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rodu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umulative resorption of implants placed in a severely atrophic mandible and analyzed the radiologic bone resorption in the marginal bone, after an autogenous bone graft including both block and particulates that had been harvested from the ramus and iliac cr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블록골 형태로 온레이 자가골 이식을 시행한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거나 혹은 입자 형태의 자가골과 Bio-Oss를 섞어서 혼합골 형태로 골 재생술을 시행한뒤, 동시 혹은 지연 식립과 같은 임플란트 식립 시기의 분류 없이 변연골 변화만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도 기존 연구 결과와 같이 블록골 이식술이 입자형 골이식술에 비해 더 높은 변연골 흡수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하악 구치부에 자가골 이식을 시행하고, 이식골의 치유 후에 식립한 임플란트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추적 조사하여 임플란트 변연골의 흡수량을 측정함으로써 자가골의 종류와 형태에 따른 임플란트의 안정성과 변연골의 흡수량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Immediate post-operative radiography after autogenous block bone graft operation. C. Immediate post-operative radiography after implant fixtures installation operation. 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플란트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예후를 위해서 필수적인 것은 무엇인가? 임플란트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예후를 위해서는 충분한 골량과 양호한 골질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중등도 이상의 치주염, 종양절제, 구강악안면 영역의 외상 등에 의한 치아의 발거, 또는 조기 치아 발거 후 장기간 무치악 상태의 유지 등의 원인으로 치조골이 과도하게 위축된 경우에는 임플란트 식립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치조골 증대술 등의 고급 임플란트 술식이 요구된다1,2.
이식된 자가골의 종류와 형태에 따른 임플란트 변연골 흡수량을 측정한 연구 결과는? 1. 이식골에 식립한 임플란트는 식립 초기에 이식골의 공 여부나 골의 형태에 관계없이 변연골의 흡수가 초기 3개월에 0.84 mm로 1년 누적 흡수량의 50%를 보였다. 2. 3개월 후부터는 골흡수량이 6개월까지 0.44 mm, 1년까지 0.52 mm만큼 더 흡수된 후 안정화되었으며 임플 란트 생존율은 총 34개 중 1개가 실패하여 97%였다. 3. 온레이골 형태로 이식술을 시행한 이식골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식립 후 초기 3개월 변연골 흡수량은 0.98 mm를 보였고 분쇄골 0.74 mm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이식을 위한 자가 골편의 구강 외 채취 부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식을 위한 자가 골편은 구강 내와 구강 외에서 채취 할 수 있다4-7. 구강 외에서 가능한 채취 부위로는 두개골(calvarium), 경골(tibia), 장골(iliac crest), 늑골(rib) 등이 있다. 이 중 장골이 악골 재건에 가장 자주 사용되나 술 후에 일시적인 보행의 불편, 입원, 술 후 합병증 등으로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치과 임플란트와 동반하는 골이식술식의 경우 많은 양의 골량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많지 않기 때문에 구강 내에서 채취하는 경우가 더욱 일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ranemark PI, Lindstrom J, Hallen O, Breine U, Jeppson PH, Ohman A. Reconstruction of the defective mandible. Scand J Plast Reconstr Surg 1975;9:116-28. 

  2. Block MS, Degen M. Horizontal ridge augmentation using human mineralized particulate bone: Preliminary results. J Oral Maxillofac Surg 2004;62(9 Suppl 2):67-72. 

  3. Enneking WF, Eady JL, Burchardt H. Autogenous cortical bone grafts in the reconstruction of segmental skeletal defects. J Bone Joint Surg Am 1980;62:1039-58. 

  4. Shirota T, Ohno K, Motohashi M, Michi K. Histologic and microradiologic comparison of block and particulate cancellous bone and marrow grafts in reconstructed mandibles being considered for dental implant placement. J Oral Maxillofac Surg 1996;54:15-20. 

  5. Buser D, Dula K, Hirt HP, Schenk RK. Lateral ridge augmentation using autografts and barrier membranes: a clinical study with 40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J Oral Maxillofac Surg 1996;54:420- 32. 

  6. Triplett RG, Schow SR. Autologous bone grafts and endosseous implants: complementary techniques. J Oral Maxillofac Surg 1996;54:486-94. 

  7. Raghoebar GM, Batenburg RH, Vissink A, Reintsema H. Augmentation of localized defects of the anterior maxillary ridge with autogenous bone before insertion of implants. J Oral Maxillofac Surg 1996;54:1180-5. 

  8. Harsha BC, Turvey TA, Powers SK. Use of autogenous cranial bone grafts in maxillofacial surgery: a preliminary report. J Oral Maxillofac Surg1986;44:11-5. 

  9. Keller EE, Van Roekel NB, Desjardins RP, Tolman DE. Prosthetic- surgical reconstruction of the severely resorbed maxilla with iliac bone grafting and tissue-integrated prosthese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7;2:155-65. 

  10. Listrom RD, Symington JM. Osseointegrated dental mplants in conjunction with bone grafts.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88;17: 116-8. 

  11. Schwartz-Arad D, Dori S. Intraoral autogenous onlay block bone grafting for implant dentistry. Refuat Hapeh Vehashinayim 2002; 19:35-9, 77. 

  12. Smith JD, Abramson M. Membranous vs endochondrial bone autografts. Arch Otolaryngol 1974;99:203-5. 

  13. Kusiak JF, Zins JE, Whitaker LA. The early revascularization of membranous bone. Plast Reconstr Surg 1985;76:510-6. 

  14. Marciani RD, Gonty AA, Synhorst JB 3rd, Page LR. Cancellous bone marrow grafts in irradiated dog and monkey mandibl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79;47:17-24. 

  15. Doblin JM, Salkin LM, Mellado JR, Freedman AL, Stein MD. A histologic evaluation of localized ridge augmentation utilizing DFDBA in combination with e-PTFE membranes and stainless steel bone pins in human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96;16:120-9. 

  16. Misch CM, Misch CE, Resnik RR, Ismail YH. Reconstruction of maxillary alveolar defects with mandibular symphysis grafts for dental implants: a preliminary procedural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2;7:360-6. 

  17. Papageorge MB, Karabetou SM, Norris LH.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reconstructed mandibles using osseointegrated implants: clinical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9;14: 118-26. 

  18. Keller EE, Tolman D, Eckert S. Endosseous implant and autogenous bone graft reconstruction of mandibular discontinuity: a 12-year longitudinal study of 31 patie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8;13:767-80. 

  19. Dragoo MR, Sullivan HC. A clinical and histological evaluation of autogenous iliac bone grafts in humans. I. Wound healing 2 to 8 months. J Periodontol 1973;44:599-613. 

  20. Marx RE, Carlson ER, Eichstaedt RM, Schimmele SR, Strauss JE, Georgeff KR. Platelet-rich plasma: Growth factor enhancement for bone graf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8;85:638-46. 

  21. Proussaefs P, Lozada J. The use of intraorally harvested autogenous block grafts for vertical alveolar ridge augmentation: a human study.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5;25:351-63. 

  22. Jeon HR, Kim JW, Kwon HB, Lee DH, Hong JR, Kim CS. The study on the bone resorption rate after vertical alveolar ridge augmentation.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2006;32:230- 4. 

  23. Aghaloo TL, Moy PK. Which hard tissue augmentation techniques are the most successful in furnishing bony support for implant placemen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7;22(Suppl):49-70. 

  24. Jensen J, Sindet-Pedersen S. Autogenous mandibular bone grafts and osseointegrated implants for reconstruction of the severely atrophied maxilla: a preliminary report. J Oral Maxillofac Surg 1991;49:1277-87. 

  25. Wallace SS, Froum SJ. Effect of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on the survival of endosseous dental implants. A systematic review. Ann Periodontol 2003;8:328-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