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간호학 주사실습에서 발생한 찔림사고 현황, 교수의 스트레스 및 사전동의서의 필요성
Nursing Students' Exposure to NeedleStick and Sharp Injuries, Faculty's Stress and Necessity of Informed Consent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4 no.4, 2017년, pp.277 - 285  

정승교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  최민정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박진희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김현주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송경애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occurrence of needle stick and sharp injuries(NSI) among students, level of faculty stress, and necessity of informed consent when students practice injection skills in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e (FNP).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 교수를 대상으로 주사실습 교육 중에 경험한 찔림사고 현황, 스트레스 정도와 이유 및 사전동의서의 필요성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의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주사실습 중에 발생할수있는 찔림사고의 현황, 주사실습의 유형과 교수의 스트레스 및 주사실습 전 사전동의서의 필요성을 처음 조사함으로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주사실습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기본간호학 교수가 주사실습을 지도하는 동안 누적된 결과를 자가보고형 설문으로 조사함으로써 회상에 의한 편의 등으로 학생들이 실제로 경험한 찔림사고 발생건수와 대처방법에 대한 정확한 현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 주사실습교육 중에 교수가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찔림사고 발생현황과 주사실습 교육에 대한 교수의 스트레스 및 주사실습에서 사전동의서가 필요한가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전국의 기본간호학 교수 74명을대상으로 기본간호학 주사실습에서 발생한 찔림사고 현황과 원인, 기본간호학 교수의 주사실습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이유 및 주사실습에 관한 사전동의서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기본간호학 주사실습에서 대부분의 교수가 학생 간 침습적 주사실습을하였고, 실습중에 학생들이 찔림 사고에 빈번하게 노출되고 있으며, 투약사고의 위험으로 인하여 지도하는 기본간호학 교수의 스트레스가 많았고, 학생 간 주사실습에서 모형실습 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주사실습 중에 발생한 찔림사고 현황, 교수자의 스트레스 정도 및 사전동의서의 필요성을 조사함으로써 안전한 주사실습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찔림 사고는 혈당측정용 란셋, 채혈 시 주사침, 혈관카테터, Y자 수액세트 연결에 사용되는 주사침, 메스와 유리앰플 등에 의한 비의도적인 피부뚫림 상처로 정의할 수 있다[15]. 본 연구에서는 기본간호학 주사실습에서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바늘과 유리앰플, 바이알 등에 의하여 출혈 여부와 관계없이 피부가 찢어지거나, 긁히거나, 찔리는 상해를 말한다.
  • 의사가 환자에게 검사, 시술 및 치료를 위한 수술을 하기 전에 환자에게 의료행위와 그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결과에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는 자율적으로 의료행위에 동의하는 것을 의미한다[17]. 본 연구에서는 기본간호학실습 중 학생 간 주사 실습을 하기 전에 주사방법에 따른 위험을 설명하고 학생에게 동의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간호학 주사실습 교육 중에 발생한 찔림사고 현황, 교수의 스트레스 정도 및 서면동의서의 필요성을 파악하여 교수와 학생 모두에게 안전하고 표준화된 기본간호학 주사실습 교육과정을 확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간호교육의 목적은 사회가 요구하는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량을 갖출수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위해 교과과정은 이론교육 못지않게 실습교육이 많은부분을 차지한다. 이 중 기본간호학 실습은 학생들이 간호학과 관련하여 처음접하는 전공교내실습으로 임상실습을 나가기 전에 이론을 바탕으로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지식, 태도 및 술기능력을 습득하도록 하는 교육으로, 최근에는 실습에 전통적인 시범교육 이외에도웹기반, 표준화환자및 high-fidelity 모형을 이용한 실습을 하고 있다[1].
전공교내실습 중 주사실습에서 안전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이유는? 기본간호학 실습교육 내용 중 투약실습은 안전한 약물투여를위한가장 기본적인 실습으로 기본간호학 실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으며[2], 이 중 특히 주사실습은 학생들이 처음으로 주사바늘과 앰플을 다루기 때문에 찔림으로 인한 손상의 위험성이 높은 실습으로 안전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찔림사고는 임상실습 기간 중에도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 학생의 부주의한 성향과 예방행위에 대한 장애성 등의 요인[3]으로 인해 임상실습 중 주사침 자상이나 날카로운 물체에 찔리는 사고를 경험한 국내 간호대학생은 20.
기본간호학 실습의 특징은? 간호교육의 목적은 사회가 요구하는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량을 갖출수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위해 교과과정은 이론교육 못지않게 실습교육이 많은부분을 차지한다. 이 중 기본간호학 실습은 학생들이 간호학과 관련하여 처음접하는 전공교내실습으로 임상실습을 나가기 전에 이론을 바탕으로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지식, 태도 및 술기능력을 습득하도록 하는 교육으로, 최근에는 실습에 전통적인 시범교육 이외에도웹기반, 표준화환자및 high-fidelity 모형을 이용한 실습을 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cNett S. Teaching nursing psychomotor skills in a fundamentals laboratory: A literature review.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012;33(5):328-333. 

  2. Kim K, Chang SO, Kang HS, Kim KS, Kim JI, Kim H, et al. Content and educational needs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1;18(4):506-519. 

  3. Lee JY, Park JS. Predictors associated with occurrence of needlestick injuries in clinical practicu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7;24(1):84-94. https://doi.org/10.7739/jkafn.2017.24.1.84 

  4. Kim SS, Shin G, Kim J. Needlestick and sharps injur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1;13(2):174-178. 

  5. Park JH, Chon HK, Jeong SH, Hwang JH, Lee CS, Lee HB. Nursing students'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s in clinical practicum.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0;16(1):70-75. 

  6. Hambridge K. Needlestick and sharps injuries in the nursing student population. Nursing Standard. 2011;25(27):38-45. https://doi.org/10.7748/ns2011.03.25.27.38.c8389 

  7. Cheung K, Ching SS, Chang KK, Ho SC.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needlestick and sharps injuries among nursing students in Hong Kong.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2;40(10):997-1001. https://doi.org/10.1016/j.ajic.2012.01.023 

  8. Ozer JC, Bektas HA. Needlestick injuries during education period in nursing students in Turkey.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012;46:3798-3801. https://doi.org/10.1016/j.sbspro.2012.06.149 

  9. Jung JS.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of needlestick injury surveillance system for healthcare personnel. Inche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12. Report No.: 2012-1163. 

  10. Choi S. Effects of injection practice education methods on anxiety in nursing students.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2016;19(1):17-24. 

  11. Chang SO, Won JS, Park JH, Lee HS, Park HS, Lim SY, et al. A preliminary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21(4):446-456. https://doi.org/10.7739/jkafn.2014.21.4.446 

  12. Dalla-Vorgia P, Lascaratos J, Skiadas P, Garanis-Papadatos T. Is consent in medicine a concept only of modern times? Journal of Medical Ethics. 2001;27(1):59-61. https://doi.org/10.1136/jme.27.1.59 

  13. Park SN, Lee EY, Kim KM, Han SJ. Knowledge, compliance and levels of risk factor recognition for needlestick injuries in stud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5:12(3):337-346. 

  14. Abd El-Hay SA. Prevention of needle stick and sharp injuries during clinical training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 IOSR Journal of Nursing and Health Science. 2015;4(4):19-32. 

  15. Hashmi A, Al Reesh SA, Indah L. Prevalence of needle-stick and sharps injuries among healthcare workers, Najran, Saudi Arabia. Epidemiology. 2012;2(2):117. https://doi.org/10.4172/2161-1165.1000117 

  16.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What is stress?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2005 [cited 2017 January 16]. Available from: http://www.stressfree.or.kr/board/download.php?codehealth&comm&num72&file_num3 

  17. Jeoung YO, Yang TK, Bak YI, Lim IS, Sim KB, et al. An ideal model of informed consent communi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14;26(1):9-17. https://doi.org/10.3946/kjme.2014.26.1.9 

  18. Choi JS, Kim KS.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on blood-borne infection control fo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2):298-309. https://doi.org/10.4040/jkan.2009.39.2.298 

  19.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assessment standards for education of Korea (the course of the nursing bachelor's degree).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4. p. 42-52. 

  20. Balouchi A, Shahdadi H, Ahmadidarrehsima S, Rafiemanesh H. The frequency, causes and prevention of needlestick injuries in nurses of Kerman: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Clinical and Diagnostic Research. 2015;9(12):13-15. https://doi.org/10.7860/JCDR/2015/16729.6965 

  21. Smith DR, Leggat PA. Needlestick and sharps injurie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1(5):449-45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526.x 

  22. Tarigan LH, Cifuentes M, Quinn M, Kriebel D. Prevention of needle-stick injuries in healthcare facilities: A meta-analysis.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015;36(7):823-829. https://doi.org//10.1017/ice.2015.50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Internet]. Sejong: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cited 2017 June 20]. Available from: http://kosis.kr/eng/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ETITLE&parentIdD#SubCont 

  24. Lee CS, Hwang JH, Seon SY, Jung MH, Park JH, Lee HB.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s for medical students during clerkship.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8;74(5):500-505. 

  25. Park JH, Shon JA. Seroprevalence of anti-hepatitis B virus, antihepatitis A virus, and anti-varicella zoster virus antibodies in nursing students from 2009 to 2013.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16;21(1):31-36. https://doi.org/10.14192/kjnic.2016.21.1.31 

  26. Chunharas A, Hetrakul P, Boonyobol R, Udomkitti T, Tassanapitikul T, Wattanasirichaigoon D. Medical students themselves as surrogate patients increased satisfaction, confidence, and performance in practicing injection skill. Medical Teacher. 2013;35(4):308-313. https://doi.org/10.3109/0142159X.2012.746453 

  27. Demiray A, Kececi A, Cetinkaya, MY. Students' perceptions of psychomotor skills training: A qualitative study. International Archives of Nursing and Health Care. 2016;2(1):032. https://doi.org/10.23937/2469-5823/1510032 

  28. Park HS, Chaung SK, Yang YO, Yang J, Kim MS, Shin YS, et al. Recognition of accreditation for nursing educati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hange teaching area for faculty in fundamentals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7;24(2):157-166. https://doi.org/10.7739/jkafn.2017.24.2.157 

  29. Aldridge MD.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learning psychomotor skills: A literature review. Teaching and Learning in Nursing. 2017;12(1):21-27. https://doi.org/10.1016/j.teln.2016.09.002 

  30. An MS, Min HS. Comparison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informed consent among physicians, nurses and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8;14(2):59-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