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0.12% 클로르헥시딘액과 생리식염수액을 이용한 구강간호가 소아 개심술 환아의 구강상태, 구강 내 세균 발생 수 및 폐감염 점수에 미치는 효과 비교
Effects of Oral Care with 0.12% Chlorhexidine and Saline Solution on Oral Status, Incidence of Oral Pathogens and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 in Children with Cardiac Surgery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8 no.3, 2011년, pp.356 - 364  

구미지 (양산 부산대학교 병원 제2중환자실) ,  김경남 (양산 부산대학교 병원 제1중환자실) ,  황선경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al care using 0.12% chlorhexidine and saline solution on oral status, incidence of oral pathogens and pneumonia among children who had cardiac surgery.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84 children who underwent cardiac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소아 개심술 환아들에게 0.12% 클로르헥시딘액과 생리식염수액을 사용하여 구강간호를 실시한 후 구강상태, 구강 내 세균 발생 수 및 폐감염 점수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해 봄으로써 소아 개심술 환아의 구강건강을 위한 효과적인 구강간호제제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0.12% 클로르헥시딘액과 생리식염수액을 사용한 구강간호가 개심술 후 인공호흡기 간호를 받는 환아의 구강상태, 구강 내 세균 발생 수 및 폐감염 점수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여 소아 개심술 환아들에게 효과적인 구강간호 제제를 검정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소아 개심술 환아들에게 0.12% 클로르헥시딘액과 생리식염수액을 사용한 구강간호 중재를 제공하고 구강상태, 구강 내 세균 발생 수 및 폐감염 점수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ㆍ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심술 후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고 있는 환아들의 구강 오염 방지를 위해 0.12% 클로르헥시딘액과 생리식염수액을 사용한 구강간호 중재를 수행하고 구강상태, 구강 내 세균 발생 수 및 폐감염 점수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해 봄으로써 소아 개심술 환아들에게 효과적인 구강간호제제를 검정하기 위한 것이다.

가설 설정

  • • 0.12% 클로르헥시딘액을 사용한 실험군이 생리식염수액을 사용한 대조군보다 구강내 세균 발생 수가 적을 것이다.
  • • 0.12% 클로르헥시딘액을 사용한 실험군이 생리식염수액을 사용한 대조군보다 구강상태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0.12% 클로르헥시딘액을 사용한 실험군이 생리식염수액을 사용한 대조군보다 폐감염 점수가 낮을 것이다.
  • • 제 2가설.
  • • 제 3가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간호란 무엇인가? 구강간호는 구취, 설태를 제거하여 구강오염을 예방하고 안위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독립적인 간호수행 중 하나이다. 특히 의식이 없는 환자나 산소흡입을 하는 환자, 구강으로 기도삽관이 되어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고 있거나, 기관절개술을 실시한 환자와 경관영양을 하는 환자들은 침 분비자극이 줄어들고 정상적인 타액선의 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침에 의해 구강 내부가 세척될 기회가 적어, 세균이 쉽게 자라기 때문에 이들 환자에게 구강간호는 매우 중요하다(Cho, 2004).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은 성인 중환자실에서 몇 퍼센트의 빈도로 발생하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은 성인 중환자실에서 10∼50% 빈도로 발생하고, 소아 중환자실에서도 5∼10%의 빈도로 발생하며, 2∼12개월 사이의 영아에서 호발한다. 원인균은 성인과 유사하게 녹농균 등의 그람음성간균이 흔하며 패혈증 등의 합병증이 쉽게 발생한다(Elward, Warren, & Fraser, 2002).
소아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의 원인균으로 흔한것은 무엇인가?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은 성인 중환자실에서 10∼50% 빈도로 발생하고, 소아 중환자실에서도 5∼10%의 빈도로 발생하며, 2∼12개월 사이의 영아에서 호발한다. 원인균은 성인과 유사하게 녹농균 등의 그람음성간균이 흔하며 패혈증 등의 합병증이 쉽게 발생한다(Elward, Warren, & Fraser, 2002). 소아 중환자 중에서도 개심술 환아들은 수술 중에 인공심폐기를 사용하고, 수술 직후에는 중심정맥관, 동맥도관 및 흉관 등의 삽입과 더불어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기 때문에 폐렴의 발생위험이 높으며 이는 수술사망률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Brown, Ridout, Goldman, Hoskote, & Penny,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ck, S. (1979). Impact of a systematic oral care protocol on stomatitis after chemotherapy. Cancer Nursing, 2, 185-199. 

  2. Bopp, M., Darby, M., Loftin, K. C., & Broscious, S. (2006). Effect of daily oral care with 0.12% chlorhexidine gluconate and standard oral care protocol on the development of nosocomial pneumonia in intubated patients. Journal of Dental Hygiene, 80(3), 9. 

  3. Brown, D. L., Hungness, E. S., Campbell, R. S., & Luchette, F. A. (2001).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the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Trauma-Injury Infection & Critical Care, 51, 1207-1216. 

  4. Brown, K. L., Ridout, D. A., Goldman, A. P., Hoskote, A., & Penny, D. J. (2003). Risk factors for long intensive care unit stay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in children. Critical Care Medicine, 31, 28-33. 

  5. Byun, Y. S., & Kim, A .K. (1995). The survey of mouth care among cancer patient received chemotherapy.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 115-130. 

  6. Cheng, K. K. (2004). Children's acceptance and tolerance of chlorhexidine and benzydamine oral rinses in the treatment of chemotherapy-induced oropharyngeal mucositis.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8, 341-349. 

  7. Cheng, K. K., & Yuen, J. K. T. (2006). Pilot study of chlorhexidine and benzydamine oral rins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rradiation mucositis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Cancer Nursing, 29, 423-430. 

  8. Cho, W. H. (2004). Comparison of water jet irrigation and gauze cleansing method on oral hygiene for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9. Choi, S. H. (2004). The effect of a oral care with normal saline on oral state for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10.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1. DeRiso, A. J., Ladowski, J. S., Dillon, T. A., Justice, J. W., & Peterson, A. C. (1996). Chlorhexidine gluconate 0.12% oral rinse reduces the incidence of total nosocomial respiratory infection and nonprophylactic systemic antibiotic use in patients undergoing heart surgery. Chest, 109, 1556-1561. 

  12. Elward A. M., Warren, D. K., & Fraser, V. J. (2002).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risk factors and outcomes. Pediatrics, 109, 758-764. 

  13. Feider, L. L., & Mitchell, P. (2009).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n oral care practice survey for the orally intubated adult critically ill patient. Nursing Research, 58, 374-377. 

  14. Fourrier, F., Duvivier, B., Boutigny, H., Rourrel-Delvalles, M., & Chopin, C. (1998). Colonization of dental plaque: a source of nosocomial infection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Critical Care Medicine, 26, 301-308. 

  15. Hong, H. K., Kim, J. S., Cho, E. S., Kang, Y. S., Park, M. R., Chang, B. K., et al. (2006). Effects of oral care using chlorhexidine gluconate on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the intensive care unit.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11, 129-137. 

  16. Houston, S., Hougland, P., Anderson, J. J., LaRocco, M., Kennedy, V., & Gentry, L. O. (2002). Effectivenss of 0.12% chlorhexidine gluconate oral rinse in reducing prevalence of nosocomial pneumonia in patients undergoing heart surger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1, 567-570. 

  17. Jung, S. N. (2005). The effects of the normal saline and chlorhexidne on oral care hygiene of patients on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guk University, Seoul. 

  18. Kim, G. Y., Kim, M. H., Kim, Y. H., No, G. H., Min, B .H., Park, M. S., et al. (2003). Pathogen Microbiology. Seoul: Hyunmoon. 

  19. Koeman, M., Van der Ven, A. J., Hak, E., Joore, H. C., Kaasjager, K., de Smet, A. G., et al. (2006). Oral decontamination with chlorhexidine reduces the incidence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73, 1348-1355. 

  20. Lee, E. N., Ju, H. O., Kim, S. M., Park, H. S., Park, M. J., Lee, Y. J., et al. (2006). Comparison of oral hygiene effect between 0.1% chlorhexidine and normal saline on the incidence of oral pathoge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Nursing, 13, 351-358. 

  21. Lee, J. H., Cheon, S. C., Jeong, S. H., Phyeun, L. H., Jang, M. J., Lee, Y. G., et al. (2003). Clinical usefulness of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 of ICU Patients with sputum culture positive for multi-drug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55, 579-588. 

  22. Lee, K. H., Park, H. K., & Kim, J. H. (2010). Effects of oral care with 0.1% chlorhexidine and tantum solution on oral status and incidence of oral pathogens among intubated ICU patients: A pilot study. Korean Society of Critical Care Nursing, 3, 23-33. 

  23. McDowell, S. (1991). Are we using too much betadine. RN, July, 54(7), 43-45. 

  24. Park, J. H., Kim, C. S., & Lee, S. L. (2009).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s of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20, 123-131. 

  25. Park, Y. J. (1996). The influence of saline and betadine solution for gargle in the leukemic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6. Park, I. S. (2002). An Atlas and Text of Congenital Heart Disease - From Images to Treatment. Seoul: Korea. 

  27. Pedreira, M. L., Kusahara, D. M., de Carvalho, W. B., Nunez, S. C., & Peterlini, M. A. (2009). Oral care interventions and oropharyngeal colonization in children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ion.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8, 319-328. 

  28. Pugin, J., Auckenthaler, R., Mili, N., Janssens, J. P., Lew, P. D., & Suter, P. M. (1991). Diagnosi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y bacteriologic analysis of bronchoscopic and nonbronchoscopic "blind"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merican Review of Respiratory Disease, 143, 1121-11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