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실습이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불안 및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inical Training on Stress, Anxiety and Changes in Autonomic Nervous System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3 no.2, 2011년, pp.102 - 108  

김진일 (기독간호대학) ,  이정순 (기독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irst clinical training on stress, anxiety and changes in autonomic nervous system in nursing students. Methods: Seventy-four nursing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36) that had two weeks of clinical training,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첫 임상실습에 임하는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전후의 스트레스, 불안 및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간호학생이 경험하는 심리·생리적 스트레스를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2주간의 첫 임상실습을 한 간호학생과 수업만 받는 간호학생 74명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이 지각된 스트레스, 상태불안,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2주간의 첫 임상실습이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불안 및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첫 임상실습이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불안 및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간호학생은 임상실습 중 다양한 부정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러한 스트레스를 적절히 대응하지 않으면 심리·행동 장애 및 신체질환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스트레스, 상태불안, 심박변이도를 측정함으로써 첫 임상실습이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불안 및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첫 임상실습을 한 실험군은 임상실습을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지각된 스트레스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
  • 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상태불안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
  • 가설 3: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교감신경계 활성도(normalized LF)는 증가하고, 부교감신경계 활성도(normalized HF)는 감소하며 LF/HF비율은 증가할 것이다.
  • 001). 따라서 가설 1은 지지되었다.
  • 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상태불안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지각된 스트레스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첫 임상실습이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불안 및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1) 첫 임상실습이 간호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2) 첫 임상실습이 간호학생의 상태불안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3) 첫 임상실습이 간호학생의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간호학생이 타 전공의 대학생보다 더욱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학 교육과정에서 차지하는 임상실습의 중요성에 반해 간호학생들은임상실습으로인해불안,스트레스와같은부정적인경험을 더 많이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ark & Kim, 2000). 또한 간호학생은 타 전공의 대학생이 경험하는 학업, 대인관계, 실패에 대한 두려움, 자유시간의 부족, 학생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대학측의 대응, 진로, 취업준비 등의 스트레스 이외에도 임상실습이라는 교육과정으로 인하여 타 전공의 대학생보다 더욱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Jones & Johnston, 1997; Yoo, Chang, Choi, & Park, 2008).
간호삭생들에게 임상실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간호사도 전문 의료인으로서 다양하고 확대된 역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역할을수행하기위해서는교육과정에서실무를준비할수있도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Kwon, 2002; Sung, 2002). 따라서 간호학생들이 이론적 지식을 임상실무에 적용하고 전문의료인의 자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상실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Whang,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ndola, T., Heraclides, A., & Kumari, M. (2010). Psychophysiological biomarkers of workplace stressors.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35, 51-57. 

  2. Cho, G. Y., & Kim, H. O. (2010). Effect of self-foot reflexotherapy on the fatigue, mood and vital signs of th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2, 24-30. 

  3. Cline, M. E., Herman, J., Shaw, E. R., & Morton, R. D. (1992). Standardization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Nursing Research, 41, 378-380.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York, NY: Routledge Academic. 

  5. Dishman, R. K., Nakamura, Y., Garcia, M. E., Thompson, R. W., Dunn, A. L., & Blair, S. N. (2000). Heart rate variability, trait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among physically fit men and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37, 121-133. 

  6. Han, K. S., & Kim, G. M. (2007). Comparison to self esteem, family adapta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between nursing and other major university women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6, 78-84. 

  7. Jones, M. C., & Johnston, D. W. (1997). Distress, stress and coping in first-year student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6, 475-482. 

  8. Kandel, E. R., Schwartz, J. H., & Jessell, T. M. (1991).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3rd ed.). Norwalk, CT: Appleton and Lange. 

  9. Kim, C. J., Hur, H. K., Kang, D. H., & Kim, B. H. (2004). Effects of psychosocial stress management on stress and coping in student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6, 90-101. 

  10. Kim, J. T., & Shin, D. K. (1978).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21(11), 69-75. 

  11. Kim, M. A., Kim, N. A., Kwon, Y. S., Lee, K. H., Park, S. Y., & Jung, K. S. (2010). Influence of academic examination on heart rate variabil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test anxiety.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8, 11-17. 

  12. Kwon, I. S. (2002). An analysis of research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32, 706-715. 

  13.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NY: Springer. 

  14. Lee, H. S. (2008).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on nursing students' stress response and anxiety before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 112-119. 

  15. Park, H. J., & Jang, I. S. (2010). Stress, depression, coping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 14-23. 

  16. Park, I. S., Kim, C. S., Kim, R., Kim, Y. J., & Park, M. H. (2005). Stress, anxiety and fatigue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 151-160. 

  17. Park, M. Y. (2001). Nursing students' stress and anger experience in the clinical sett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7, 7-21. 

  18. Park, M. Y., & Kim, S. Y. (2000). A qualitative study of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6, 23-35. 

  19. Ra, S. S., & Kim, S. J. (1987). A study on anxiety level and anxiety content in student nurse. Journal of Kimcheon Science College, 15, 97-128. 

  20. Rozanski, A., Bairey, C. N., Krantz, D. S., Friedman, J., Resser, K. J., Morell, M., et al. (1988). Mental stress and the induction of silent myocardial ischemia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18, 1005-1012. 

  21. Saito, K., Hiya, A., Uemura, Y., & Furuta, M. (2008). Clinical training stress and autonomic nervous function in female medical technology students: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and 1/f fluctuation. The Journal of Medical Investigation, 55, 227-230. 

  22. Shin, Y. S., Cho, Y. S., & Jung, Y. J. (2004).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autonomic nerve system and physical resistance of a stress.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6(2), 5-17. 

  23. Spielberger, C. D. (1975). Anxiety: state-trait process. In C. D. Spielberger & I. G. Sarason (Eds.), Stress and axiety: The series in clinical psychology (pp. 115-143). Washington, DC: Hemisphere. 

  24. Suh, S. G.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Hypertension and Stress Measured by Heart Rate Variability in a Rural Area,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5. Sung, K. W. (2002). A comparative study on main role, professional self 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nurses and clinical nurses.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32, 219-230. 

  26. Sztajzel, J. (2004). Heart rate variability: a noninvasive electrocardiographic method to measure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Swiss Medical Weekly, 134, 514-522. 

  27. Yang, J. J. (2001). The effectiveness of assertive training on the state anxiety and assertive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train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7, 54-67. 

  28. Yoo, J. S., Chang, S. J., Choi, E. K., & Park, J. W. (2008). Development of a stress scale for Korea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38, 410-419. 

  29. Whang, S.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 205-213. 

  30. Won, J. S., & Kim, J. H. (2002). Study on ego states in the view of transactional analysis, coping style and health stat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7, 68-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