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미 및 백미의 저장기간에 따른 지방산가 및 향기 패턴 분석 - 연구노트 -
Fat Acidity and Flavor Pattern Analysis of Brown Rice and Milled Rice according to Storage Perio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4, 2011년, pp.613 - 617  

성지혜 (한국식품연구원) ,  김훈 (한국식품연구원) ,  최희돈 (한국식품연구원) ,  김윤숙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현미 및 백미를 이용하여 시료의 저장기간에 따른 향기 패턴의 차이를 알아보고 지방산가와 비교하여 현미 및 쌀의 품질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현미는 $30^{\circ}C$ 항온기에 넣고 30일간 저장하면서 5일 간격으로 각 시료를 채취하였고 백미는 저장기간의 차이를 두기 위해 생산 년도에 따라 시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현미와 백미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지방산가가 크게 증가하여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장기간에 차이를 둔 현미 및 백미의 향기패턴 변화를 SMart Nose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현미와 백미사이에 휘발성 향기성분의 감응도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다양한 변수들의 판별력에 가장 차별성을 높게 표현하는 18종류(41~81 amu)의 질량을 선택하여 주성분 분석 결과 현미의 PCA1 및 PCA2 값 기여율은 각각 95.64%, 2.78%로 나타났고 백미의 PCA1 및 PCA2 값 기여율은 각각 81.18%, 13.85%로 나타났다. 백미보다는 현미의 저장기간에 따른 향기패턴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두 시료 모두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시료의 PCA1값이 음의 방향으로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쌀의 지방산가는 크게 증가하고 향기패턴이 변화하며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쌀의 품질을 판별하는데 있어서 SMart Nose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진 자료를 활용한다면 기존의 방식들보다 더 용이하게 쌀의 품질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quality of the brown rice (BR) and milled rice (MR) during storage. To assess quality, BR and MR were analysed by their fat acidity and flavor pattern using a SMart Nose$^{(R)}$. BR was stored for 30 days at $30^{\circ}C$, and analysed a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저장조건에 따른 쌀의 지방산가와 SMart Nose를 활용한 쌀의 향기패턴을 구별 및 비교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저장조건과 생산년도에 따른 쌀의 지방산가와 향기 패턴이 차별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현미 및 백미를 이용하여 시료의 저장기간에 따른 향기패턴의 차이를 알아보고, 지방산가와 비교하여 현미 및 쌀의 품질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미 및 백미를 이용하여 시료의 저장기간에 따른 향기패턴의 차이를 알아보고, 지방산가와 비교하여 현미 및 쌀의 품질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정도는 무엇인가? 현미는 최외각 층인 왕겨만이 벗겨진 것으로서 현미 그 상태로 혹은 도정과정을 거쳐 백미로 가공하여 이용한다(1). 쌀의 도정과정 중 미강의 제거정도는 도정도(degree of milling)로 나타내는데, 도정도는 현미중량에 대한 미강의 중량비로서 쌀의 품질은 물론 도정수율(milling yield)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2). 벼 저장 중 일어나는 물리적 변화로는 도정수율 및 흡수율의 저하, 취반 시 팽창용적의 증가, 미반립의 경화 및 광택감소 등이 있으며, 화학적 변화로는 지방산과 아밀로오스 복합체 형성에 의한 전분의 용해도 및 팽윤력 감소, 산도 변화, 불포화지방산의 자동산화에 의한 고미취의 주성분인 hexanal 등 카르보닐 화합물의 증가 및 단백질의 용해도 감소 등의 변화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3,4).
현미 및 백미를 이용하여 시료의 저장기간에 따른 향기 패턴의 차이를 분석했을 때 그 결과는? 현미는 $30^{\circ}C$ 항온기에 넣고 30일간 저장하면서 5일 간격으로 각 시료를 채취하였고 백미는 저장기간의 차이를 두기 위해 생산 년도에 따라 시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현미와 백미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지방산가가 크게 증가하여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장기간에 차이를 둔 현미 및 백미의 향기패턴 변화를 SMart Nose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현미와 백미사이에 휘발성 향기성분의 감응도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다양한 변수들의 판별력에 가장 차별성을 높게 표현하는 18종류(41~81 amu)의 질량을 선택하여 주성분 분석 결과 현미의 PCA1 및 PCA2 값 기여율은 각각 95.64%, 2.78%로 나타났고 백미의 PCA1 및 PCA2 값 기여율은 각각 81.18%, 13.85%로 나타났다. 백미보다는 현미의 저장기간에 따른 향기패턴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두 시료 모두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시료의 PCA1값이 음의 방향으로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쌀의 지방산가는 크게 증가하고 향기패턴이 변화하며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쌀의 품질을 판별하는데 있어서 SMart Nose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진 자료를 활용한다면 기존의 방식들보다 더 용이하게 쌀의 품질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벼 저장 중 일어나는 물리적 변화는? 쌀의 도정과정 중 미강의 제거정도는 도정도(degree of milling)로 나타내는데, 도정도는 현미중량에 대한 미강의 중량비로서 쌀의 품질은 물론 도정수율(milling yield)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2). 벼 저장 중 일어나는 물리적 변화로는 도정수율 및 흡수율의 저하, 취반 시 팽창용적의 증가, 미반립의 경화 및 광택감소 등이 있으며, 화학적 변화로는 지방산과 아밀로오스 복합체 형성에 의한 전분의 용해도 및 팽윤력 감소, 산도 변화, 불포화지방산의 자동산화에 의한 고미취의 주성분인 hexanal 등 카르보닐 화합물의 증가 및 단백질의 용해도 감소 등의 변화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3,4). 지금까지 쌀의 연구를 살펴보면, 저장조건별 쌀의 저장 중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쌀의 성분과 물리적 성질에 관한 연구, 쌀의 품종별에 따른 전분 및 취반 특성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2,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i YH, Kim SL, Jeong EG, Song J, Kim JT, Kim JH, Lee CG. 2008. Effects of low-temperature storage of brown rice on rice and cooked rice quality. Korean J Crop Sci 53: 179-186. 

  2. Yoon DH, Kim OW, Kim H. 2007. The quality of milled rice with reference to whiteness and packing condition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4: 18-23. 

  3. Villareal RM, Resurreccion AP, Suzuki LB, Juliano BO. 1976.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during storage. Starch 28: 88-94. 

  4. Yelandur M, Indudhara S, Chakrabhavi MS, Bhattacharya KR. 1978.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with aging. J Sci Food Agric 29: 627-639. 

  5. Moon GS, Kim MJ, Jin MH, Kim SY, Park SY, Ryu BM. 2010.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rice stored in an unused tunnel.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220-228. 

  6. Choi YH, Choung JI, Cheong YK, Kim YD, Ha KY, Ko JK, Kim CK. 2005. Storage preiod of milled rice by packaging materials and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Preserv 12: 310-316. 

  7. Kum JS, Lee CH, Haek KH, Lee SH, Lee HY. 1988. Influence of cultivar on rice starch and cooking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365-369. 

  8. Kim JY, Jang JS, Lee JW, Lee KT. 2008. Flavor pattern analysis of imported wines using electronic nose system.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14-21. 

  9. Son HJ, Kang JH, Hong EJ, Lim CL, Choi JY, Noh BS. 2009. Authentication of sesame oil with addition of perilla oil using electronic nose based on mass spectrometry.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609-614. 

  10. Noh BS, Ko JW. 1997. Discrimination of the habitat for agricultural products by using electronic nose. Food Engineering Process 1: 103-106. 

  11. Lim CL, Son HJ, Hong EJ, Noh BS. 2008.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of beef using electronic nose based on mass spectrome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717-720. 

  12. Hong EJ, Son HJ, Kang JH, Noh BS. 2009. Analysis of binding trimethylamine with rice-washed solution using electronic nose based on mass spectrome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09-514. 

  13. AACC. 1983.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8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p 1-2. 

  14. Sauer DB. 1992. Storage of cereal grains and their products (Monograph Series). 4th ed. AACC publisher, St. Paul, MN, USA. p 108-218. 

  15. Juliano BO. 1985.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Monograph Series 4) . 2th ed. AACC publisher, St. Paul, MN, USA. p 25-27. 

  16. Han JG, Kim K, Kang KJ, Kim KK. 1996. Shelf-life prediction of brown rice in laminated pouch by n-hexanal and fatty acid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643-648. 

  17. Ohtsubo K, Yanase H, Ishma T. 1987.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fat acidity in rice-relation between quality change of rice during storage and fat acidity determined by improved Duncombe method. Rep Natl Food Res Inst 51: 59-65. 

  18. Kim HI. 2004.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rice cultivars in term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I)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rice by NIR and Chemical Analysi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135-144. 

  19. Yoon DH, Kim OW, Kim H. 2007. The quality of milled rice with reference to whiteness and packing condition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4: 18-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