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송잎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 및 파골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ne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Proliferation of Osteoclastic RAW 264.7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4, 2011년, pp.525 - 530  

전민희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미라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용수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현정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성구 ((주)바이오포트코리아) ,  이상현 (신라대학교 생명공학과) ,  김미향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시아 지역 널리 자생하고 있는 소나무는 항암, 조골세포콜라겐 합성 등 다양한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으나, 항산화 활성에 따른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송잎 추출물별 항산화 활성과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적송잎 추출물이 파골세포의 증식과 TRAP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적송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열수에탄올 추출물이 140.54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은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 열수헥산 추출물, 헥산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SOD 유사 활성을 검색한 결과, 열수, 에탄올 및 열수에탄올 추출물이 proanthocyanidin의 47.31%보다 높은 SOD 유사활성을 보였다. MTT assay에 의한 파골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 경우 $1{\mu}g$/mL의 농도에서 54.04%로 가장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적송잎 헥산 추출물 또한 70% 이하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각 추출물 간의 생존 비율에 차이는 있으나 모든 적송잎 추출물에 있어 파골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적송잎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RAP staining 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대조군보다 낮은 TRAP 활성이 나타났다. 특히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1{\mu}g$/mL의 낮은 농도에서 각각 67.8 및 66.3%로 파골세포 분화를 감소시켰으나, 헥산 추출물은 약 80%의 분화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100{\mu}g$/mL의 고농도 첨가군에서는 오히려 에탄올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감소율이 낮게 나타나, 저농도에서의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적송잎 추출물이 파골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억제하여 골흡수 억제에 효과를 준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구체적인 기작 연구와 in vivo 연구가 병행된다면 노화 및 골다공증 예방과 관련된 기능성 천연소재로 개발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ne needles have long been used as a traditional health-promoting medicinal food in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proliferation of osteoclastic RAW 264.7 cells. Pine needle extracts were examined using hot wa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시아 지역 널리 자생하고 있는 소나무는 항암, 조골세포의 콜라겐 합성 등 다양한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으나, 항산화 활성에 따른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송잎 추출물별 항산화 활성과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적송잎 추출물이 파골세포의 증식과 TRAP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적송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열수에탄올 추출물이 140.
  • 하지만 항산화 활성에 따른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송잎의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기 위해 적송잎 추출물의 polyphenol성 물질 함량과 in vitro에서 용매별 분획물의 항산화 효능을 검토하였다. 또한 RAW 26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산화 물질이란? 항산화 물질은 세포내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물질로, 효소계로는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peroxidase(GSH-Px), catalase 등이 있다(4). 이러한 항산화 효소는 체내에서 발생하는 산화적 손상을 완벽히 복구하고 예방할 수 없기 때문에(5) 식품을 통해 섭취되는 항산화 물질들은 체내 산화적 손상을 복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6,7).
ROS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고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화, 암, 뇌혈관질환, 심혈관계 질환 등이 발생되는데, 이들 질환은 free radical의 생성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식품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1). 체내에서 생성된 활성 산소종(hydrogen peroxide species, ROS)은 산소의 환원 대사산물로서 정상세포 내 대사과정이나 세포질 내 효소 작용에 의해 내부로부터 형성되거나 다양한 외부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들은 체내의 지질, 단백질 등을 손상시켜 세포의 기능을 억제시킨다(2,3). 뿐만 아니라 ROS 발생이 세포의 항산화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산화적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항상성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항산화 효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항산화 물질은 세포내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물질로, 효소계로는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peroxidase(GSH-Px), catalase 등이 있다(4). 이러한 항산화 효소는 체내에서 발생하는 산화적 손상을 완벽히 복구하고 예방할 수 없기 때문에(5) 식품을 통해 섭취되는 항산화 물질들은 체내 산화적 손상을 복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Masadi H, Sakaki S, Atsumi T, Sakurai H. 1995. Active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 Biol Pharm Bull 18: 162-166. 

  2. Beckman KB, Ames BN. 1998. The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matures. Physiol Reviews 78: 547-581. 

  3. Halliwell B, Gutteridge JM. 1986. Oxygen free radicals and iron in relation to biology and medicine: some problems and concepts. Arch Biochem Biophys 246: 501-514. 

  4. Jung S, Kim HW, Yoon S. 1999. Analysis of antioxidant nutrients in green yellow vegetable juice. J Food Sci Biotech 31: 880-886. 

  5. Simic MG. 1988. Mechanisms of inhibition of free radical processed in mutagenesis and carcinogenesis. Mutat Res 202: 386-399. 

  6. Ito M, Ohishi K, Yoshida Y, Yokoi W, Sawada H. 2003. Antioxidative effects of lactic and bacteria on the colonic mucosa of iron-overloaded mice. J Agric Food Chem 51: 4456-4460. 

  7. Lin MY, Yen CL. 1999.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Bifidibacterium longum. J Agric Food Chem 47: 3661-3664. 

  8. Ames BN, Shigenaga MK, Hagen TM. 1993.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Matl Acad Sci USA 90: 7915-7922. 

  9.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10. Cort WM. 1984. Antioxidant activity of tocopherols and ascorbyl palmitate and ascorbic acid and their mode of action. J Am Oil Chem Soc 51: 321-325. 

  11. Basu S, Michaelsson K, Olofsson H, Johansson S, Melhus H. 2001. Association between oxidative stress and bone mineral density. Biochem Biophys Res Commun 288: 275-279. 

  12. Maggio D, Barabani M, Pierandrei M, Polidori C, Catani M, Mecocci P, Senin U, Pacifici R, Cherubini A. 2003. Morked decrease in plasma antioxidants in aged osteoporotic women: Results of a cross-sectional study. J Clin Endocrinol Metab 88: 1523-1527. 

  13. Morton D, Barrett-Conner EL, Schneider DL. 2001. Vitamin C supplement us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J Bone Miner Res 16: 135-140. 

  14. Lee JW, Lee IS. 2004. Effects of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s on the activity and differentiation of MC3T3-E1 osteoblastic cell. J Life Science 14: 967-974. 

  15. Lacey DL, Tan HL, Lu J, Kaufman S, Van G, Qiu W, Rattan A, Scully S, Fletcher F, Juan T, Kelley M, Burgess TL, Boyle WJ, Polverino AJ. 2000. Osteopotegerin ligand modulates murine osteoclast survival in vitro and in vivo. J Am Pathol 157: 435-448. 

  16. Kwak HB, Lee SW, Li YJ, Kim YA, Han SY, Jhon GJ, Kim HH, Lee JH. 2004. Inhibit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resorption by a novel lysophosphatidylcholine derivative, SCOH. Biochem Pharmacol 67: 1239-1248. 

  17. Nakagawa H, Wachi M, Woo JT, Kato M, Kasai S, Takahashi F, Lee IS, Nagai K. 2002. Fenton reaction is primarily involved in a mechanism of (-)-epigallocatechin- 3-gallate to induce osteoclastic cell death. Biochem Biophysicol Res Commun 292: 94-101. 

  18. Park GY, Lee HS, Hwang ID, Jung HS. 2006. The functional effects of fermented pine needle extract.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376-383. 

  19. Lee HJ. 2004.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pineneedle distilled water extract. MS thesis. Kagnwon National University, Gangwon, Korea. 

  20. Lee OH, Kim KY, Jang MK, You KH, Kim SG, Kim MH, Lee SH. 2008. Evaluation of proanthocyanidin contents in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of pine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J Life Science 18: 213-219. 

  21. Hsu T, Sheu S, Liaw E, Wang T, Lin C. 2005. Anti-oxidant activity and effect of Pinus morrisonicola Hay. on the survival of leukemia cell line U937. Phytomedicine 12: 663-669. 

  22. Kang SR, Kim YK, Kim SG, Lee SH, Kim MH. 2009. The effect of pine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s on blood flow and serum lipid improvement. J Life Science 19: 508-513. 

  23. Kim EJ, Choi KP, Ham SS, Kang HY. 1998. Inhibitory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s on the chemical induces mutagenic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450-455. 

  24. Lee YH, Choi YS, Lee SY. 1996. The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the extract from Pinus strobes in chickens. J Korean Soc Food Nutr 25: 188-192. 

  25. Choi EJ, Lee C, Rhim TJ, Cha BC, Park HJ. 1997.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extract.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 293-297. 

  26. Chung YJ, Bae MW, Chung MI, Lee JS, Chung MS. 2002. Cytotoxic effect of the distilled pine-needle extracts on several cancer cell line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13. 

  27. Jeon MH, Kim YK, Park YS, Hwang HJ, Kim SG, Lee SH, Choi IS, Kim MH. 2010. Effect of pine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s on synthesis of collagen in osteoblastic MC3T3-E1 cells. J Life Science 20: 607-613. 

  28. Chandler SF, Dodds JH. 1983. The effect of phosphate, nitrogen and sucrose on the production of phenolins and solasidine in callus cultures of Solanum laciniatum. Plant Cell Rep 2: 105-108. 

  29.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30. Choi KH. 2006. The effects of mulberry fruits on the biological activity in ovariectomized rats. MS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Korea. 

  31. Bryan DM, Murnaghan J, Jones KS, Bowley SR. 2000. Iron superoxide dismutase expression in transgenic alfalfa increase winter survival without a detectable increase in photosynthetic oxidative stress tolerance. Plant Physiol 122: 1427-1438. 

  32. Grasbon T, Grasbon-Frodl EM, Juliusson B, Epstein C, Brundin P, Kampik A, Ehinger B. 1999. CuZn superoxide dismutase transgenic retinal transplant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37: 336-341. 

  33. Shin JM, Park CK, Shin EJ, Jo TH, Hwang IK. 2008. Effects of Scutellaria radix extracts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osteoclast form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74-679. 

  34. Suda T, Takahashi N, Udagawa N, Jimi E, Gillespie MT, Martin TJ. 1999. Modulat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by the new members of the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and ligand families. Endocr Rev 20: 345-357. 

  35. Martin PM, Horwitz KB, Ryan KS, Mcguire WL. 1978. Phytoestrogens interaction with estrogen receptors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Endocrinology 103: 1860-1867. 

  36. Le Bail JC, Varnat F, Nicolas JC, Habrioux G. 1998. Estrogenic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by flavonoids. Cancer Lett 130: 209-216. 

  37. Mok SK, Shin HS. 1996. The effects of prostaglandin and dibutyryl cAMP on osteoblastic cell activity and osteoclast generation. J Wonkwang Dental Res Ins 6: 43-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