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학습상황과 학습자의 학습스타일이 블랜디드 러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nline learning situation and learners' learning style on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원문보기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12 no.6, 2011년, pp.95 - 103  

이성주 (동신대학교 교육대학원) ,  권재환 (동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블랜디드 러닝 상황과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학습자의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아 블랜디드 러닝 실제에 도움을 주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블랜디드 러닝의 온라인 학습상황을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블랜디드 러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블랜디드 러닝 참여자들의 학습스타일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그 특성이 참여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블랜디드 러닝 만족도는 크게 웹환경 만족도, 콘텐츠 만족도, 면대면수업 만족도, 일반적 만족도의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executed to give a help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Blended learning through investigating the learners' satisfaction difference according to Blended learning situation and learners' trai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ivided online learning situation into three types to examine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블랜디드 러닝의 상황과 학습자의 특징에 따른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살펴보아 실제 블랜디드 러닝 실시에 도움을 주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블랜디드 러닝의 온라인 학습환경을 세 가지 유형으로 처치하여 그것이 참여자들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참여자들을 학습 스타일 유형을 분류하여 그 특성이 블랜디드 러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유병민, 박성열, 임정훈(2005)의 연구를 보면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에 따라 이러닝 콘텐츠 개발 유형 선호도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다[14]. 본 연구에서는 학습스타 일이 블랜디드 러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블랜디드 러닝 참여자들을 시각형, 청각형, 촉각형, 근육운동형의 4가지의 지각적 학습스타일로 분류하여 학습스타일 유형에 따른 블랜디드 러닝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 따라서 학습자 특성을 파악하고 그 특성에 따른 설계와 환경 구성이 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특성에 따른 블랜디드 러닝 설계, 블랜디드 러닝 학습환경 구축을 위해 학습자의 학습스타일이 블랜디더 러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학습자들이 블랜디드 러닝에 가지는 기대가 만족으로 이어질 때 긍정적인 학습의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그렇다면 블랜디드 러닝의 학습상황이나 환경을 어떻게 제공했을 때 학습자의 기대를 충족하여 만족도를 보다 높일 수 있을까? 블랜디드 러닝의 학습환경 변화가 만족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블랜디드 러닝의 온라인 학습상황을 다르게 처치하여 그것이 참여자들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블랜디드 러닝이란? 블랜디드 러닝은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사용되고 있으나 가장 일반적으로 수용하는 의미는 전통적인 면대면 교실 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결합으로 보는 것이다[2,6,7,15]. 그러나 블랜디드 러닝은 현존하는 주도적 접근방법에 부수적인 방법을 단지 더하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 주된 요소 즉 면대면 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효과적 통합이 요구된다.
블랜디드 러닝이 사용되는 이유는? 혼합적 패러다임 속에 등장한 블랜디드 러닝은 학습자의 학습경험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학습방법과 전달기제를 조합하여 학습환경을 최적화 하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이러닝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들이 제기되면서, 이러닝 방식에 전통적 면대면 방식의 장점을 살리고 면대면 교실 수업에서의 부족한 활동을 보완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블랜디드 러닝을 주목하고 있다[1,2].
블랜디드 러닝 수강생이 성실하게 수강하는 이유는? 차대운 등(2005)의 연구에서는 블랜디드 학습자들이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다변화가 학습 성취도와 참여도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블랜디드 러닝에 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4]. 서종숙(2007)의 결과를 보면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편의성, 콘텐츠의 품질, 다양한 매체의 풍부성, 강의 내용,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정도에 대한 내용이 블랜디드 러닝의 학습효과를 높여주었다[9]. 이처럼 학습자들은 블랜디드 러닝의 편리성, 학습지원, 학습경험, 상호작용 때문에 블랜디드 러닝을 선호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Norman V.N., & Garrison, D.R. (2005). Creating cognitive presence in a blended faculty development community.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8, 1-12. 

  2. Vacik, H., Wolfslehner, B., Spork, J., & Kortschak, E. (2006). The use of COCOON in teaching silviculture, Computers & Education, 47, 245-259. 

  3. 전계영(2005). Blended larning 강좌의 만족도 및 개선에 대한 사례 연구, 교육종합연구, 3(1), 157-173. 

  4. 차대운, 문용은, 윤중현, 김유리(2005). 블랜디드 러닝의 학습 참여도와 성취도에 관한 실험 연구, 경영교육논총, 38, 3-18. 

  5. 김성중, 문교식(2006). 블랜디드 러닝 전략을 활용한 웹 커뮤니티 기반 초등 과학과 탐구학습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0(2). 

  6. Olapiriyakul, K., & Scher, J.M. (2006). A guide to establishing hybrid learning courses: Employing information technology to create a new learning experience, and a case study. 

  7. Garrison, D.R., & Kanuka, H. (2004). Blended learning: uncovering its transformative potential in higher education.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7, 95-105. 

  8. Schrum, L., Burbank, M.D., & Capps, R. (2007). Preparing future teachers for diverse schools in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Perceptions and practic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10, 204-211. 

  9. 서종숙(2007). 블랜디드 러닝을 통한 e-Learning이 학습자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Sun, K., Lin, Y., & Chia-jui. (2008). A study on learning effect among different leaning styles in a Web-based lab of scien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uter & Education, 50, 1411-1422. 

  11. Kraus, L.A., Reed, W.M., & Fitzgerald, G.E. (2001). The effects of learning style and hypermedia prior experience on behavioral disorders knowledge and time on task: a case-based hypermedia environmen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7, 125-140. 

  12. Pat-Anthony F.P. (2000). Learning styles and student attitudes toward various aspects of network-based instruc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6, 359-379. 

  13. Terrell, S.R. (2002). The effect of learning style on doctoral course completion in a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5, 345-352. 

  14. 유병민, 박성열, 임정훈. (2005). 학습스타일에 따른 이러닝 콘텐츠 개발 유형에 대한 선호도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1(3), 115-134. 

  15. Akkoyunlu, B., & Yilmaz-Soylu, M. (2008). Development of a scale on learners' view on blended learning and its implementation process. 

  16. Akdemir, O., & Koszalka, T.A. (2008).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learning styles in online environments. Computers & Education, 50, 1451-1461. 

  17. Leutner, D., & Plass, J.L. (1998). Measuring learning styles with questionnaires versus direct observation of preferential choice behavior in authentic learning situations: the visualizer/verbalizer behavior observation scale(VV-BO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4, 543-557. 

  18. Chang, Y., Kao, W., Chu, C., & Chiu, C. (2009). A learning style classification mechanism for e-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53, 273-285. 

  19. Papanikolaou, K.A., Mabbott, A., Bull, S., & Grigoriadou, M. (2006). Designing learnercontrolled educational interaction based on learning/cognitie style and learner behaviour. Interacting with computers, 18, 356-384. 

  20. Ozpolat, E., & Akar, G.B. (2009). Automatic detection of learning styles for an e-learning system. Compters & Education, 53, 355-367. 

  21. Reid, J.M. (1984). Perceptual learning styles questionnaire. Laramie, WY:University of Wyom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