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약계층 독거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변인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Elderly Vulnerable People Living Alone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2 no.4, 2011년, pp.355 - 364  

김현미 (대구과학대학 간호과) ,  최연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d depression of the elderly vulnerable people living alone in the public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center.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491 Korean elderly men living in G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독거노인의 우울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 건강상태의 차이를 파악하고, 독거 우울노인군이 인식하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수에 관해 탐색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취약계층 독거노인의 우울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중재 전략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취약계층 독거노인의 우울에 따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였다. 취약계층 독거노인을 우울에 따라 일반적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연령, 종교유무 및 낙상경험 유무 및 자원봉사자 서비스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취약계층 독거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변인을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취약계층 독거노인인구의 증가에 부응하여 취약계층 독거의 우울에 미치는 예측변인을 확인하였다. 취약계층 독거 우울노인에게는 사회적 지지체계 연계망을 확충하여 생활만족도를 높여주는 일이 우선시되어야 하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우울이 이들의 생활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취약계층 노인이란? 취약계층 노인은 국가로 부터 기초생활을 보장받고 있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빈곤, 질병, 역할상실, 소외 등의 문제로 삶의 질이 저하되어 있는 노인(Kim, 2006)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중 65세 이상 독거노인으로 보건소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1순위 사업대상자로 선정되고 보건소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대상자로 등록하여 6개월 이상 건강관리를 받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을 의미한다.
Buttler & Ciarrochi, 2007에 의하면, 노인의 우울증이 노인 건강 문제의 주요 요인으로 대두되는 이유는? 우울은 노년기에 신체적, 사회적 상실이 증가함에 따라 불가피하게 노화의 한 과정으로 나타난다(Lee, Kim, & Jung, 2009). 그러나 우울을 방치하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장애를 유발하게 되고 질병으로 부터의 회복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생활의 만족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노인의 우울증이 노인건강문제의 주요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Buttler & Ciarrochi, 2007). 노인 우울은 노년기의 일상생활동작, 인지기능, 사회적 지지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노인 우울정도에 따라 이들 요인이 영향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유기적 기능상태 저하가 유발된다(Fiori, Antonucci, & Cortina,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randt, P., & Weinert, C. (1985). The PRQ: A social support measure. Nursing Research, 30 , 277-280. 

  2. Bowling, A, Banister, D., Sutton, S., Evans, O., & Windsor, J. (2002). A multidimensional model of the quality of life older age. Aging & Mental Health, 6 , 355-371. 

  3. Buttler, J., & Ciarrochi, J. (2007).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Quality of life Research, 16 , 607-615. 

  4. Cha, S. H., Han, K. H., & Lee, J. H. (2002).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physical, mental social health: Differences among three aged group.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2, 173-190. 

  5. Choi, I. H. (2003). A study on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aged in a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4 , 1-10. 

  6. Choi, Y. H. (2007). A study on depression, sleep and fatigue in younger and older elder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 , 223-231. 

  7.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8. Fiori, K. L., Antonucci, T. C., & Cortina, K. S. (2006). Social network typologies and mental health among older adults. The Journal of Gerontology, 61 , 25-32. 

  9. Hakim, R. M., Roginski, A., & Walker, J. (2007). Comparison of fall education methods for primary prevention with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in a senior center setting. Journal of Geriatric Physical Therapy, 30 , 60-68. 

  10. Jeon, K. S., Lee, H. K., Hong, B. K., & Jang, S. R. (2007).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vulnerable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4 , 99-118. 

  11. Kim, M. L. (2006). The study of comparing the factors of affecting on the satisfaction of life for young-old women and old-old wom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8 , 197-222. 

  12. Kim, Y. H. (2003). Social structure and action in social theorytoward micro-foundation of macro-social phenomena. Seoul: Nanam Publishing House. 

  13. Kwon, Y. C., & Park, J. H.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use in the elderly. part II.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 , 125-135. 

  14. Lawton, M. P., & Brody, E. M. (1969).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Gerontologist, 9 , 179-186. 

  15. Lee, H. S., Kim, H. S., & Jung, Y. M. (2009).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 (1), 12-22. 

  16. Lee, M. S. (2000). Sense of mastery and depression in community dowelling el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17. Litwin, H., & Landau, R. (2000). Social network type and social support among the old-old. Journal of Aging Studies, 14 , 213-228. 

  18.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Affairs. (2009). Statistical yearbook of health and welfare 2008. Seoul: Author. 

  19. Park, H. S., & Lee, K. J. (2007). A study on the health behaviors, physical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for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3 , 115-122. 

  20. Park, K. M., & Ha, E. K. (2004). Ability of self care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for vulnerable elderly in urban community.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es, 30 (1), 96-103. 

  21. Park, J. S., & Lee, H. R. (2003). A comparative study on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between high and low incom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4 , 157-166. 

  22. Puts, M. T., Shekary, N., Widdershoven, G., Heldens, J., Lips, P., & Deeg, D. J. (2007). What does quality of life mean to older frail and non-frail community-dwelling adults in the Netherlands? Quality of Life Research, 16 , 263-277. 

  23. Scheffer, A. C., Schuurmans, M. J., Dijk, N., & Hooft, T. (2008). Fear of falling: Measurement strategy, prevalence, risk factors and consequences among older persons. Age and Aging, 37, 19-24. 

  24. Sheikh, J. A., & Yesavage, J. A.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New York, NY: Haworth. 

  25. Smith, J., Borchelt, M., Maier, H., & Jopp, D. (2002). Health and well-being in the young old and oldest old. Journal of Social Issues, 58 , 715-732. 

  26. Stones, N. J., & Kozma, A. H. (1980). Issues relating to the usage and conceptualization of mental health contracts employed by gerontologist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Development, 11 , 269-281. 

  27. Sugisawa, H., Shibata, H., Hougham, G. W., Sugihara, Y., & Liang, J. (2002). The impact of social ties on depressive symptoms in U.S. and Japanese elderly. Journal of Social Issues, 58, 785-804. 

  28. Won, C. W., Yang, K. Y., Rho, Y. G., Kim., S. Y., Lee., E., Yoon., J. L. et al. (2002).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Scale. Journal of Korean Geriatrics Society, 6, 107-120. 

  29. Won, C. W., Yang, K. Y., Rho, Y. G., Kim, S. Y., Lee, E., Yoon, J. L., et al. (2008). Evaluation of cognitive functions,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receiving visiting nursing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38 , 1-10. 

  30. Won, J. S., & Kim, J. H. (2003). Influencing factors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2, 148-1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