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17 no.2, 2011년, pp.149 - 155  

최희정 (목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유장학 (대불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lders living alone in rural area.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369 elders living alone in rural area. The period of time for data col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 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자는 농촌지역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우울과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농촌지역 독거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개별적 프로그램들 과사회적 환경 조성에 있어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 인구규모의 증가은 무엇을 초래했는가? 또한 노인 인구규모의 증가는 독거노인 가구의 증가를 초래하였는데, 현재 전국 독거노인의 가구는 2010년 기준으로 102만 1,008가구에서 2020년에 233만 8,354가구로 큰 폭의 상승이 전망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1). 특히 농어촌의 독거노인 가구의 경우 이미 1995년 19만 8,976가구에서 2005년 36만 6,809가구로 큰 폭의 상승이 시작되어 향후 농어촌 독거노인 가구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양산할 소지를 지니고 있다(Korea Rural EconomicInstitute, 2010).
우리나라 인구의 고령화의 문제는 어떤 것으로 이어졌는가? 1%의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1). 이러한 우리나라 인구의 고령화의 문제는 노인부양 부담의 증가와 인구구조 변화, 노인의 건강문제, 경제, 여가, 전통적인 가족체계의 붕괴로 발생되는 고독감, 소외감, 스트레스,자살 등 다양한사회적 문제를 발생시켰다(Lee&Lee, 2010).
건강증진행위에 목표를 두는 것이 독거노인에게 필요하다고 보는 이유는? 독거노인의 경우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90.9%가 가지고 있고, 이들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들 중 50.8%가 일상생활 수행의 제한과 경제적 어려움, 사회활동의 제한, 외로움, 소외감, 자존감 상실, 간호와 수발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므로 어떤 연령층보다도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Jang, 2006). 이러한 개인과 지역사회 차원에서 건강을 증진하고 보호하는 목표지향적인 행위를 건강증진행위라고 하는데, 건강증진행위는 개인이나 집단의 안녕 수준을 증가시키고 개인의 자아 실현이나 성취를 유지·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취해지는 행동으로 수명을 연장시키고, 삶의 질을 증진시키며,건강관리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ender, 1987). 따라서 다양한 건강문제에 노출되어 있는 독거노인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건강증진행위에 목표를 두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 되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J. N. (1996).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New York: Prentice-Hall. 

  3. Burvill, P. W., & Hall, W. D. (1994). Predictors of increased mortality in elderly depressed patients. International Joqhsr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9, 219-227. 

  4. Cho, M. J., Hahm, B. J., Jhoo, J. H., Bae, J. N., & Kwon, J. S. (1998). Prevalenc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y in an urban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7, 352-362. 

  5. Cho, M. J., Bae, J. N., Suh, G. H., Hahm, B. J., Kim, J. K., Lee, D. W., et al. (1999).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 48-63. 

  6. Choi, Y. H. (2004).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solitary elderly in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1(2), 87-100. 

  7.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8. Jang, I. S. (2004). A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depression, and health status of elderly women in a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0(2), 91-98. 

  9. Jang, I. S. (2006). The leisure type, health statu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0, 130-140. 

  10. Jeon, E. Y., & Suh, B. D. (2004).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6, 38-46. 

  11. Kee,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 298-307. 

  12. Kim, H. J., Chae, S. O., Park, Y. S., & Woo, S. H.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con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5, 262-274. 

  13. Kim, S. Y. (2003).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lderly people: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5, 171-181. 

  14.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0, November). Current situation of the rural vulnerable class and policy improvement measures: centered o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Issue Brief No. R612). Seoul: Author. 

  15. Lee, J. C., Park, J. S., & Kim, G. H. (2010). Factors associated with th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27, 121-139. 

  16. Lee, J. H. (2005).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the elderly women who live alon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4, 109-118. 

  17. Lee, J. H., Kim, K. S., & Kim, K. M. (2007). The impacts of physical health on health on health behaviors of the korean rural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5, 57-69. 

  18. Lee, J. K., & Lee, E. J. (2010). The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on stress and the decrease of suicidal thought of elderly.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34, 17-26. 

  19. Min, S. G., Go, K. B., Kim, K. H., Kim, B. H., Kim, I., Kim, J. J., et al. (1998). Modern psychiatry (3rd ed.). Seoul: Iljogak. 

  20. Morris, J. N. (1986). Last day : a study of the quality of life of terminally III cancer patients. Journal of Chronic Disease, 39, 47-62. 

  21. Oh, P. J. (1994), A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stomach canc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2. Oldenburg, B., Glanz, K., & Ffrench, M. (1999). The application of staging models to the understanding of health behavior change and the promotion of health. Psychology and Health, 14, 503-516. 

  23. Park, M. J., Yeo, K. H., & Park, B. H. (2010).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with low economic statu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8, 205-227. 

  24. Pender, N. J. (1987).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2nd ed). Norwalk: Appleton & Lange. 

  25. Seo, H. M., & Hah, Y. S. (2004).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elderly: application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1288-1297. 

  26. Seo, Y. O. (1994). Structural model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midlife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27. Statistics Korea. (2011). 2011 Senior statistics. Retrieved November 1, 2011, from http://www.kosis.kr/ups/ups_02List01.jsp?kor_id0&pubcodeKO&typeF 

  28.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1987).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1. 

  29. Yi, E. S. (2009). The mediative effect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calisthenics participation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the rural area.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8, 683-697. 

  30. Yi, S. M., Shoe, C. J., Kim, M. J., & Kim, S. H. (2006). Effect of health calisthenics program of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 living in the rural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5, 541-5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