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제지향적 접근법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어서기 동작 시 환측다리의 체중지지비율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ask-Oriented Approach on Weight-Bearing Distribution and Muscular Activities of the Paretic Leg During Sit-to-Stand Movement in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8 no.2, 2011년, pp.18 - 26  

김원호 (울산과학대학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task-oriented approach on weight-bearing distribution and muscular activities of the paretic leg during sit-to-stand movement in 18 chronic stroke patients. Both groups were received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for 30 min/day and the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지향적 접근법이 환측다리의 체중지지비율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구체적인 목표는 신경발달치료 후 부가적으로 실시된 과제지향적 접근법(환경조절을 통한 일어서기 동작 훈련)이 일어서기 동안 환측다리의 체중지지비율과 넙다리네갈래근과 앞정강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 과제지향적 접근법을 이용한 이전의 연구들은 대부분 보행과 상지운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 중 빈번히 일어나는 일어서기 동작에 대한 과제지향적 접근방법을 개발하고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지향적 접근법을 이용한 일어서기 동작 훈련이 환측다리의 체중지지비율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 이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4주간 부가적으로 실시된 과제지향적 접근법이 일어서기 동작 동안 환측다리의 체중지지비율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그 결과, 신경발달치료 이후 과제지향적 접근법을 적용한 경우에 일어서기 동작 동안 환측다리의 체중지지비율이 향상되었지만 근활성도는 변화가 없었다.
  • 이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지향적 접근법이 환측다리의 체중지지비율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구체적인 목표는 신경발달치료 후 부가적으로 실시된 과제지향적 접근법(환경조절을 통한 일어서기 동작 훈련)이 일어서기 동안 환측다리의 체중지지비율과 넙다리네갈래근과 앞정강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 이 연구에서는 일어서기 동작 시 힘을 생성하는 주요 근육인 넙다리근과 발목의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근육인 앞정강근을 대상으로 훈련에 따른 근활성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일반 성인인 경우, 앞정강근이 먼저 수축하여 일어서기를 준비하고 이후 신체를 펴기 위해 넙다리근이 수축한다(Carr와 Shepherd, 2003).
  • 이 연구에서는 좀 더 실제 상황에 비슷하게 훈련하기 위해 일반 성인들이 흔히 사용하는 대칭적인 발 배치와 일반적인 의자 높이를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일어서는 동작 동안 가능한 빠르게 일어나고 중간에 멈춤이 발생하지 않도록 환자에게 교육하였다. 또한 건측으로 몸통이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환측다리의 체중지지비율을 높이기 위해서 막대기를 환자 어깨부위에 배치한 후 막대기에 닿지 않고 일어서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훈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어서기 동작 중 엉덩이 떼기 시기가 뇌졸중 환자에게 낙상 위험을 높이는 동작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안정적으로 일어서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관절회전력, 좁아진 지지면(두발)에 압력중심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는 능력, 그리고 환경에 따라 일어나는 전략을 수정하는 능력이 필요하다(Shumway-Cook과 Woollacott, 2007). 특히 일어서기 동작 중 엉덩이 떼기 시기는 등근육과 엉덩관절 폄근을 이용하여 굽힘모멘트를 조절하면서 좁은 지지지면으로 압력중심을 이동시켜는 시기로서 신체 평형을 유지하기가 매우 어렵다(Schultz 등, 1992). 따라서 노인뿐만 아니라 뇌졸중 환자에서 낙상위험을 높이는 동작일 수 있다(Riley 등, 1997).
안정적으로 일어서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안정적으로 일어서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관절회전력, 좁아진 지지면(두발)에 압력중심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는 능력, 그리고 환경에 따라 일어나는 전략을 수정하는 능력이 필요하다(Shumway-Cook과 Woollacott, 2007). 특히 일어서기 동작 중 엉덩이 떼기 시기는 등근육과 엉덩관절 폄근을 이용하여 굽힘모멘트를 조절하면서 좁은 지지지면으로 압력중심을 이동시켜는 시기로서 신체 평형을 유지하기가 매우 어렵다(Schultz 등, 1992).
일어서기 동작에 대한 정량적 분석방법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일어서기 동작에 대한 정량적 분석방법에는 운동형상학(kinematics), 운동역학(kinetics), 그리고 근활성도와 근육수축시점을 알아보는 방법이 있다(Carr와 Shepherd, 2003). Cristina 등(2009)은 일어서기 동작을 분석하기 근전도분석(근육활성도와 수축개시)을 실시하였고, Brunt 등(2002)도 근활성도와 수직지면반발력을 통해 체중지지 비율을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권혁철, 정동훈. 편마비 환자의 비대칭적 체중지지가 기립균형 안정성 한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0;7(2):1-19. 

  2. 남기영, 김경미, 박시운 등.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서 슬라이딩 재활기구를 이용한 하지 운동의 효과. 대한뇌졸중학회지. 2006;8(1):86-91. 

  3. 유연주, 윤태진, 은선덕. 만성편마비 환자의 재활 운동 유형이 일어서기 동작의 운동학 및 운동역학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2006;16(2):121-134. 

  4. Aruin AS, Hanke T, Chaudhuri G. et al. Compelled weightbearing in persons with hemiparesis following stroke: The effect of a lift insert and goal-directed balance exercise. J Rehabil Res Dev. 2000;37(1):65-72. 

  5. Bobath B. Adult Hemiplegia: Evaluation and treatment. 2nd ed. London, William Heinemann Medical Books Ltd., 1978:111-114. 

  6. Briere A, Lauziere S, Gravel D, et al. Perception of weight-bearing distribution during sit-to-stand tasks in hemiparetic and healthy individuals, Stroke. 2010;41(8):1704-1708. 

  7. Britton E, Harris N, Turton A. An explorator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ssisted practice for improving sit-to-stand in stroke patients in the hospital setting. Clin Rehabil. 2008;22(5):458-468. 

  8. Brunt D, Greenberg B, Wankadia S, et al. The effect of foot placement on sit to stand in healthy young subjects and patients with hemiplegia. Arch Phys Med Rehabil. 2002;83(7):924-929. 

  9. Camargos AC, Rodrigues-de-Paula-Goulart F, Teixeira-Salmela LF. The effects of foot posi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sit-to-stand movement with chronic stroke subjects. Arch Phys Med Rehabil. 2009;90(2):314-319. 

  10. Cameron MH, Monroe LG. Physical Rehabilitation: Evidence-based examinatio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St. Louis, Sauers Co., 2007:420-421. 

  11. Carr JH, Shepherd R. Movement Science: Foundation for physical therapy in rehabilitation. 2nd ed. Gaithersburg, Md, Aspen Publishers, Inc., 2000. 

  12. Carr JH, Shepherd RB.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motor skill. 1st ed. London, Butterworth-Heinemann, 2003;130-158. 

  13. Cheng PT, Liaw MY, Wong MK, et al. The sit-to-stand movement in stroke patients and its correlation with falling. Arch Phys Med Rehabil. 1998;79(9):1043-1046. 

  14. Cheng PT, Wu SH, Liaw MY, et al. Symmetrical body-weight distribution training in stroke patients and its effect on fall preven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2):1650-1654. 

  15. Cheng PT, Chen CL, Wang CM, et al. Leg muscle activation patterns of sit-to-stand movement in stroke patients. Am J Phys Med Rehabil. 2004;83(1):10-16. 

  16. Corbetta D, Sirtori V, Moja L, et al.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stroke pati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 J Phys Rehabil Med. 2010;46(4):537-544. 

  17. Cram JR, Kasman GS, Holtz J.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Maryland, Aspen, 1998:360-371. 

  18.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0;81(4):409-417. 

  19. Demura S, Sato S. Minami M, et al. Gender and age differences in basic ADL ability on the elderly: Comparison between the independent and the dependent elderly, J Physiol Anthropol Appl Human Sci. 2003:22(1):19-21. 

  20. Eng JJ. Chu KS.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t-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8):1138-1144. 

  21. Engardt M. Rising and sitting down in stroke patients. Auditory feedback and dynamic strength training to enhance symmetrical body weight distribution. Scand J Rehabil Med Suppl. 1994;31:1-57. 

  22. Etnyre B, Thomas DQ. Event standardization of sit-to-stand movements. Phys Ther. 2007;87(12):1651-1666. 

  23. Freoch B, Thomas L, Leathley M, et al. Does repetitive task training improve functional activity after stroke? A Cochran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Rehabil Med. 2010;42(1):9-14. 

  24. Janssen W, Bussmann J, Selles R, et al. Recovery of the sit-to-stand movement after stroke: A longitudinal cohort study.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0;24(8):763-769. 

  25. Lee MY, Wong MK, Tang FT, et al. Comparison of balance responses and motor patterns during sit-to-stand task with functional mobility in stroke patients. Am J Phys Med Rehabil. 1997;76(5):401-410. 

  26. Lomaglio MJ, Eng JJ. Muscle strength and weight-bearing symmetry relate to sit-to-sand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stroke. Gait Posture. 2005;22(2):126-131. 

  27. McLeod PC, Kettelkamp DB, Srinivasan L, et al. Measurements of repetitive activities of knee. J Biomech. 1975;8(6):369-373. 

  28. Mehrholz J, Wagner K, Rutte K, et al. Predictive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in hemiparetic patients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7;88(10):1314-1319. 

  29. Macer VS, Freburger JK, Chang SH, et al. Measurement of paretic-lower-extremity loading and weight transfer after stroke. Phys Ther. 2009;89(7):653-664. 

  30. Millington PJ, Myklebust BM, Shambes GM.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sit-to-stand motion in elderly persons. Arch Phys Med Rehabil. 1992;73(7):609-617. 

  31. Monger C, Carr JH, Fowler V. Evaluation of a home-based exercise and training programme to improve sit-to-stand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Clin Rehabil. 2002;16(4):361-367. 

  32. Mulroy SJ, Klassen T, Gronley JK, et al. Gait parameters associated with responsiveness to treadmill training with body-weight support after stroke: An exploratory study. Phys Ther. 2010;90(2):209-223. 

  33. Odding E. Locomotor Disability in the Elderly: An epidermiological study of its occurrence and determinants in a general population of 55 years and over. Erasmus University Rotterdam, Rotterdam, 1994. 

  34. Oh DW, Kim JS, Kim SY, et al. Effect of motor imagery training on symmetrical use of knee extensors during sit-to-stand and stand-to-sit tasks in post-stroke hemiparesis. NeuroRehabilitation. 2010;26(4):307-315. 

  35. Perry J.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New Jersey, Slack Inc, 1992:381-411. 

  36. Riley PO, Krebs DE, Popat RA. Biomechanical analysis of failed sit-to-stand. IEEE Trans Rehabil Eng. 1997;5(4):353-359. 

  37. Rocha Ade S, Knabben RJ, Michaelsen SM. Non-paretic lower limb constraint with a step decreases the asymmetry of vertical forces during sit-to-stand at two seat heights in subjects with hemiparesis. Gait Posture. 2010;32(4):457-463. 

  38. Roy G, Nadeau S, Gravel D, et al. The effects of foot position and chair height on the asymmetry of vertical forces during sit-to-stand and stand-to-sit tasks in individuals with hemiparesis. Clin Biomech. 2006;21(6):585-593. 

  39. Schenkman M, Berger RA, Riley PO, et al. Whole-body movements during rising to standing from sitting. Phys Ther. 1990;70(10):638-648. 

  40. Schultz AB, Alexander NB, Ashton-Miller JA. Biomechanical analyses of rising from a chair. J Biomech, 1992;25(12):1383-1391. 

  41. Shumway-Cook A, Woollacott M. Mobility Function: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rd ed. Philadelphia, Lippincott & Wilkins, 2007:323-325. 

  42. Soderberg GL, Knutson LM. A guide for use and interpretation of kinesiologic electromyographic data. Phys Ther. 2000;80(5):485-498. 

  43. Thuresson M, Ang B, Linder J, et al. Mechanical load and EMG activity in the neck induced by different head-worn equipment and neck postures, Int J Ind Ergon. 2005;35(1):13-18. 

  44. van Vliet PM, Lincoln NB, Robinson E. Comparison of the content of two physiotherapy approaches for stroke. Clin Rehabil. 2001;15(4):398-414. 

  45. Visintin M, Barbeau H, Korner-Bitensky N, et al. A new approach to retrain gait in stroke patients through body weight support and treadmill stimulation. Stroke. 1998;29(6):1122-1128. 

  46. Yamada T, Demura S. Influence of the relative difference in chair Sell height according to different lower thigh on floor reaction force and lower-limb strength during sit-to-stand movement. J Physiol Anthropol Appl Human Sci. 2004:23(6):197-2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