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통합성이 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rses' Sense of Coherence on Their Stress and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7 no.4, 2011년, pp.493 - 507  

김경숙 (삼성서울병원 간호본부, 서울대학교 대학원) ,  최스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nse of coherence (SOC) on occupational stress, psychosocial stress and quality of life (QOL) of nurses working in a hospital.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01 nurses working in S hospital in Seoul.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was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강생성이론의 핵심개념인 통합성이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개인의 내적자원임을 확인하고, 이를 간호학적 건강증진이론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 고찰하기 위하여 비교적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으로 알려진 간호사의 통합성이 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건강생성이론의 핵심개념인 통합성이 스트레스를 조절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지 확인하고, 이를 간호학적 건강증진이론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 고찰하기 위하여 비교적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으로 알려진 간호사를 대상으로 통합성이 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간호사의 통합성, 스트레스 및 삶의 질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확인하며, 통합성이 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비교적 스트레스가 높은 그룹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통합성이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상태를 반영하는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건강생성이론을 확인하고, 향후 건강증진과 스트레스 관리에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간호사뿐 아니라 환자, 일반인 등의 건강증진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중재개발에 근간을 제공하고자 한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직무 스트레스란 업무상 요구사항이 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 요구와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유해한 신체적 정서적 반응이 다(NIOSH, 1999). 
통합성이란 무엇인가? 일상생활에서 불가피한 스트레스를 다루기 위한 전체적인 상황을 이해하는 능력과 자원을 잘 활용하는 능력의 합을 말하며 (Antonovsky, 1987), 이해력, 관리력, 의미부여의 3요소로 구성된다. 
삶의 질이란 무엇인가? 삶의 질이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그리고 영적 차원을 포함하는 주관적 안녕감을 의미한다(Haas, 1999). 본 연구에서는 SF-36 Health Survey Version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tonovsky, A. (1987). Unraveling the mystery of health: how people manage stress and stay well. Jossey-Bass, San Francisco. 

  2. Basinska, M. A., Andruszkiewicz, A., & Grabowska, M. (2011). Nurses' sense of coherence and their work related patterns of behaviour.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and Environmental Health, 24(3), 256-266. 

  3. Bengtsson-Tops, A., & Hansson, L. (2001). The validity of Antonovsky's sense of coherence measure in a sample of schizophrenic patients living in the communit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3(4), 432-438. 

  4. Binkowska-Bury, M., & Januszewicz, P. (2010). Sense of coherence and health-related behaviour among university students-a questionnaire survey. Central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8(3), 145-150. 

  5. Chang, E. M., Bidewell, J. W., Huntington, A. D., Daly, J., Johnson, A., Wilson, H., et al. (2007). A survey of role stress, coping and health in Australian and New Zealand hospital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4(8), 1354-1362. 

  6. Chang, S. J. (2000). Standardization of collection and measurement of health statistics data.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Seoul, Korea. 92-143. 

  7. Chang, S. J., Koh, S. B., Kang, D. M., Kim S. A., Kang, M. G., Lee, C. G., et al.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4), 297-317. 

  8. Delgado, C. (2007). Sense of coherence, spirituality,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illnes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9(3), 229-234. 

  9. Eriksson, M., & Lindstrom, B. (2005). Validity of Antonovsky's sense of coherence scal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9(6), 460-466. 

  10. Eriksson, M., & Lindstrom, B. (2008). A salutogenic interpretation of the Ottawa charter.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3(2), 190-199. 

  11. Erim, Y., Beckmann, M., Kroencke, S., Schulz, K. H., Tagay, S. Valentin-Gamazo, C., et al. (2008). Sense of coherence and social support predict living liver donors' emotional stress prior to living-donor liver transplantation. Clinical Transplantation, 22(3), 273-280. 

  12. Flensborg-Madsen, T., Ventegodt, S. & Merrick, J. (2005). Why is Antonovsky's sense of coherence not correlated to physical health? analysing Antonovsky's 29-item sense of coherence scale(SOC-29). Scientific World Journal, 14(5), 767-76. 

  13. Fok, S. K., Chair, S. Y., & Lopez, V. (2005). Sense of coherence, coping and quality of life following a critical illn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9(2), 173-181. 

  14. Haas, B. K. (1999). A multidisciplinary concept analysis of quality of life.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1(6), 728-742. 

  15. Haoka, T., Sasahara, S., Tomotsune, Y., Yoshino, S., Maeno, T., & Matsuzaki, I. (2010). The effect of stress-related factors on mental health status among resident doctors in Japan. Medical Education, 44(8), 826-834. 

  16. Kim, H. C., Kwon, K. S., Koh, D. H., Leem, J. H., Park, S. G., Shin, J. Y., et al.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8(1), 25-34 

  17. Kim, S. S., Park, J. S., & Roh, Y. S. (2005).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perceived health status, body ima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7(1), 88-99. 

  18. Koh, S. B., Son, M. A., Kong, J. O., Lee, C. G., Chang, S. J., Cha, B. S. (2004). 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distress of atypical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6(1), 103-113. 

  19. Lerdal, A., Andenaes, R., Bjornsborg, E., Bonsaksen, T., Borge, L., Christiansen, B., et al. (2011). Personal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ersons with morbid obesity on treatment waiting lists in Norway. Quality of Life Research: an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of Life Aspects of Treatment, Care and Rehabilitation, 20(8), 1187-1196. 

  20. Lee, E. H., Chang, S. J., Kim, H. O., Roh, J. H., Park, E. J. & Won, J. U. (2007).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of registered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2), 93-103. 

  21. NIOSH. (1999). Stress at work. DHHS (NIOSH) Publication No. 99-101. America. 

  22. Norekval, T. M., Fridlund, B., Moons, P., Nordrehaug, J. E., Saevareid, H. I., Wentzel -Larsen, T., et al. (2010). Sense of coherence-a determinant of quality of life over time in older femal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survivor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9(5-6), 820-831. 

  23. Park, J. S. (2002). Factors influencing on burnout experience in working nurses at hospital.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8(4), 550-558. 

  24. Park, J. S., Seo, I. S., Oh, J. A., & Choi, E. S. (2001). Sense of coherence and coping resources of working Nurses at hospital.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7(3), 348-358. 

  25. Seo, I. S. (2002). A study on the sense of coherence and compliance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6. Ware, J. E., Kosinski, M., & Dewey, J. E. (2000). How to score version 2 of the SF-36 health survey(Standard & Acute forms). Lincoln, RI: QualityMetric Incorporated. 

  27. Yoon, C. K., & Lee, H. N. (2003). A study on the job stress of nurses in hospit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 Statistics, 28(2), 95-109. 

  28. Yoon, G. S., & Kim, S. Y. (2010). Influence of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4), 507-516. 

  29. Yoon, H. S., & Cho, Y. C. (2007).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contents, psychosocial factors and mental health status amo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0(5), 351-362. 

  30. Yoon, S. H. (2009).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clinical uurses-using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3), 463-4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