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년에 따른 간호학생의 찔림사고 현황 조사 및 관련요인
Needlestick and Sharps Injuries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3 no.2, 2011년, pp.174 - 178  

김상숙 (적십자간호대학) ,  신기수 (적십자간호대학) ,  김지영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factors influencing needlestick and sharp injuries (NSI).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for current situation of NSI,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for standard precaution, and factors influencing NSI exposures. The subjects were 450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학년별로 최근 임상실습 기간 동안의 찔림사고 현황을 조사하고 간호학생의 일반적 특성이 찔림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2개 대학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학년별로 최근 임상실습 기간 동안의 찔림사고를 조사하고 찔림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학생 대상의 효율적인 혈액매개 감염관리 교육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최근 임상실습기간 동안 학년별로 간호학생의 찔림사고와 찔림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요인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혈액매개 감염관리교육을 수행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학년별 임상실습기간 동안의 찔림 사고 현황을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학년별로 임상실습 기간 동안의 찔림 사고의 현황을 조사하고 찔림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학생의 일반적인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학생 대상의 효율적인 혈액매개 감염관리 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액매개감염이란? 혈액매개감염은 주로 주사침으로 날카로운 기구에 찔린 경우와 혈액이나체액이점막이나손상된피부에노출시발생하는것으로 B형간염, C형간염, HIV감염이보편적인혈액매개질환으로알려져 있다.
혈액매개감염을 일으키는 찔림 사고는 언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가? 혈액매개감염을 일으키는 찔림 사고와 관련하여 업무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66.3%가 침습적 행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주사바늘을 recapping 하는 행위와 주사바늘 사용 후 폐기 하는 행위 중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찔림 사고의 주요 원인은 일회용 바늘, 정맥주사용 바늘, 나비바늘, 수술용 바늘을 포함한 바늘과 칼, 란셋, 가위 등의 기구 및 유리주사기, 앰플, 슬라이드와 같은 깨어진 유리 등으로 의료종사자의 40%, 병원에서 실습을 하는 학생 71%가 찔림 사고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oi, &Kim,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09). The national healthcare safety network manual. http://www.cdc.gov/nhsn/PDFs/HSPmanual/HPS_ma-nual.pdf, 7-11. 

  2. Choi, A. L. (2005)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the clinical nurses about the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 Cho, G. L., & Choi, J. S. (2010). Knowledge of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by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Fundamentals Nursing, 17, 73-81. 

  4. Choi, M. A. (2002). A study on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about the management of nosocomical infe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5. Choi, J. S., & Kim, K. S. (2009).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on blood-borne infection control for nurses. Jouru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298-309. 

  6.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2007). 2007 Guideline for isolation precautions:preventing transmission of infectious agents in healthcare settings. 

  7. Kagan, L., Ovadia, L. L., & Kaneti, T. (2009). Perceived knowledge of blood-borne pathogens and avoidance of contact with infected patient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1, 13-19. 

  8. Kag, M. Y. (2010).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the management of nosocomical infection of the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9. Kim, M. J., Kim, J. S., & Eun, S. J. (2003). Knowledge, universal precaution practice, and hindrance factors of medical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concerning blood-mediated disease. Clinical Nursing Research, 9, 41-54. 

  10. Korean Society for Nosocominal Infection Control. (2006). Hospital infection control (3rd ed.). Seoul: Hanmi. 

  11. Park, S. Y., Shin, D. S., Lee, H. G., & Kim, H. S. (2008). Compliance with nosocomial control and related factor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 153-160. 

  12. Smith, D. R., & Leggat, P. A. (2005). Needlestick and sharps injurie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1, 449-455. 

  13. Stein, A. D., Makarowa, T. P., & Ahmad, M. F. R. (2003). A survey of doctors' and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compliance with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in Brimingham teaching hospital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54, 68-7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