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환별 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질병인식 및 약물지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ducation Program by Illness on Perception of Illness and Knowledge of Medication in Psychiatric Inpatient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17 no.2, 2011년, pp.110 - 116  

전원희 (안동과학대학 간호과) ,  박정순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정신과 병동) ,  정안순 (경복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ducation program by illness on perception of illness and knowledge of medication in psychiatric inpatient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and non-synchronized control group design. For this research, a total of 50 subjects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입원 중 개별적이고 구조화된 교육은 정신질환자들이 자신의 질병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데 필요한 정보나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질환별 교육이 정신질환자의 질병인식 및 약물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론적 기틀을 가지고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을 도식화하면 Figure 1과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원 환경이 지역사회에서보다 집단형성이 용이하다는 점을 활용하여 질환별로 3-5명의 소규모 집단을 대상으로 교육을 시행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Table 1).
  • 본 연구는 입원한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질환별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질병인식 및 약물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실시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질환별 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질병인식 및 약물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집단 교육프로그램과 달리 집단의 응집력을 높일 수 있는 소규모의 집단 크기와 개별화된 교육의 효과를 반영하여 동질성을 높일 수 있도록 증상이 비슷한 질환별로 집단을 형성하고 단순한 강의 형식이 아닌 토론형태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일상적인 사회관계를 재현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질병에 대한 인식과 약물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제1가설: 질환별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질병인식이 증가할 것이다.
  • 2) 제2가설: 질환별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약물지식이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질환자에 대한 약물과 증상관리 교육이 임상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이 용이하고 단기적이면서 효율적인 방안으로 마련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대 사회는 과학문명의 발달로 인해 직접적인 교육이 아니더라도 대중매체나 인터넷을 통해 정신질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 그 내용이나 사용되는 용어들이 정신질환자들이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제한점이 있다. 또한 직접적으로 교육하는 경우에도 일대일의 개별화된 교육은 질적인 측면이나 그 의의가 실로 크다 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임상현장이 충분한 간호 인력 확보가 어렵고 시간 제한적인 점을 감안했을 때 실제적으로 지속적인 적용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임상현장에서 실제 적용하기 용이하고 집단의 역동을 치료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단기적이면서 효율적인 집단 교육방안이 마련되어야한다.
정신질환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꿀 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은 무엇인가? 정신질환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꿀 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은 교육을 통해 올바른 지식,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실적이고 과학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 전문기관이나 전문가의 활용이 절실히 요구된다(Chung,&Yoon, 2004).
정신질환자들의 잦은 재발과 재입원의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정신질환자들의 잦은재발과 재입원의 가장 큰 이유로는 병식 부족으로 인해 퇴원 후 약물 복용을 중단하여 증상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Song (2002)은 약물에 대한 잘못된 상식이나 지식은 정신약물의 사용에대해 부정적태도를 가지게하고 결과적으로 약물복용을 중단하는 원인이 된다고 보고했다. 즉, 환자가 먼저 질병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여 약물의 효과와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다면 약물 순응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고, 퇴원 후 항정신병약물의 장기적인 유지는 정신질환의 재발과 재입원을 감소시키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다(Son, Bai, & Jun,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ung, M. S., & Yoon, K. J. (2004). Study for recognition of mental illness between nurse and the general public.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3, 420-429. 

  2. Cramer, J. A., & Rosenheck, R. (1998). Compliance with medication regimens for mental and physical disorders. Psychiatric Services, 49, 196-201. 

  3. Day, J. C., Bentall, R. P., Roberts, C., Randall, F., Rogers, A., Cattell, D., el al. (2005). Attitudes toward antipsychotic medicat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2, 717-724. 

  4. Jung, J. E. (2000). The hospital experience of psychiatric patient: A phenomenological approach.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9, 156-169. 

  5. Jung, M. S. (1999). Effect of symptom management and medication education program for Hospitalized Chronic Schizophren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6. Kang, M. O. (2010). Quality of life, side effect of antipsychotics, attitude toward drug of mentally disorder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7. Kim, C. K., & Byeon, W. T. (2001). Soongin patient education text book. Seoul : Hana. 

  8. Kim, J. S. (1998). Effectiveness of the Home Visit Education on the Self : Care Compliance of Home-Based Schizophren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9.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2005). Textbook of neuropsychiatry, 2nd edition. Seoul : Joongangmunhwasa. 

  10. Lee, E. O., Lim, N. Y., Park, H. E., Lee, I. S., Kim, J. I., Bai, J. I., et al.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 Soomoonsa. 

  11. Lee, H. J., & Kim, I. S. (1999). The effect of medication & symptom management education on knowledge for psychiatric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5(1), 105-120. 

  12. Lee, K. S., Ha, Y. S., Kim, M. J., Yang, S., Lee, J. S., & Lim, Y. S. (2007).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3rd edition. Seoul : Hyunmoonsa. 

  13. Lim, Y. M., & Ahn, Y. H. (2000). Knowledge and coping of family caregivers with schizophrenic pati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9, 195-206. 

  14. McCombs, J. S., Nichol, M. B., & Stimmel, G. L. (1999). A typical antipsychotic medication in medicaid patients with schizophrenia.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0(19), 5-11. 

  15. Oh, D. W., Choi, Y. S., & Han, J. H. (1986). Attitudes and Concepts on the Antipsychotics of Hospitalized Chronic Schizophrenic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5, 702-714. 

  16. Olfson, M., Mechanic, D., Hansell, S., Boyer, C., Walkup, J., & Weiden, P. (2000). Predicting medication noncompliance after hospital discharge among patients with schizophrenia. Psychiatric Services, 51(2), 216-222. 

  17. Shin, G. S. (2001). Effect of home visit education on the drug compliance for chronic schzophrenics in house and the caregiver's ro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ngwon University, Gangwon. 

  18. Son, K. H. (1999). Effectiveness of the self-care education for the medication and symptoms management on the psychiatric patients' quality of life.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5, 300-314. 

  19. Son, K. H., & Bai, J. I. (2000).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for the medication and symptoms management on the psychiatric patients' self-care activity: focused on out-pati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9, 357-364. 

  20. Son, K. H., Bai, J. I., & Jun, J. Y. (2001). Psychiatric out patients' knowledge of illness and medication who had received symptom and medication instruction.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0, 699-713. 

  21. Son, M. J. (2004). The efficacy of medication and symptom management education for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3, 851-871. 

  22. Song, M. O. (2002). Effectiveness of the medication and symptom management program on the psychiatric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