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들의 신체활동 현황과 과제
Status of and Challenges for Physical Activity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8 no.5, 2011년, pp.51 - 60  

김정민 (국방부 보건정책과) ,  고광욱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윤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신용현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article intends to describe the status of and challenges for physical activity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National level secondary data and related articles were reviewed including KNHANES(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Online Youth Health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0) 개인 맞춤형 건강행태변화 프로그램의 운영 그리고 전반적 분위기 조성을 위한 캠페인 정보 접근법은 필요한 요구도 조사를 거쳐 적절한 보건프로그램의 개발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대학캠퍼스가 지닌 교육적 지닌 기능을 생각할 때 청년기에 신체활동을 생활화 할 수 있는 운동시설, 자전거 주차시설, 샤워시설, 보행로의 조성 등을 비롯한 다양한 시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고 구미선진국의 스포츠의 생활화 운동도 체육 관련대학이 있는 곳 뿐 아니라 모든 대학에서도 교과과정의 개편을 통해 일상화하고 대학축제와 같은 이벤트와 연계한 총체적 캠페인도 바람직한 대안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특히 개인맞춤형 건강행태변화 프로그램은 기존의 대학보건실을 활용하여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운동 동아리의 지원들은 학교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가설 설정

  • 연령별 신체활동 실천율의 시계열적 추이파악을 위해서는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의 주3일 이상 격렬한 신체 활동 실천율에 관한 결과를 재구성하여 중학교 1학년 때부터 고등학교 3학년을 거쳐 대학생이 될 때까지의 연령별 신체활동 실천율의 차이를 남․녀 간 차이와 함께 비교하고 검토하였다[Figure 2]. 이때 청소년의 주3회 이상의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은 대학생의 주 3-4회 이상의 규칙적 운동실천율과 유사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남녀 청소년의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 격차는 2005년 16.
  • 이 때 국민 건강영양조사 심층 분석 자료에서와 같이 세 가지 신체활동을 따로 설문한 경우에는 강도별 신체활동 수준을 모두 참조하였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비교방법을 결과에 기술 하였다. 청소년의 주3회 이상의 격렬한 활동 실천율은 대학생의 주 3-4회 이상의 규칙적 운동실천율과 유사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신체활동의 용어의 정의는 세계보건기구의 국제기준에 따랐다(WHO, 20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활동부족은 한국인의 4번째 건강결정요인인데, 신체활동부족으로 인하여 겪을 수 있는 주요 질병별 인구집단기여위험도는 어떻게 되는가? 75%이고, 뇌졸중, 심혈관질환, 당뇨병, 고혈압, 대장암, 우울증, 유방암, 골다 공증 등으로 인한 질병비용은 약 1조 2,213억 원이라고 보고되었다(Jung, 2006). 신체활동부족의 주요 질병별 인구집단기여위험도는 관상동맥질환의 39.5%, 골다공증의 30.3%, 뇌졸중, 고혈압, 제2형 당뇨, 결장암의 22.5%, 유방암의 12.7% 등에 이른다고 하며 신체활동부족을 10% 줄일 때 1조 1,160여억 원의 비용이 감소된다고 하였다(Lee, 2004).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수년간 한국인의 걷기 실천율은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으며(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MHW & KCDC], 2009) 주로 앉아서 생활하는 인구인 좌업생활자도 증가추세에 있다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MHW & KIHASA], 2001).
신체활동은 무엇을 통칭하는가? 골격근의 에너지 소비를 통한 모든 신체의 움직임을 통칭하는 ‘신체활동’은 건강이나 체력향상을 위해 반복적, 구조적, 조직적으로 행하는 여가시간의 신체활동인 ‘운동’이나 경쟁의 개념이 가미된 스포츠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Bouchard, Blair, & Haskell, 2006). 신체활동부족은 한국인의 4번째 건강결정요인으로 그 기여도는 3.
신체활동부족으로 겪을 수 있는 질병과 그로 인한 질병 비용은 어느 정도인가? 신체활동부족은 한국인의 4번째 건강결정요인으로 그 기여도는 3.75%이고, 뇌졸중, 심혈관질환, 당뇨병, 고혈압, 대장암, 우울증, 유방암, 골다 공증 등으로 인한 질병비용은 약 1조 2,213억 원이라고 보고되었다(Jung, 2006). 신체활동부족의 주요 질병별 인구집단기여위험도는 관상동맥질환의 3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A european framework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Copenhagen: World Health Organization. 

  2.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ACHA). (2010). Retrieved from http://www.acha.org 

  3.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 National College Health Assessment (ACHA-NCHA). (2010). Retrieved from http://www.acha-ncha.org 

  4. At least five a week: Evidence on the impact of physical activity and its relationship to health. (2004). London: Department of Health, Physical Activity, Health Improvement and Prevention. 

  5. Bouchard, C., Blair, S. N., & Haskell, W. L. (2006).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Champaign, IL: Human Kinetics. 

  6. Busan citizens health indicators survey. (2004). Busan: Busan Metropolitan City. 

  7. Chang, O. J., & Chaung, S. K. (2000). Eating habits and workout patterns of som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4(2), 415-430. 

  8. Community Health Research Group. (2005). Community Preventive Service for Health Promotion. Seoul: Gyechukmunhwasa. 

  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Copenhagen: World Health Organization. 

  10. Hwang, H. H., & Lee, H. M. (2007). A study on lifestyles, dietary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residence type.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12(4), 381-395. 

  11. Jackson, E. M. & Howton, A. (2008). Difference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7(2), 159-164. 

  12. Kim, B. R. (2006).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health-related life style and health condition of college students in chunche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5(9), 1215-1223. 

  13. Kim, I. S., Yu, H. H., & Han, H. S. (2002). Effects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dietary habits and life style on the health of college students in the chungnam area.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7(1), 45-57. 

  14. Jung, Y. H. (2006). Koreans factor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health.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5. Kim, Y. B. (2010). An analysis on the change of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and influencing factors among american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4), 153-163. 

  16. Kim, Y. B., Park, C. M., Kim, H. H., & Han, C. H. (2010). Health behavior and utilization of university health clinic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11(1), 79-91. 

  17. Kim. W. K., Park, M. S., & Na, B. S. (2011). Effect of physical activity habit and dietary habit on obesity of mal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0(3), 1655-1663. 

  18. Koh, K. W., Lee, M. S., Kim, D. K., Park, E. J., Kim, H. S, ... Park, K. U. (2007). Korean strategies for promotion of health enhancing physical activity.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 Koh, K. W. (2011). Physical activity policy for medical profession. Seoul: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 Lee, T. J. (2004). Economic analysis of health services. Seoul: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0). Online survey of adolescent health behavior. Retrieved from http://yhs.cdc.go.kr 

  22.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 Seoul: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3.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9). Seoul: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4. Park, C. M., & Kim, Y. B. (2010). Health promotion services and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university health clinic,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2), 151-163. 

  25. Results of the 3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 Seoul: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6. Ryu, C. I., Hwang, I. Y., Son, H. S., Koh, K. W., & Lee, J. H. (2005). Health indicators. Ulsan: Ulsan Survey Report. 

  27. Schoppe, S., Bauman, A., & Bull, F. (2004). International review of national physical activity policy. Sydney: NSW Centre for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28. Survey of sports 7330 campaign. (2007). Seoul: The National Council of Sport for All.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The 3rd Health Plan(2011-2020).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0. Uoo, S. H. & Park, K. I. (2007). 88 hundred thousand won generation. Seoul: Redian. 

  3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Geneva: The Stationery Office. 

  3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Healthy settings. Retrieved from http://www.who.int/healthy_ settings/en/ 

  33. Yang, J. S. & Yoo, S. H. (2010). The study of physical activity preference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12(1), 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