌리 분말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환원력에서도 민들레 뿌리 가루의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민들레 뿌리 가루를 첨가한 약주는 높은 생리활성물질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어 기능성 약주로서 개발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activity characteristics of Yakju with different ratios (0, 5, 10, and 15%)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root powder in order to find out potential as a functional fermented rice alcohol. Yakju samples were measured to obtain total flavono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외에도 민들레를 첨가한 코팅쌀밥과 설기떡과 같은 가공제품의 특성에 관한 연구(Yoo et al 2005a, Yoo et al 2005b)도 발표되었으나, 민들레는 한약재의 재료 또는 생즙이나 쌈, 채소 등으로 적은 양이 일부 이용되고 있을 뿐 상품화된 가공식품은 미비한 실정으로 민들레 약주에 관한 보고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들레 뿌리를 첨가한 약주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어 새로운 기능성 발효주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총 플라보노이드,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환원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araxacum officinale에 많이 함유된 성분은? 민들레는 폴리페놀화합물 중 flavonoid류와 luteolin, tara- xasterol 등과 같은 성분과 Ca, 엽록소 및 비타민 C, D, K를 함유하고 있고(Kang et al 2000, Lee et al 2004), 민들레 뿌리에는 강한 항산화 활성이 있는 생리활성 성분인 chlorogenic acid, chicoric acid, caffeic acid와 같은 폴리페놀 화합물들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고 발표되었다(Kweon et al 2001).
linolenic acid와 choline 성분은 민들레의 어느 부위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가? 국화과에 속하는 민들레(Taraxacum officinale)는 우리나라 전국의 산야, 길가, 밭둑 등에서 야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Chang JK 1997), 민간과 한방에서는 강장, 해열, 이뇨, 건위, 거담, 해독 등의 목적으로, 서양에서는 항산화, 항균, 담즙분비 촉진, 항류미티스 및 이뇨 등에 사용하고 있다(Choi et al 2002, Yun et al 2002). 또한, 민들레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linolenic acid와 choline 성분은 성인병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오래전부터 민간에게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Kim et al 1998).
민들레의 약리효과는? 국화과에 속하는 민들레(Taraxacum officinale)는 우리나라 전국의 산야, 길가, 밭둑 등에서 야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Chang JK 1997), 민간과 한방에서는 강장, 해열, 이뇨, 건위, 거담, 해독 등의 목적으로, 서양에서는 항산화, 항균, 담즙분비 촉진, 항류미티스 및 이뇨 등에 사용하고 있다(Choi et al 2002, Yun et al 2002). 또한, 민들레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linolenic acid와 choline 성분은 성인병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오래전부터 민간에게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Kim et al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 Byun S, Lee KW, Jung SK, Lee EJ, Hwang MK, Lim SH, Bode AM, Lee HJ, Dong Z (2010) Luteolin inhibits protein kinase C and c-Src activities and UVB-induced skin cancer. Cancer Res 70: 2415-2423. 

  3. Chang JK (1997) Seasonally wild flowers of Korea. Doseochulpan Necseas, Seoul, Korea. pp 139. 

  4. Choi JH, Shin KM, Kim NY, Hong JP, Lee YS, Kim HJ, Park HJ, Lee KT (2002) Taraxinic acid, a hydrolysate of sesquiterpene lactone glycoside from the Taraxacum coreanum Nakai, induces the differentiation of human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HL-60 cells. Biol Pharm Bull 25: 1446-1450. 

  5. Choi YM, Jeong HS, Lee JS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Food Chemistry 103: 130-138. 

  6. Dlamini NR, Taylor JRN, Rooney LW (2007) The effect of sorghum type and processing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African sorghum-based foods. Food Chemistry 105: 1412-1419. 

  7. Ferreres F, Gomes D, Valentano P, Goncalves R, Pio R, Chagas EA, Seabra RM, Andrade PB (2009) Improved loquat (Eribotrya japonica Lindl.) cultivars: vari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tive potential. Food Chemistry 114: 1019- 1027. 

  8. Han EK, Lee JY, Jung EJ, Jin YX, Chung CK (2010)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officina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580-1586. 

  9. Jang JH (1989)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ean J Dietary Cult 4: 271-274. 

  10. Kang MJ, Seo YH, Lim JB, Shin SR, Kim KS (2000)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araxacum officinale consumed in Korea. Korean J Soc Food Sci 16: 182-187. 

  11. Kim JH, Lee DH, Choi SY, Lee JS (2002)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in Korean traditional liquo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18-122. 

  12. Kim KH, Chun HJ, Han YS (1998)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14: 114-118. 

  13. Kim KH, Min KC, See SH, Han YS (199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822-829. 

  14. Kweon MH, Hwang HJ, Sung HC (2001)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vel chlorogenic acid derivatives from bamboo (Phyllostachys edulis). J Agric Food Chem 49: 4646-4655. 

  15. Lee KD, Chang HK, Kim HK (1997)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32-436. 

  16. Lee SH, Park HJ, Cho GJ, Cho SM, Rhie SG (2004) A study of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the dandelion extracts by part (Taraxacum officinale). Korean J Comm Living Sci 15: 57-61. 

  17.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Jap J Nutr 44: 307-315. 

  18. Park SJ, Song SW, Seong DH, Park DS, Kim SS, Gou J, Ahn JH, Yoon WB, Lee HY (2009) Biological activities in the extract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J Korean Soc Food Sci Nut 38: 983-988. 

  19. Pasko P, Barton H, Zagrodzki P, Gorinstein S, Folta M, Zachwieja Z (2009) Anthocyanins, total polyphenol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amaranth and quinoa seeds and sprouts during their growth. Food Chemistry 115: 994-998. 

  20. Sa YJ, Kim JS, Kim MO, Jeong HJ, Yu CY, Park DS, Kim MJ (2010) Comparative study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reducing powe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nhibition of $\alpha$ - glucosidase by Sorghum bicolor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98-604. 

  21. Shin KR, Kim BC, Yang JY, Kim YD (1999) Characterization of yakju prepared with yeasts from fruits. 1. Volatile components in yak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94-800. 

  22. Singleton VL,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s in Enzymology 299: 152-178. 

  23. Woisky RG, Salatino A (1998) Analysis of propolis: some parameters and procedures for chemical quality control. J Apic Res 37: 99-105. 

  24. Yoo KM, Hwang IK (2004) In vitro effect of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extracts on proliferation of human prostate cancer cells and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9-344. 

  25. Yoo KM, Kim SH, Chang JH, Hwang IK, Kim KI, Kim SS, Kim YC (2005a)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leaves and root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10-116. 

  26. Yoo KM, Lee YK, Kim SH, Hwang IK, Lee BY, Kim SS, Hong HD, Kim YC (2005b)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according to different coating ratios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17-123. 

  27. Yoon TJ (2008) Effect of water extracts from root of Taraxacum officinale on innate and adaptive immune responses in mice. Korean J Food & Nutr 21: 275-282. 

  28. Yun SI, Cho HR, Choi HS (2002) Anticoagulant from Taraxacum platycarpum. Biosci Biotechnol Biochem 66: 1859- 18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