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압밀이 오염물질 이동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Long-Term Effect of Consolidation on Contaminant Transport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7 no.1, 2011년, pp.35 - 40  

이장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김도윤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박재우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저 또는 해저 퇴적오염물질 처리 및 제거는 준설과 매립에 의해 활발히 진행되었다. 그러나 준설과 매립은 준설과정에서 발생하는 퇴적오염물질의 교란, 매립지 선정문제, 고비용 공사비 등으로 인한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협소한 지역의 퇴적오염물질에 대해서는 오염물질의 용출 저감을 위한 현장 캡핑이 근래 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장 캡핑에 따른 오염물질 이동에 관해서는 분자확산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으로 해석되어 왔으나, 근래 들어 보다 정확한 모사를 하기 위하여 이류-확산을 복합적으로 해석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퇴적물은 초기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sludge)상태로 비교적 적은 상재하중과 자중에 의한 압밀이 발생하고, 압밀 과정에서 발생한 간극수 흐름의 변화는 오염물질의 이류에 의한 이동에도 영향이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수행된 압밀 과정에서 오염물질의 이동뿐만 아니라 압밀 후 간극비의 감소에 따른 오염물질 이동의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edging and disposal is a conventional method to remove contaminated sediment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dredging and disposal, such as disturbance of contaminated sediments, disposal site determination, and high construction cost. Recently, in-situ capping which overcomes the problem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지금까지는 압밀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이동에 관한 영향에 대해서만 집중적 연구가 진행 되었고, 압밀 후 장기적 오염물질 이동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압밀이 오염물질 이동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수치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복합층의 구분은 오염 유무에 의해 결정되고, 압밀 해석에 필요한 물성치는 전체 복합층에서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하저 또는 해저로 유입되는 지하수 흐름의 특성을 고려하여 압밀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복합층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지하수가 이동한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장 캡핑이란? 현장 캡핑은 기존 퇴적층 위에 오염되지 않은 새로운층의 모래, 퇴적토, 또는 자갈과 같은 재료를 포설하여 오염물질이 상부 수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기술로서, 오염된 퇴적물을 상부수층과 물리적으로 분리하거나 퇴적토를 안정화하여 유해물질이 저서생물 또는 상부 수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의 현장 캡핑이 사용될 경우, 분자확산(diffusion)에 의한 오염물질의 거동만 주로 해석되었다.
협소한 지역의 오염퇴적토에 대해서 오염물질의 용출 저감을 위한 현장 캡핑(in-situ capping)이 근래 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유는? 세계적으로 환경문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하저 또는 해저 오염퇴적토 처리 및 제거가 큰 이슈가되었다. 오염퇴적토 처리 기법으로 준설 및 매립에 의한 방법이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는 있지만, 준설과정에서 발생하는 퇴적층의 교란, 매립지 선정문제, 고비용 공사비 등으로 인한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협소한 지역의 오염퇴적토에 대해서는 오염물질의 용출 저감을 위한 현장 캡핑(in-situ capping)이 근래 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압밀에 의한 오염물질 이동 해석의 필요성은 언제 등장하였는가? 압밀에 의한 오염물질 이동은 하중 작용시 발생하는 과잉간극수압으로 인한 동수경사로 시간에 따라 간극수의 흐름에 변화가 발생하는 것이 기존의 오염물질 분자확산으로 인한 이동과 가장 큰 차이점이다. 압밀에 의한 오염물질 이동 해석의 필요성은 1990년대 중반부터 수행된 원심재하장치(geotechnical centrifuge)를 이용한 실내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압밀이 오염물질의 이동을 가속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등장하였다(Potter et al. 1994 and 1997; Moo-Yo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이장근 (2008), "Numerical study of contaminant transport coupled with large strain consolidation," 한국농공학회논문집, 제50권, 제2호, pp.45-52. 

  2. Alshawabkeh, A.N., Rahbar, N., Sheahan, T.C., and Tang, G. (2004), "Volume change effects on solute transport in clay under consolidation," Advance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with Emphasis on Dams, Highway Material, and Soil Improvement, Geotechnical Practice Publication No.1, K. Alshibli, A. I. H. Malkawi, M. Alsaleh,eds., ASCE, pp.105-115. 

  3. Alshawabkeh, A.N., and Rahbar, N. (2006), "Parametric study of one-dimensional solute transport in deformable porous media."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eering, Vol. 132, No,8, pp.1001-1010. 

  4. Altfelder, S., Streck, T., Maraqa, M.A., and Voice, T.C. (2001), "Nonequilibrium sorption of dimethylphthalate-compatibility of batch and column technique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Vol.65, pp.102-111. 

  5. Chen, W. and Wagenet R.J. (1997), "Desription of atrazine transport in soil with heterogeneous nonequilibrium sorption,"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Vol.61, pp.360-371. 

  6. Fox, P.J. (2007a), "Coupled large strain consolidation and solute transport I: Model development." Jounr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33, No.1, pp.3-15. 

  7. Fox, P.J. (2007b), "Coupled large strain consolidation and solute transport II: Model verification and simulation results." Jounr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33, No.1, pp.16-29. 

  8. Fox, P.J., and Lee, J. (2008), "Model for consolidation-induced solute transport with nonlinear and nonequilibrium sorp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omechanics, Vol.8, No.3, pp.188-198. 

  9. Gibson, R.E., Schiffman, R.L., and Cargill, K.W. (1981), "The theory of one-dimensional consolidation of saturated clays, II. Finite non-linear consolidation of thick homogeneous layers,"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Ottawa, Canada, Vol.18, pp. 280-293. 

  10. Lee, J. (2007),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f Consolidation-Induced Solute Transport, Ph.D. Thesis, Ohio State University, pp.123-186. 

  11. Lee, J., and Fox, P.J. (2009), "Investigation of consolidation-induced solute transport. II: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ult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35, No. 9, pp.1239-1253. 

  12. Moo-Young, H., Myers, T., Tarby, B., Ledbetter, R., Vanadit-Ellis, W., and Kim, T.-H. (2003), "Centrifuge simulation of the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capped marine sediments beds," Engineering Geology, Vol.70, pp.249-258. 

  13. Peters, G.P. and Smith, D.W. (2002), "Solute transport through a deforming porous medium," International Journal for Numerical and Analytical Methods in Geomechanics, Vol.26, No.7, pp. 683-717. 

  14. Potter, L.J., Savvidou, C., and Gibson, R.E. (1994). "Consolidation and pollutant transport associated with slurried mineral waste disposal," Proceedings, 1st International Congresson Environmental Geotechnics, W. D. Carrier III ed., Canada, pp.525-530. 

  15. Potter, L.J., Loroy, J J.C., Soga, K., Savvidou, C. and Gibson, R.E. (1997), "Mineral waste disposal - Numerical and centrifuge modeling," Proceedings,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Germany, pp.1847-1852. 

  16. van Genuchten, M.Th. and Wagenet, R.J. (1989), "Two-site/ tworegion models for pesticide transport and degradation: theoretical development and analytical solution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Vol.53, pp.1303-13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