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Diospyros kaki Thunb) 또는 감부산물에서 추출한 감시럽의 혈당수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Syrup Extracted from Persimmon and Persimmon By-products on Blood Glucose Leve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5, 2011년, pp.682 - 688  

유기환 ((주)벤스랩 중앙연구소) ,  김석진 ((주)엠에스씨) ,  정종문 (수원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주요 과실 중 하나인 감과 감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럽인 PSI과 PSII의 총 탄수화물 함량,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그리고 혈당반응에 의한 혈당지수를 측정하였다. PSI과 PSII의 총 탄수화물 함량 측정결과 $70.6{\pm}0.6$, $66.6{\pm}1.6%$로 나타났으며 시판중인 감미료인 설탕, 메이플 시럽, 꿀의 $100.0{\pm}0.6$, $80.0{\pm}0.8$, $69.9{\pm}1.9%$ 탄수화물 함량보다 비교적 적은 함량의 탄수화물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총 페놀성 화합물은 포도당, 설탕, 메이플 시럽, 꿀이 $0.1{\pm}0.1$, $0.1{\pm}0.1$, $0.5{\pm}0.1$, $0.2{\pm}0.1$ mg/g을 함유하고 있으며, PSI과 PSII는 $0.3{\pm}0.1$, $0.6{\pm}0.2$ mg/g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판중인 감미료와 비슷하거나 더 많은 양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상 혈당의 mouse에 대한 PSI과 PSII의 혈당반응을 측정한 결과 급격한 혈당 증가와 감소를 보인 대조군과는 다르게 PSI과 PSII는 적은 양의 혈당 증가와 완만한 혈당 감소를 보였다. 당뇨가 유발된 SD rat에 대한 혈당반응 역시 메이플 시럽의 실험군을 제외하고 다른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PSI과 PSII는 적은 혈당 증가를 보였다.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혈당반응 실험 결과 시료섭취 30분 이내에 모든 실험군의 혈당이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가장 높은 혈당증가를 보인 꿀에 비해 PSI과 PSII의 혈당 증가가 유의적으로 적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혈당반응 면적을 통해 혈당지수를 구한 결과 PSI과 PSII의 혈당지수는 각각 51.9, 35.7로 나타났다. 감시럽은 당질 이외에 감에서 유래된 유용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또한, 동일한 탄수화물 양을 섭취하여도 혈당의 상승폭이 크지 않았으므로 이는 혈당 증가의 부담 없는 천연 감미료의 개발 및 기존 감미료를 대체하는 천연 감미료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blood glucose level and glycemic index (GI) in response to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syrup extracted from persimmon and extract of persimmon by-products. Major component analyses of persimmon syrup I (PSI, 95:5 mixture of purified persimmon syrup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뿐만 아니라 여러 유효성분이 포함된 감 또는 감의 가공 시 생기는 감껍질과 같은 부산물에서 추출되어진 감시럽을 이용한 후 당지수를 측정하여 대사증후군 환자 특히, 당뇨병 환자나 비만인 또는 비만예방을 원하는 일반인이 손쉽게 이용 가능한 경제적인 천연 감미료의 이용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버려지는 감부산물을 이용하여 감시럽을 추출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생성을 막아 환경오염의 유발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농가의 부수입을 증대시키고자 실험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뿐만 아니라 여러 유효성분이 포함된 감 또는 감의 가공 시 생기는 감껍질과 같은 부산물에서 추출되어진 감시럽을 이용한 후 당지수를 측정하여 대사증후군 환자 특히, 당뇨병 환자나 비만인 또는 비만예방을 원하는 일반인이 손쉽게 이용 가능한 경제적인 천연 감미료의 이용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버려지는 감부산물을 이용하여 감시럽을 추출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생성을 막아 환경오염의 유발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농가의 부수입을 증대시키고자 실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도당이란 무엇인가? 포도당은 탄수화물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 중 하나로 고농도의 포도당은 혈당의 상승 및 체중증가를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대사증후군의 질환, 그중에서도 특히 혈당을 조절해야 하는 당뇨병 환자에게 순수한 당질로 구성된 설탕의 섭취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껍질을 포함한 감이 함유한 페놀성 화합물의 특징은 무엇인가? 껍질을 포함한 감은 당질 이외에 여러 유효성분을 상당량 함유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 성분이 암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감에는 녹차만큼의 카테킨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감에 있는 과당 및 비타민 C와 함께 섭취하면 카테킨의 흡수율이 약 3배 정도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다(4).
감의 주성분은 무엇인가? 감은 당류와 비타민 A, C, 가용성 탄닌과 Ca, K, Mg 등 무기염류가 풍부하여 설사, 숙취제거, 기침, 기관지염, 고혈압 등에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1,2). 감의 주성분은 당질로서 약 15~16% 정도이며 주로 포도당과 과당의 함유량이 높다. 껍질을 포함한 감은 당질 이외에 여러 유효성분을 상당량 함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Park YJ, Kang MH, Kim JI, Park OJ. 1995. Changes of vitamin C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of persimmon leaf tea by processing method and extraction cond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81-285. 

  2. Young CT, How JSL. 1986.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of raw and processed fruits. Commercial fruit processing. 2nd ed. Avi Publishing Co, Westport, CT, USA. p 531-564. 

  3. Woo JY, Paek NS, Kim YM. 2005. Studies on antioxidative effect and lactic acid bacteria growth of persimmon leaf extracts. Korean J Food Nutr 18: 28-38. 

  4. Maruyama K, Sato S, Ohira T, Maeda K, Noda H, Kubota Y, Nishimura S, Kitamura A, Kiyama M, Okada T, Imano H, Nakamura M, Ishikawa Y, Kurokawa M, Sasaki S, Iso H. 2008. The joint impact on being overweight of self reported behaviours of eating quickly and eating until full: cross sectional survey. BMJ 337: a2002. doi: 10.1136/bmj.a2002. 

  5. Karlstrom B, Vessby B, Asp NG, Ytterfors A. 1988. Effects of four meals with different kinds of dietary fibre on glucose metabolism in healthy subjects and non-insulin-dependent diabetic patients. Eur J Clin Nutr 42: 519-526. 

  6. Hawks SR, Madanat HN, Merrill RM, Goudy MB, Miyagawa T. 2003. A cross-cultural analysis of 'motivation for eating' as a potential in the emergence of global obesity: Japan and the United States. Health Promot Int 18: 153-162. 

  7. Takada H, Harrell J, Deng S, Bandgiwala S, Washino K, Iwata H. 1998. Eating habits, activity, lipids and body mass index in Japanese children: the Shiratori children stud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2: 470-476. 

  8. Hotamisligil GS. 2000. Molecular mechanisms of insulin resistance and the role of the adipocyte.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4: 23-27. 

  9. Jenkins DJ, Wolever TM, Taylor RH, Barker H, Fielden H, Baldwin JM, Bowling AC, Newman HC, Jenkins AL, Goff DV. 1981. Glycemic index of foods: a physiological basis for carbohydrate exchange. Am J Clin Nutr 34: 362-366. 

  10. Riccardi G, Rivellese AA, Giacco R. 2008. Role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in the healthy state, in prediabetes, and in diabetes. Am J Clin Nutr 87: 269-274. 

  11. Foster-Powell K, Holt SH, Brand-Miller JC. 2002. International table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values. Am J Clin Nutr 76: 5-56. 

  12. Ju JE, Byon KW, Lee KA. 2007. The effects of oligosaccharid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 sponge cak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530-536. 

  13. Gutfinger T. 1981. Polyphenol in olive oils. JAOCS 58: 966-972. 

  14. Kim EJ, Lee HJ, Kim HJ, Nam HS, Lee MK, Kim HY, Lee JH, Kang YS, Lee JO, Kim HY. 2005. Comparison of colorimetric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in propolis extract produ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18-921. 

  15. Dubois M, Giller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 and related substance. Anal Chem 28: 350-352. 

  16. Lee KD, Kim JS, Bae JO, Yoon HS. 1992.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in wormwood (Artemisia montana pampan). J Korean Soc Food Nutr 21: 17-22. 

  17. Jeong HJ, Park SB, Kim S, Kim HK. 2007.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ild grape (Vitis coignetiae ) extracts depending on ethanol concent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91-1496. 

  18. Kawaguchi K, Mizuno T, Aida K, Uchino K. 1997. Hesperidin as an inhibitor of lipases from porcine pancreas and pseudomonas. Biosci Biotechnol Biochem 61: 102-104. 

  19. Cha JY, Kim SY, Jeong SJ, Cho YS. 1999. Effects of hesperetin and naringenin on lipid concentration in orotic acid treated mice. Korean J Life Science 9: 389-394. 

  20. Zeman FJ. 1991. Clinical Nutrition and Dietetics.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NY, USA. p 398-403. 

  21. Coulston AM, Hollenbeck CB. 1988. Source and amount of dietary carbohydrate in patien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op Clin Nutr 3: 17-24. 

  22. Alberti KGMM, Zimmet PZ. 1998. Defini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its complications: Part 1.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provisional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Diabet Med 15: 539-553. 

  23. Zhou SS, Li D, Sun WP, Guo M, Lun YZ, Zhou YM, Xiao FC, Jing LX, Sun SX, Zhang LB, Luo N, Bian FN, Zou W, Dong LB, Zhao ZG, Li SF, Gong XJ, Yu ZG, Sun CB, Zheng CL, Jiang DJ, Li ZN. 2009. Nicotinamide overload may play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World J Gastroenterol 15: 5674-5684. 

  24. Kilo C, Mezitis N, Jain R, Mersey J, McGill J, Raskin P. 2003. Starti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on insulin therapy using once-daily injections of biphasic insulin aspart 70/30, biphasic human insulin 70/30, or NPH insulin in combination with metformin. J Diabetes Complications 17: 307-313. 

  25. Atkinson FS, Foster-Powell K, Brand-Miller JC. 2008. International tables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values: 2008. Diabetes Care 31: 2281-2283. 

  26. Chlup R, Bartek J, ReznIckovA M, ZapletalovA J, DoubravovA B, ChlupovA L, Seckar P, Dvorackova S, Simanek V. 2004. Determination of glycaemic index of selected foods (white bread and cereal bars) in healthy persons. Biomed Papers 148: 17-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