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신체활동량, 건강상태 및 삶의 질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Activity,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of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7 no.1, 2013년, pp.153 - 165  

박지연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  김나현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activity,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QOL)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based on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model. This study sample consisted of 183 K University students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신체활동 측정 설문지인 IPAQ는 국제적으로 타당도가 검증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평상시 신체활동을 격렬한, 중강도, 걷기의 단순화된 표현으로 묻고 있어 대상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오차가 다소 있을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운동의 유무가 아닌 평상시 신체활동량을 조사하여 이를 건강상태 및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탐색함으로써 대학생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신체활동량, 건강상태 및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신체활동량, 건강상태 및 삶의 질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대학생의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신체활동량, 건강상태,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신체활동량 증진을 통해 대학생 건강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것으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특히 건강한 생활습관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신체활동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해 신체활동량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에 앞서 대학생의 신체활동량의 수준을 측정하고 이러한 신체활동량이 건강관련 변수들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신체활동량을 측정하고 건강 상태 및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생 건강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절한 신체활동이 건강한 생활방식을 위해 필수적인 이유는? , 2006). 이처럼 적절한 신체활동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 상태에 도움을 주고 결과적으로 한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Kim, 2010) 건강한 생활방식을 위해 필수적이다. 나아가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발생빈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다양한 대사성 질환 및 암 예방을 위해서 보건의료 전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건강증진 방안이기도 하다.
신체활동이 미치는 영향은?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전 세계 인구의 60% 이상이 최소한의 권장 활동량인 하루 30분, 중강도의 신체활동도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WHO, 2010). 신체활동은 사망률뿐 아니라 심혈관질환이나 당뇨병과 같은 생활 습관병의 위험을 감소시키며(Yun, Jeon, & Lee, 2002) 유방암과 대장암 등의 암의 발생 위험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ark & Kim, 2011). 또한 적절한 신체활동은 여러 가지 중독 행위, 우울증 및 불안 감소 등과 같은 정신건강의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고(Paluska & Schwenk, 2000) 삶에 활력을 주며 정신적인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Brach et al., 2003).
대학생의 시기가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이유는? 한편, 대학생의 시기는 과도한 입시경쟁에서 벗어나 생활범위가 넓어지고, 음주 및 흡연의 증가, 취업 스트레스 등 다양한 변화가 생기게 된다. 이 시기는 생애주기로 볼 때 직업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성인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활방식이 확고하게 형성되지 않아 변화를 위한 교정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이후의 바람직한 건강습관을 형성하는 시기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Kim, Koh, Kim, & Shin, 2011). 이러한 대학생의 신체활동 양상을 포함한 생활습관은 졸업 이후 생활습관의 강력한 예측인자 중 하나로서(Jackson & Howton, 2008) 이 시기에 적절한 신체활동량을 유지하고 습관화하는 것은 이후의 건강한 삶을 좌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cree, L. S., Longfors, L., Fjeldstad, A. S., Fjeldstad, C., Schank, B., & Nickel, K. (2006). Physical activity i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Health Quality of Life Outcomes, 4(37), 1-6. 

  2. Brach, J. S., Fitsgeral, S., Newman, A. B., Kelsey, S., Kuller, L., VanSwearingen, J. M., & Kriska, A. M. (2003). Physical activity and functional status in community-dwelling, older women: A 14-years prospective study.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3(21), 2565-2571. 

  3. Brodman, K., Erdmann, A. J., Lorge, I. Gershenson, C. P., & Wolff, H. G. (1945). The cornell medical index-health questionnaire. Journal of Clinical Psycology, 8(2), 119-124. 

  4. Brown, D. W., Brown, D. R., Heath, G. W., Balluz, L., Giles, W. H., & Ford, E. S. (2004). Associations between physical activity dos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65(5), 890-896. 

  5. Cho, H. S., & Kim, N. H. (2010). Physical activity and fatigue in patients with cancer. The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0(1), 30-37. 

  6. Craig, C. L., Marshall, A. L., Bauman, A. E., Booth, M. L., Ainsworth, B. E., & Pratt, M. (2003).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12-country reliability and validit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5(8), 1381-1395. 

  7. Fabricio, C., Gustavo, L., Suelen, M. G., Thiago, K., Guanis, B., & Neiva, L.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activity in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physical education course. Fitness & Performance, 6(6), 357-361. 

  8. Jackson, E. M., & Howton, A. (2008). Increasing walking in college students using a pedometer interven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7(2), 159-164. 

  9. Jang, S. H., Yang, S. J., & Kim, S. J. (2012).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 belief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6(2), 227-238. 

  10. Kim, J. M., Koh, K. W., Kim, Y. J., & Shin, Y. H. (2011). Status of and challenges for physical activity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5), 51-60. 

  11. Kim, N. E. (2011). The relationships among stress, reliance, and quality of life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3(4), 1-19. 

  12. Kim, S. C. (2007).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level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cheon University, Incheon. 

  13. Kim, S. L. (2012).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of elderly participation physical activit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1(1), 333-344. 

  14. Kim, S. Y. (1999). The effects of a cardiac rehabilitation educational program on anxiety, health compliance and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 with cardiac valve replacement.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2), 153-162. 

  15. Kim, S. Y. (2010). The Relation of physical activity by the IPAQ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6. Kim. W. S. (2009). Health-enhancing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Korean: the status and directions for revision. Journal of Korean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2), 103-117. 

  17. Kim, Y. C. (2009). The influences of college students'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levels on self-efficiency and life satisfaction using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8. Min, S. K., Lee, C. I., Kim, K. I., Seo, S. Y., & Kim, D. G.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3), 571-579. 

  19. Mun, Y. H. (2007). The stat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1(1), 75-84. 

  20. Myung, C. O., Park, Y. S., Nam, H. W., & Lee, K. W. (2007). A study on college students' awareness and life pattern on well-being. Journal of East Asian Science Dietary Life, 17(1), 27-42. 

  21. Nam, H. C. (1965). A study on the cornell medical index.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2. Ock, C. M.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practices and health statu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Paluska, S. A., & Schwenk, T. L. (2000).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current concepts. Sports Medicine, 29(3), 167-180. 

  24. Park, J. H., Kim, B. S., Choi, H. R., Won, C. W., & Choi, C. Y. (2001).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the amount of maximal oxygen uptake of the freshmen of a university. Journal of Korean Academic Family Medicine, 22(11), 1637-1645. 

  25. Park, J. Y., & Kim, N. H.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the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3), 245-252. 

  26. Song, Y. S. (2012). Stressful Life Events and Quality of Lif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18(1), 71-80.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Copenhagen: Author. 

  28. Yoon, M. H. (2010). Subjectiv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who visited dental clinic.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12(4), 327-337. 

  29. You, J. S., Chin, J. H., Kim, M. J., & Chang, K. J. (2008). College students dietary behavior, health-related lifestyle and nutrient intake status by physical activity levels using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in Incheon area.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1(8), 818-831. 

  30. Yun, S. N., Jeon, T. W., & Lee, H. J. (2002). A survey of physical activities and exercise programs of the public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16(1), 143-1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