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남아시아 결혼이주여성 임부의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산전우울과의 관계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Antepartum Depression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Southeast Asia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6 no.2, 2015년, pp.108 - 118  

신현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신영희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antepartum depression among Southeast Asian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 men. Methods: Ninety-thre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local women's clinic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D City. Th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동남아시아 결혼이주여성 임부의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산전우울 실태와 그 관계를 조사하고 산전 우울 예측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동남아시아 결혼이주여성 임부의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산전우울 실태와 그 관계를 조사하고 산전우울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동남아시아 결혼이주여성 임부의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산전우울 실태와 그 관계를 조사하고 산전우울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남아시아 결혼이주여성 임부의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산전우울 실태와 그 관계를 조사하고 산전우울 예측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동남아시아 결혼이주 여성 임부들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년 동남아시아 결혼이주여성의 수는? 우리나라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13년 현재 동남아시아 결혼이주여성은 55,771명으로 지난 2007년 21,094명에 비해 약 2.6배정도로 증가하였고, 주로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인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1]. 동남아시아 결혼이주여성이 증가하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결혼하지 못하는 남성의 증가와 국제결혼에 대한 개방적 인식 변화 때문으로 보고 있다[2].
동남아시아 결혼이주여성이 증가하는 이유는? 6배정도로 증가하였고, 주로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인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1]. 동남아시아 결혼이주여성이 증가하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결혼하지 못하는 남성의 증가와 국제결혼에 대한 개방적 인식 변화 때문으로 보고 있다[2]. 동남아시아 결혼이주여성들은 중국인이주자들에 비해 수적으로는 많지 않지만 최근에 이르러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들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결혼이주여성들은 어떠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가? 그리고 결혼이주여성들 대부분은 결혼이주 후 첫 번째 임신까지 걸린 기간이 1년 미만이었다[3]. 이 여성들은 아직 한국문화에 적응하기도 전에 임신이라는 인생의 중대 사건을 겪음으로써 한국사회에 적응하지 못한 ‘주변인’으로서 외로움과 어려움에 더하여 임신으로 인한 신체, 정서, 사회 및 역할 변화까지 겪으면서 설상가상의 스트레스를 겪게 된다. 더욱이 임신과 출산에 대한 지식부족, 가족들의 무관심과 지지부족, 경제적 어려움, 고국에 남아있는 가족들에 대한 그리움 등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은 한국여성들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한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tatistics Korea. Statistics on foreign residents by local governments: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F)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3 [cited 2014 March 22].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0&tblIdTX_11025_A010&vw_cdMT_ZTITLE&list_id110_11025_005&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2. Kim YK.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a multicultural era and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9;151:29-52. 

  3. Kim HR. Maternal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marriagebased women immigrants in Korea and policy direc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9;155:50-64. 

  4. Jeong GH, Koh HJ, Kim KS, Kim SH, Kim JH, Park HS, et al. A survey on health management of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ostpartum of im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famil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 15(4):261-269. http://dx.doi.org/10.4069/kjwhn.2009.15.4.261 

  5. Park CS, Bae NR. The study of how to integrate multi-cultural families with the local community. The Journal of Philippine & Southeast Asian Studies. 2011;14(3):127-149. 

  6. Kwon MK. Antenatal depression and mother-fetal interactio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7;13(4):416-426. 

  7. Kim HW, Jung YY. Effects of antenatal depression and antenatal characteristics of pregnant women on birth outcomes: A prospective cohort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4):477-485. http://dx.doi.org/10.4040/jkan.2012.42.4.477 

  8. Bennett HA, Einarson A, Taddio A, Koren G, Einarson TR. Prevalence of depression during pregnancy: Systematic review.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4;103(4):698-709. 

  9. Miszkurka M, Goulet L, Zunzunegui MV. Contributions of immigration to depressive symptoms among pregnant women in Canada.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0;101(5): 358-364. 

  10. Miszkurka M, Goulet L, Zunzunegui MV. Antenatal depressive symptoms among Canadian-born and immigrant women in Quebec: Differential exposure and vulnerability to contextual risk factor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012;47(10):1639-1648. http://dx.doi.org/10.1007/s00127-011-0469-2 

  11. Bang KS. Impact of maternal depression on their children: A literature review.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2008;11(1):15-24. 

  12. Hollins K. Consequences of antenatal mental health problems for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Current Opinion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7;19(6):568-572. http://dx.doi.org/10.1097/GCO.0b013e3282f1bf28 

  13. Beck CT.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An update. Nursing Research. 2001;50(5):275-285. 

  14. Kwon BS. The effects of Korean ability and self-esteem on acculturative stress of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Focused on Vietnamese, Filipino, and Chinese women in Daegu.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09;61(2):5-32. 

  15. Park EM, Yi KS. Multicultural society and adoption to local society: Case of migrant wome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2009;21(2):407-431. 

  16. Shin YH. Life stress, distress symptoms, and social supports among Korean immigrants who own small retail businesses [dissertation]. [Baltimore]: University of Maryland; 1992. 167 p. 

  17. Lee MK. A structural model for depression during pregnancy [dissertation]. [Daejeon]: Eulji University; 2014. 92 p. 

  18. Cox JL, Holden JM, Sagovsky R.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87;150 (6):782-786. http://dx.doi.org/10.1192/bjp.150.6.782 

  19. Han KW, Kim MJ, Park JM.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004;10(2):201-207. 

  20. Choi SK, Ahn SY, Shin JC, Jang DG. A clinical study of depressive symptoms during pregnancy.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9;52(11):1102-1108. 

  21. Gibson J, McKenzie-McHarg K, Shakespeare J, Price J, Gray R.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validating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in antepartum and postpartum women.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2009;119(5):350-364. http://dx.doi.org/10.1111/j.1600-0447.2009.01363.x 

  22. Perez Ramirez F, Garcia-Garcia I, Peralta-Ramirez MI. The migration process as a stress factor in pregnant immigrant women in Spain.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2013;24(4):348-354. http://dx.doi.org/10.1177/1043659613493328 

  23. Ji EJ, Choi JM, Kim KH, Kwon SJ, Park EJ, Rhee MK. The influence of acculturation stress of immigrant women after international marriage on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communica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2;17(1):243-252. 

  24. Kweon GY, Park KW.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to the mental health of foreign wives.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 2007;14(2):187-219. 

  25. Ahn JH, Cho JH. Psychosocial and cultural predictors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in the Chungcheongnam-do area of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011;32:137-176. 

  26. Kim SO, Lim HS, Jeong GC. Effects of support from spouse and family on the mental health of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 (11):221-235. http://dx.doi.org/10.5392/JKCA.2013.13.11.221 

  27.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2.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3 January. Report No: 11-1383000-000384-12. 

  28. Roh SY, Kim EY.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2;24(4):370-379. http://dx.doi.org/10.7475/kjan.2012.24.4.370 

  29. Ha JY, Kim YJ.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4):254-264. http://dx.doi.org/10.4069/kjwhn.2013.19.4.2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