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여성의 산후우울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Postpartum Depression of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Korean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7 no.1, 2011년, pp.39 - 51  

최은영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희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  최정숙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  최선하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postpartum depression of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and Korean women,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postpartum depression. Methods: Subjects of one hundred and thirty-five women who had delivered a baby within 3 years were part of the study. Of th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G도에 소재하는 4개 시와 2개 군에 거주하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여성 중 출산 후 36개월 이내에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Cox & Sagovsky (1987)가 개발한 EPDS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를 Kim(2006)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산후우울을 조사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과 한국결혼여성을 대상으로 산후우울 정도를 비교하고 인구학적 특성, 산과적 특성, 문화적 특성과 산후우울의 관련 정도를 분석하고, 이 두 집단의 산후우울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강원 지역의 국제결혼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여성의 산후우울과 영향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산후우울 위험성이 있는 여성을 조기 발견하고 중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여성의 산후우울과 관련된 인구학적 특성, 산과적 특성,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여, 산후우울 위험이 있는 여성의 조기 발견하고, 중재를 통합적으로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여성의 산후우울을 비교조사하고 산후우울 관련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베트남여성들과 한국여성들의 인구학적 특성과 산과적 특성 대부분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후우울이란? 산후우울은 출산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정서장애이며, 가벼운 산후우울(postpartum blues)에서 산후우울증(postpartum depression), 산후정신병(Postpartum psychosis), 그리고 정신분열증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또 산후우울증은 대개 발병 3~6개월 후면 호전되나 약 30.
최근 국제결혼이 증가하는 이유는? Cho 등(2006)은 최근 국제결혼이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한다. 가장 중요한 요인은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경제적 동기이다. 한국의 경제발전으로 다른 아시아 국가와 소득격차가 확대되면서, 그 국가의 여성들이 본국 가족을 돕고 자신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 하나의 방식으로 한국 남성과의 결혼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요인은 한국의 인구학적, 사회문화적 변화인데, 전체 인구의 고학력화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 증대 등으로 인해 만혼 경향이 나타났고, 특히 농촌에 거주하는 중하위 계층의 남성이 결혼적령기의 여성을 구하기 어려워졌다는 점이다. 또 한국의 중매결혼문화, 결혼 중개업소의 존재 등은 아시아계 여성과의 국제결혼을 어렵지 않게 만들었다. 그리고 이러한 요인들은 한국에서 한국남성과 외국인여성의 결혼이 2009년 현재, 전체 국제결혼의 75%를 차지(Statistics Korea, 2010)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국 산모의 산후우울 발생 시기에 따른 유병률은? 한국 산모의 산후우울 발생 시기에 따른 유병률을 보면, 산후 2~8주에서 8.4% (Jung & Kim, 2005), 6~10주에서 18.4% (Kim, 2006), 6개월은 14.3% (Yeo, 2006), 12개월은 12.4% (Park, Shin, Ryu, Cheon, & Moon, 2004), 24개월은 21.2% (Ahn & Kim, 2003) 등으로 보고되고 있다. Beck(2002)의 조사에서는 약 13%의 초산모에게서 발병하고, 그 중 25~50%의 산모들은 6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Y.-M., & Kim, J.-H. (2003). Comparison of maternal selfesteem, postpartal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in mothers of normal and of low birth-weight Infa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5), 580-590. 

  2. Beck, C. T. (2001).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An update. Nursing Research, 50 (5), 275-283. 

  3. Beck, C. T. (2002). Theoretical perspectives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their treatment implications. MCN.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27 (5), 282-287. 

  4. Cox, J. L., Holden, J., & Sagovsky, R. (1987).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0, 782-6. 

  5. Cho, E. J. (2009). Subjective sleep quality in depressed and non-depressed mothers during the late postpartum perio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2), 108-120. 

  6. Cho, O. L., Park, J. M., Seol, D. H., Shin, K. Y., Lee, S. H., Lee, E. J. et al. (2006). A study of social policies for multicultural and open society. Seoul: Presidential Committee on Social Inclusion. 

  7. Choi, E. S., & Oh, J. A. (2000).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postpartum depression in postpartum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6 (3), 358-371. 

  8. Horowitz, J. A., Murphy, C. A., Gregory, K. E., & Wojcik, J. (2010). A community-based screening initiative to identify mothers at risk for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Dec 1. doi: 10. 1111/j.1552-6909.2010.01199.x. 

  9. Jeong, G. H., Koh, H. J., Kim, K. S., Kim, S. H., Kim, J. H., Park, H. S., et al. (2009). A survey on health management of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ostpartum of im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famil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4), 261-269. 

  10. Jung, M. H., & Kim, J. I.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renatal emotional status, preparation for delivery, postpartum social support and postpartum blu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 (1), 38-45. 

  11. Halbreich, U., & Karkun, S. (2006). Cross-cultural and social diversity of prevalence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91 , 97-111. 

  12. Kim, E. S. (2010). A study on analysis of the actual status on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ggestions of the policy in Gangwon-do,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Chuncheon 

  13. Kim, J. I. (2006). A validation study on the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 (3), 204-209. 

  14. Kim, J.-W., Kim, J.-H., Eun, D.-S., & Kim, H. (2005). Psychosocial and obstetric predictors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at postpartum 4 week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8 (4), 901-909. 

  15. Kim, J. Y. (2003). Psycho-social predicting factors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6. Kim, H. J. (2007). Cross-border marriages between Vietnamese women and Korean men: The reality and problems (A view from Vietnam). East Asian Studies, 52 (1), 219-253. 

  17. Kim, H. J. (2008). A study of spousal support, the demand for health educ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 (1), 5-11. 

  18. Kim, L. H., Kim, S. Y., & Kwon, B. H. (2000). A clinical study on the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11 (2), 123-130. 

  19. Kim, M. W., Yang, H. S., & Kim, J. R. (2009). A study on agreements among screening tests and related factors with postpartum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2 (11), 1133-1143. 

  20. Kim, Y.-K., Hur, J.-W., Kim, K.-H., Oh, K.-S., & Shin, Y.-C. (2008). Clinical application of Korean version of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7 (1), 36-44. 

  21. Lee, D., Yip, A., Chan, S., Tsui, M., & Chung, T. (2003). Postdelivery screening for postpartum depression. Psychosomatic Medicine, 65, 357-361. 

  22. Lee, S. O., Yeo, J. H., Ahn, S. H., Lee, H. S., Yang, H. J., & Han, M. J. (2010). Postpartum depressive score and related factors pre- and post deliver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 (1), 29-36. 

  23. Lim, S. J., Oh, S. S., & Han, G. S. (2009). Predictors of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foreign wives through marriage migration.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4 (4), 515-528. 

  24. Park, Y.-J., Shin, H.-J., Ryu, H., Cheon, S.-H., & Moon, S.-H. (2004). The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5), 722-728. 

  25. Polit, D. F., & Beck, C. T. (2008). Nursing research: Generating and assessing evidence for nursing practice.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6. Rho, K. H. (2009).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pression of Vietnamese immigrant women: Focusing on metropolitan area resi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7. Statistics Korea (2010). Marriage statistics in 2010. Retrieved July 10, 2010, from http://kostat.go.kr 

  28. Teissedre, F., & Chabrol, H. (2004). Detecting women at risk for postnatal depression using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ve Scale at 2 to 3 days postpartum.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49 (1), 51-54. 

  29. Youn, H., & Lee, Y.-H. (2010). Mental health of vietnamese migrant wives married to Koreans: Focus on urban-rural differenc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9 (3), 659-684. 

  30. Yeo, J. H. (2006).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predictors at six months postpartum.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 (4), 355-3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