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간호학 주사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의 찔림사고 현황, 불안 및 경험
Exposure to Needlestick and Sharp Injuries, Anxiety during Injection Practice and Experience of Injecting Human Beings in Fundamental Injection Practice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5 no.4, 2018년, pp.231 - 239  

최민정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정승교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  박진희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장수정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송경애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understand nursing students' exposure of needlestick and sharp injuries (NSSI), level of anxiety as well as experience of practicing injection with human beings during Fundamentals of Nursing (FN) practice. Methods: Data consisted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compl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C대학 임상연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MC12QISI0172)을 받은 후 시행하였다. 2013년 10월 1일부터 2013년 12월 12일까지 2학년에 기본간호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전국의 4년제 간호대학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9개 간호대학의 기본간호학 담당교수들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다. 각 대학의 기본간호학 담당교수는 기본간호학 주사실습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2학년 학생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서 충분히 설명하였고, 연구의 참여는 자발적이며 언제든지 동의를 철회할 수 있음을 알린 후 동의서와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 주사실습에서 발생한 찔림사고와 침습적 주사실습 현황 및 주사실습 대상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불안, 침습적 주사실습에 대한 경험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 주사실습에서 발생한 찔림사고와 침습적 주사실습 현황, 주사실습 대상에 따른 학생의 불안 및 침습적 주사실습 경험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 주사실습에서 학생의 찔림사고와 침습적 주사실습 현황, 주사실습 대상에 따른 불안과 침습적 주사 실습에서의 경험을 조사함으로써 간호대학생들의 안전한 주사 실습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간호학 주사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의 찔림사고와 침습적 주사실습 현황, 주사실습 대상에 따른 불안 및 침습적 주사실습 경험을 파악하여 학생들에게 안전하고 표준화된 기본간호학 주사실습 교육과정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찔림사고가 발생한 상황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0% 이었다(Table 2). 찔림사고가 발생한 상황은 ‘투약물품 정리 시’ (52.0%), ‘바이알의 뚜껑이나 앰플 개봉 시’(34.0%), ‘주사 바늘 제거 시’(11.0%) ‘주사바늘 삽입 시’(10.0%) 순이었다. 찔림사고를 경험한 100명 중에 부작용으로 병원을 방문한 학생은 2명이었고, 치료유형은 ‘문진’, ‘문진과 약물투약’이었다.
외국의 침습적인 주사실습은 어떻게 이뤄진다고 보고되는가? 반면에 인체에 침습적인 주사실습은 실제적인 감각을 익힐 수 있으나 숙련도가 낮은 간호대학생이 부작용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5]. 국외 간호대학에서는 실험실 주사실습을 모형으로 제한하거나[7], 모형 연습 후 동의서를 작성한 학생만 인체 주사실습을 수행하고 있다[8].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임상실습 중인 간호 대학생의 침습적 주사실습에 대한 보고가 있을 뿐[9], 기본간호학 실습에서 학생들이 보고한 침습적 주사실습 현황 및 경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기본간호학 주사실습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기본간호학 주사실습에서 모형 등을 활용한 비침습적 주사 실습은 안전하고 반복훈련을 할 수 있으나[6], 인체에 대한 부적응으로 임상 현장에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7]. 반면에 인체에 침습적인 주사실습은 실제적인 감각을 익힐 수 있으나 숙련도가 낮은 간호대학생이 부작용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ng SO, Won JS, Park JH, Lee HS, Park HS, Lim SY, et al. A preliminary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21(4):446-456. https://doi.org/10.7739/jkafn.2014.21.4.446. 

  2. Lee MH. Literature review on teaching methodologies for the basic nursing [master's thesis]. Gimhae: Kaya University; 2015. p. 21. 

  3. International Safety Center. EPINet report for needlestick and sharp object injuries [Internet]. International Safety Center; 2015 [cited 2018 March 14]. Available from: https://internationalsafetycenter.org/wp-content/uploads/2017/06/Official-2015-NeedleSummary.pdf 

  4. Lee JY, Park JS. Predictors associated with occurrence of needlestick injuries in clinical practicu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2017;24(1):84-94. https://doi.org/10.7739/jkafn.2017.24.1.84 

  5. Chaung SK, Choi MJ, Park JH, Kim HJ, Sohng KY. Nursing students' exposure to needle stick and sharp injuries, faculty's stress and necessity of informed consent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2017;24(4):277-285. https://doi.org/10.7739/jkafn.2017.24.4.277 

  6. Han A, Cho DS, Won J. A study on learning experiences and self-confidence of core nursing skills in nursing practicum among final yea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21(2):162-173. https://doi.org/10.7739/jkafn.2014.21.2.162 

  7. Hilton P, Barrett D. An investigation into students' performance of invasive and non-invasive procedures on each other in classroom setting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2009;9(1):45-52. https://doi.org/10.1016/j.nepr.2008.03.005 

  8. Redford DS, Klein T. Informed consent in the nursing skills laboratory: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3;42(3):131-133. https://doi.org/10.3928/0148-4834-20030301-09 

  9. Choi D.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experiences on the essential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2):184-191.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184 

  10. Choi S. Effects of injection practice education methods on anxiety in nursing students.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16;19(1):17-24. 

  11. Kim MY, Park S, Won J.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anxiety during simulation training on personal satisfaction of simulation, self-efficacy, clinical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6;23(4):411-418. https://doi.org/10.7739/jkafn.2016.23.4.411 

  12. Pruss-Ustun A, Rapiti E, Hutin Y. Sharps injuries: global burden of disease from sharps injuries to health-care worker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cited 2018 March 14]. Available from: http://www.who.int/quantifying_ehimpacts/publications/9241562463/en/ 

  13. Spielberger CD. Anxiety: State-trait process. In: Spielberger CD, Sarason IG, editors. Stress and Anxiety. 1. New York: Wiley; 1975. p. 115-143. 

  14. Zhang X, Chen Y, Li Y, Hu J, Zhang C, Li Z, et al. Needlestick and sharps injuries among nursing students in Nanjing, China. Workplace Health & Safety. 2018;66(6):276-284. https://doi.org/10.1177/2165079917732799 

  15. Graneheim UH, Lundman B.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concepts, procedures and measures to achieve trustworthiness. Nurse Education Today. 2004;24(2):105-112. https://doi.org/10.1016/j.nedt.2003.10.001 

  16. Li Y, Scott CS, Li L. Chinese nursing students' HIV/AID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intentions. Applied Nursing Research. 2008;21(3):147-152. https://doi.org/10.1016/j.apnr.2006.10.004 

  17. Trivedi A, Kasar PK, Tiwari R, Verma P, Sharma A. An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me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needle stick injuries among nursing students at a tertiary care hospital, Jabalpur, Madhya Pradesh. National Journal of Community Medicine. 2013;4(1):132-136. 

  18. Park JH, Chon HK, Jeong SH, Hwang JH, Lee CS, Lee HB. Nursing students'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s in clinical practicum.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0;16(1):70-75. 

  19. Kim SS, Shin G, Kim J. Needlestick and sharps injur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1;13(2):174-178. 

  20. Hambridge K, Nichols A, Endacott R. The impact of sharps injuries on student nurses: a systema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16;25(19):1064-1071. https://doi.org/10.12968/bjon.2016.25.19.1064. 

  21. Gillis J. Accidental needlestick injuries: a current issue for workers in the health-care industry and their employers. Leadership in Health Services. 2000;13(1):1-5. https://doi.org/10.1108/13660750010304194. 

  22. Cheung K, Ching SS, Chang KK, Ho SC.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needlestick and sharps injuries among nursing students in Hong Kong.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2;40(10):997-1001. https://doi.org/10.1016/j.ajic.2012.01.023. 

  23. Zungu LI, Sengane ML, Setswe KG.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needle prick injuries (NPI) among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in Gauteng, South Africa. South African Family Practice. 2008;50(5):48-48c. https://doi.org/10.1080/20786204.2008.10873762 

  24. Lukianskyte R, Gataeva J, Radziunaite L. Needle sticks and sharps injuries experienced by staf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and their prev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2;8(1):i1. https://doi.org/10.3396/ijic.v8i1.002.12 

  25. Talas MS. Occupational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s among Turkish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training: frequency of needlestick/sharp injuries and hepatitis B immunisatio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9;18(10):1394-1403.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8.02523.x 

  26. Karadag M. Occupational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s among a group of Turkish nursing and midwifery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se training: frequency of needlestick and sharps injuries.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0;7(2):129-135. https://doi.org/10.1111/j.1742-7924.2010.00148.x 

  27. Blackwell L, Bolding J, Cheely E, Coyle E, McLester J, McNeely E, et al.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with needlestick injuries. Journal of Undergraduate Nursing Scholarship. 2007;9(Fall, 1). 

  28. Yao WX, Wu YL, Yang B, Zhang LY, Yao C, Huang CH, et al. Occupational safety training and education for needlestick injuries among nursing students in China: intervention study. Nurse Education Today. 2013;33(8):834-837. https://doi.org/10.1016/j.nedt.2012.02.004 

  29. Choi JS, Eom MR.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learning blood-borne infection control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of Nursing. 2010;17(2):249-258. 

  30. Kim HY.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intravenous injection practice using low fidelity simulator.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2018;8(4):789-7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