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간호학생을 위한 수술간호 e-Learning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e-Learning Program in Operating Room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1, 2011년, pp.36 - 46  

박은희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  황선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actice in operating room nursing and to examine the learning effects. Methods: Based on content and need analysis, 9 learning modules were developed for nursing care in operating rooms and with operating equipment.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a quasi- experimental pretest-posttest cont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대상자에게 본 연구목적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한 후 서면동의한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다. 또한 대상자가 원하는 경우 언제든 프로그램 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공지하고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소정의 선물을 증정하여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감사를 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 대상자의 선별은 연구자와 전혀 교류가 없는 학교와 대상자를 선정하여 연구자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 또한 대상자가 원하는 경우 언제든 프로그램 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공지하고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소정의 선물을 증정하여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감사를 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 대상자의 선별은 연구자와 전혀 교류가 없는 학교와 대상자를 선정하여 연구자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대상자의 수는Cohen의 공식에 따른 표본수 계산프로그램인 G* Power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 수술간호에 대한 웹기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했던 주요 목적은 간호학생들이 수술방법 및 수술 전후 간호, 수술실 전반에 대한 지식 함양을 통해 외과계 질환 대상자들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함이었다. 수술간호 실습 지원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에서 가장 힘들었던 부분은 수술 간호 관련 학습영역의 범위와 구성에 대한 것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의 수술간호 실습지원을 위해 수술간호 최신지견과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가 포함된 총 280분 분량의 16개 차시로 구성된 9개의 e-Learning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3년제 간호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수술간호 학습모듈을 1주간의 임상실습 동안 병행 학습한 실험군이 기존의 임상실습만을 한 대조군보다 수술간호 관련 지식과 학습동기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차이는 없었다.
  • 하지만 학습 후 학습영역에 대한 출석률을 분석한 결과 수술 동영상은 대부분의 실험군 학생들이 접속, 학습을 하여 수술과정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간호 교육의 차별화를 시도하고자 접하기 힘든 다양한 수술 장비와 수술 방법, 그리고 내시경 사용 사례 등에 대한 동영상을 포함하려다 보니 연구목적에 대한 설명을 각 진료 부서별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동영상 촬영의 경우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는 수술실 환경 때문에 비디오촬영 전문가 대신에 본 연구자가 두 달에 걸쳐 직접 동영상 촬영 및 사진 자료 수집을 위해 수술실을 방문해야 했고 자료의 질을 위해 여러 차례에 걸쳐 재촬영을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의 수술간호 임상실습 지원을 위한 수술간호 e-Learning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간호학생의 수술간호 관련 지식,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및 학습동기 정도를 기존의 임상실습 교육을 받은 간호학생과 비교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 수술간호 e-Learning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은 실험군 대상자들이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본 연구자에게 승인을 요청하면 승인하여 교육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실습 1주 전부터 웹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해 실습 전 사전학습이 가능하게 하였고, 수술실 실습 동안에도 개방하여 매일 자신이 접한 수술실 환경이나 수술에 대해 e-Learning을 통한 재확인기회를 제공해 교육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이 개방된 2주 동안 시간이나 횟수의 제약은 없었고, 언제든지 자신이 필요한 교육영역은 스스로 자유롭게 학습을 이수하도록 격려하였고, 수술실 임상실습 종료와 함께 학습종료가 됨을 알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부 간호교육에서의 임상실습은 어떤 의의를 가지는가? 학부 간호교육에서의 임상실습은 학생들이 대학에서 습득한 이론을 실무 상황에 적용하고 각 임상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습득한다는 측면에서 매우중요한 교육과정이다. 그러나 간호학생들은 임상실습 동안 실무현장에서 직면하는 지식과 기술부족, 임상수행력 미숙, 낯선 상황과 인간관계에서 오는 무력감, 불안, 스트레스 등의 수많은 부정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ark, Hwang, & Choi, 2003; Sharif & Masoumi, 2005).
수술간호 임상실습은 다른 실습과 어떤 점에서 크게 다른가? 특히 수술간호 임상실습은 수술실 내에서의 필수적인 절차와 정책을 따라야하고, 마취로 인해 의식이 없는 환자의 안전, 보호 및 지지를 함께 시행해야 하는 특수성이 있어 일반 병동실습과는 매우 다른 성격을 가진다(Willemsen-McBride, 2010). 또한 외과간호 전반의 기초지식을 갖추기 위한 수술방법의 이해, 기구 관련 지식, 수술에 참여하는각 진료과의 특성 이해, 간호수기의 습득 및 수술간호와 병동간호를 유기적으로 연계해 통합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어려움이 존재한다(Kim,Kim,& Hwang, 2005).
충분한 수술간호 관련 임상실습 경험이 쌓이지 못하는 원인은 무엇으로 보는가? 8%나 되는 등 충분한 수술간호 관련 임상실습 경험을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ho & Kwon, 2007). 이러한 원인으로는 임상실습 장소의 다양화로 인한 실습지도 교수의 업무과중과 실습지도 시간의 부족(Lee, 2007), 그리고 쉽게 접근하기 힘든 특수한 수술실 환경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이 임상교수의 적극적인 참여를 가로막아 효과적인 수술간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고 있다(Cho & Kwon, 2007; Moon, 1999). 또한 수술간호 분야는 병원 내 핵심부서로서 최근 외과적 치료분야의 발전 등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Kim, H.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n, I. S., Lee, K. H., Jeon, S. Y., Chung, S. K., Kim, K. A., & Park, J. S. (2000). Development of multimedia education program for newly employed nurses in the operating roo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6(4), 73-85. 

  2. Billings, D. M. (2000). A framework for assessing outcomes and practices in web-based courses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9(2), 60-67. 

  3. Cho, M. H., & Kwon, I., S. (2007).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 143-154. 

  4. Choi, J. S., & Eun, Y. (2006). A study on the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clinical ladder of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 60-69. 

  5. Choi, K. B., & Kim, J. S. (2009).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reduction of physical restraint use by caregivers in geriatric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769-780. 

  6. Gresty, K., Skirton, H., & Evenden, A. (2007). Addressing the issue of e-learning and online genetics for health professionals. Nursing & Health Science, 9(1), 14-22. 

  7. Guglielmino, P. J. (1997).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Georgia University: Georgia. 

  8. Jang, H. J. (1996).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coursewear for inje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9. Jang, H. Y. (2007). Analysis of core nursing intervention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perceived by operating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0. Jang, K. S., Hwang, S. Y., Park, S. J., Kim, Y. M., & Kim, M. J. (2005). Effects of a web-based teaching method 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learning of electrocardiograph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44, 35-39. 

  11. Keller, J. M. (1994). Motivation design of instruction in CM Reigeluth (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Retrieved May 25, 2010, from http;//www.arcsmodel.com 

  12. Kim, H. Y. (2010). Developing and verifying validity of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operating room nurses. Unpublished docto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3. Kim, J. S. (2010). Development and effect of a web-based child health care program for the staff at child day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223-224. 

  14. Kim, J. S., Kim, M. S., & Hwang, S. K. (2005). Development of an e-learning education program for preventing nursing errors and adverse events of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7, 697-707. 

  15. Kim, S. Y., Choi, S. S., Kim, Y. H., Kwag, W. H., Kim, M. S., & Hyun, M. S. (2004).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arning orientation program for new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Research, 10(1), 97-109. 

  16. Kim, S. Y., & Ju, S. J. (2006). The study of e-learning status in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 86-94. 

  17. Kim, Y. H. (2010). Effects of utilizing animation prior to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ness in stud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17, 240-248. 

  18. Park, J. H., Lee, E. H., & Bae, S. H. (2010).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in e-learn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182-190. 

  19. Park, K. S., Hwang, Y., Y., & Choi, E., H. (2003). The study of the nursing students' lived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at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5, 373-381. 

  20. Lee, M. J. (2007). Effectiveness of hands-on education for nursing conducting clinical practice in operation roo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Seongmam. 

  21. Matsuda, Y., Takeuchi, T., Takahashi, Y., Ozawa, K., Nishimoto, Y., & Terauti, H. (2006). Studies in Health Technology and Informatics, 122, 811-816. 

  22. Moon, Y. S. (1999). Consideration of education efficacy and practice satisfaction on operating room clinical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3. Sharif, F., & Masoumi, S. (2005). A qualitative study of nursing student experiences of clinical practice. BMC Nursing, 4, 1472-6955. 

  24. So, H. S., Bae, Y. S., Kim, Y. O., Kim, S. M., Kang, H. Y., Choi, J. Y., et al. (2008). Development of web-based multimedia contents for the critical care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through inter-college collabor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 778-790. 

  25. Sung, Y. H., Kwon, I. G., Hwang, J. W., & Kim, J. Y. (2005). Development of an e-learning program about medication for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113-1124. 

  26. Tse, M. M., Pun, S. P., & Chan, M. F. (2007). Pedagogy for teaching and learning cooperatively on the web: A web-based pharmacology course. Cyberpsychology Behavior, 10(1). 32-37. 

  27. Willemsen-McBride, T. (2010). Preceptorship planning is essential to perioperative nursing retention: Matching teaching and learning styles. Canadian Operating Room Nursing Journal, 28(1), 8-16. 

  28. Yi, Y. J. (200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e-learning orient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dapting to clinical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 593-602. 

  29. Yoo, K. Y. (1998). Demographic and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to adults' self-direction in learning. Korean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4(1), 119-149. 

  30. Yoo, M. S. (2001). The effectiveness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 nursing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7, 94-1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