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umber stabilization exercise and a general physiotherapy program for caregivers with chronic low back pain. Sixteen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for either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r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요통이 자주 발생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요부안정화를 증진시키는 요부안정화 운동군과 열·전기 치료를 하는 보존적 물리치료 군으로 나누어 어떤 치료가 더 효과가 있는지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만성요통을 지닌 요양보호사 16명을 대상으로 요통과 관련된 일반적 특성, 의학적 특성, 시각상사척도, 오스웨스트리 요통장애지수, 체간기능검사, 롤란드‐모리스 장애평가, 우울증 척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 및 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후 요부안정화 운동 군과 보존적 물리치료 군에 각각 8명씩 무작위로 할당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8주 동안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만성요통을 호소하는 요양보호사들에게 요부안정화 운동 군과 보존적 물리치료 군을 나누고 8주간 주 5회 각각의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VAS, ODI, BPS, RMDQ, BDI의 측정을 통해 어떤 프로그램이 만성요통에 효과적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요부안정화 운동군에서는 모든 측정방법에서 실험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부신전근강화운동은 어떤 효능이 있는가? 하지만이상의방법들은단순히유연성증가나근력강화에만 초점을 두어 불필요하게 역학적 스트레스의 증가를 가져와 요통개선에 있어 그 효과는 떨어진다고 지적되었다(형희경, 2006). 이에 척추에 안정성을 향상시켜주는 것이 치료와 재발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많은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는데 (Luoto 등, 1998), Risch 등(1993)은 만성요통환자들의 요부신전근강화운동은요부신전근력을강화시키며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킨다고 하였다.
만성 요통의 치료와 관리를 위한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그리고 요통을 경험하는 환자의 약 85%는 발병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anjabi, 2003). 만성 요통의 치료와 관리를 위해 수술요법, 약물요법, 보존적 치료요법, 운동요법 등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기존치료법이가지고있는비효율성과비경제성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윌리암스 운동(Williams exercise), 맥킨지 운동(McKenzie exercise), 신장운동, 유산소운동, 수중운동, 요가운동 등 다양한 운동치료 방법들이 개발 적용되고 있다.
요통의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하지만 요통은 재발률이60%나되어(Hides 등, 1996), 치료비용이 많이 드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김정룡, 1996). 그 원인은 신체적, 심리적 그리고 사회적 요인 등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다(Andersson 등, 1983; Deyo와 Tsui–Wu, 1987; Troup 등, 1984; Waddell, 1987). 그리고 요통을 경험하는 환자의 약 85%는 발병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anjabi,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고대식. 요부안정화운동에 따른 산업체 만성요통환자의 운동능력 및 통증의 변화.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2. 곽명숙.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불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3. 김동욱.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4. 김명준. 안정화운동이 퇴행성디스크 환자의 요부 위치감각 인지력과 불안 정 및 근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5. 김선진.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노인장기요양보험 시범사업지 역 중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6. 김정룡. 3차원 동작분석에 의한 요통환자의 정량적 진단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1998;17(2):11-23. 

  7. 남건우, 김종순. 개방형 현미경적 요추간판제거술 후 동적 요부안정화 운동에 따른 체간 안정성의 개선과 유지. 대한정형물리치료학회지. 2005:11(1):37-48. 

  8. 박미애, 이석민, 송창호. 요부안정화운동이 요통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2005;16(6): 329-340. 

  9. 박정율. 만성요통의 진단과 치료. 가정의학회지. 2001;22(9):1349-1358. 

  10. 오영필. 요양보호사 직무만족이 요양서비스 태도에 미치는 영향. 탐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1. 유재응, 정은하. 만성요통 환자의 우울수준과 통증감소에 미치는 전통적 물리치료의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1;13(3):677-683. 

  12. 이민규, 이영호, 박세현, 손창호, 정영조, 홍성국, 이병관, 장필립, 윤애리. 한국판 Beck 우울척도의 표준화 연구I: 신뢰도 및 요인 분석. 정신병리학. 1995:77-95. 

  13. 이영호. 귀인양식, 생활사건, 사건 귀인 및 무망감과 우울의 관계: 공변량 구조 모형을 통한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3. 

  14. 허진강, 송재철, 노영만 등. 만성 요통근로자의 능동적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대한산업의학회지. 2005;17(1):44-57. 

  15. 형희경. 만성요통 여성 노인에 대한 요부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 

  16. Andersson GB, Svensson HO, Oden A. The intensity of work recovery in low back pain. Spine (Phila Pa 1976). 1983;8:880-884. 

  17. Beck AT.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Harper and Row. 1967. 

  18. Beurskens A, de Vet H, Koke AJ, et al,. Measuring the functional status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four disease-specific questionnaires. Spine (Phila Pa 1976). 1995;209:1017-1028. 

  19. Brodie DJ, Burnett JV, Walker JM, et al. Evaluation of low back pain by patient questionnaires and therapist assessment.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0;11: 519-29. 

  20. Cooper RG, St Clair, Forbes W, et al. Radiographic demonstration of paraspinal muscle wasting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Br J Rheumatol. 1992;31:389-394. 

  21. Deyo RA, Tsui - Wu YJ. Descriptive epidemiology of low back pain and its medical care in the United States. Spine (Phila Pa 1976). 1987;12(3):264-268. 

  22. Fairbank JC, Couper J, Davies JB, et al. The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questionnaire. Physiotherapy. 1980;66(8):217-273. 

  23. Hides JA, Richardson CA, Jull GA. Multifidus recovery is not automatic following resolution of acute first episode of low back pain. Spine (Phila Pa 1976). 1996;21(23):2763-2769. 

  24. Jensen MP, Chen C, Brugger AM, et al. Interpretation of visual analogue scale rating and change score: A reanalysis of two clinical trials of post-operative pain. J Pain. 2003;4(7):407-414. 

  25.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FA, Davis. 1989:325, 336, 429-471. 

  26. Koumantakis GA, Watson PJ, Oldham JA. Trunk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plus general exercise versus general exercise onl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atients with recurrent low back pain. Phys Ther. 2005;85(3):209-225. 

  27. Kuukkanen T, Malkia E. Musclar performance after a 3month progressive physical exercise program and 9 month follow-up in subjects with low back pain: A controlled study. Scand J Med Sci Sports. 1996;6(2):112- 121. 

  28. Long DM, BenDebba M, Torgenson WS. Persistent back pain and sciatic in the United States: Patient characteristics. 1996;9(1):40-58. 

  29. Luoto S, Alto H, Taimela S, et al. One footed and externally disturbed two-footed postural control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nd healthy control subjects: A controlled study follow-up. Spine (Phila Pa 1976). 1998;23:2089-2090. 

  30. Mayer TG, Vanharant H, Gatchel RJ, et al. Comparison of CT scan muscle measurements and jsokinetic trunk strength in postoperative patients. Spine (Phila Pa 1976). 1989;1433-1436. 

  31. McDowell I, Newell C.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 the questionnaires. Oxford University Press Inc. 1987:239-241. 

  32. McGill S, Juker D, Kropf P. Quantitative intramuscular myoelectric activity of quadratus lumborum during a wide variety of task, Clin Biomech (Bristol Avon). 1996;11(3):170-172. 

  33. McGill SM. Low back exercise: Evidence for improving exercise regimens. Phys Ther. 1998;78(7):754-765. 

  34. Nadler SF, Malanga GA, Feinberg JH, et al. Relationship between hip muscle imbalance and occurrence of low back pain in collegiate athletes: A prospective study. Am J Phys Med Rehabil. 2001;80(8):572-577. 

  35. Ogon M, Benlder BR, Hooper DM, et al. A dynamic approach to spinal instability: part I. Sensitization of intersegmental motion profiles to motion direction and load condition by instability. Spine (Phila Pa 1976). 1997;22(24):2841-2858. 

  36. O'Sullivan PB, Phyty GD, Twomey LT, et al, Evaluation of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with radiologic diagnosis of spondylolysis or spondylolisthesis. Spine (Phila Pa 1976). 1997;22(24):2959-2967. 

  37. Panjabi MM. Clinical spinal instability and low back pain. J Electromyogr Kinesiol. 2003:13(4):371-379. 

  38. Panjabi MM. The stabilizing system of the spine: Part I. Function, dysfunction, adaptation, and enhancement. J Spinal Disorders. 1992;5(4):383-399. 

  39. Panjabi MM. The stabilizing system of the spine: Part II. Neutral zone and instability hypothesis. J Spinal Disord. 1992;5(4):390-396. 

  40. Richardson C, Hodes PW, Hides J, Therapeutic Exercise for Lumbopelvic Stabilization: A motor control approach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low back pain. 2nd ed.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Harcourt Brace and Company Limited. 2004. 

  41. Risch SV, Norvell NK, Pollock ML, et al. Lumbar strengthening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Physiologic and psychological benefits. Spine (Phila Pa 1976). 1993;18:232-238. 

  42. Roland M, Morris R. A study of the natural history of back pain, part I. The development of a reliable and sensitive measure of disability in low back pain. Spine (Phila Pa 1976). 1983;8:141-144. 

  43. Shumway Cook A, Woollacott MH. Motot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 3rd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95;119-206. 

  44. Stevens VK, Bouche KG, Mahieu NN, et al.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runk and hip muscles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 in four-point kneeling in healthy volunteers. Eur Spine J. 2007;16(5):711-718. 

  45. Strand LI, Moe-Nilssen R, Ljunggren AE. Back performance scale for the assessment of mobility related activities in people with back pain. Phys Ther. 2002;82(12):1213-1223. 

  46. Stratford PW, Binkley JM. Applying the results of self report measures to individual patients: An example using the Roland Morris questionnaire.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9;29(4):232-239. 

  47. Sung PS. Multifidi muscles median frequency before and after spinal stabilization exercise. Arch Phys Med Rehabil. 2003;84(9):1313-1318. 

  48. Troup JD. Causes,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back pain at work.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84;10:419-428. 

  49. Waddell G. A new clinical model for treatment of low back pain. Spine (Phila Pa 1976). 1987;12(7):632-64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