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래시 파노라마를 활용한 웹-기반 가상야외지질답사 개발 및 활용 방안 탐색: 제주도 화산 지형을 중심으로
Developing Web-based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 by Using Flash Panorama and Exploring the Ways of Utilization: A Case of Jeju Island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2 no.2, 2011년, pp.212 - 224  

김건우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이기영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현재 야외답사는 개발된 야외 학습장의 부족과 접근의 어려움, 학급 당 학생 수의 과밀화, 거리와 시간의 문제, 그리고 비용의 문제 등으로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만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야외답사의 이점을 장점으로 살리면서 현실적인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플래시 파노라마를 활용하여 웹-기반의 가상야외지질답사를 개발하고 이를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개발된 제주도 VFT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중 고등학생들에게 화산 지형과 지질에 관한 학습을 위한 가상의 공간을 제공한다; 웹-기반으로 개발되어 학습 내용에 비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에 따라 학습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시공간적 제약과 경제적인 부담이 없고, 같은 장소를 얼마든지 반복적으로 탐구 할 수 있다; 학교급에 따라 수준별로 학습할 수 있는 활동지가 제공된다; 지형 지물의 근접 촬영 이미지, 탐구활동과 관련된 질문과 설명, 해당지역의 실제 암석의 표본 사진 및 박편 이미지 등의 다양한 보충적인 웹 콘텐츠들을 제공한다. 개발된 제주도 VFT를 과학 수업 및 비교과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지도 모형을 각각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chool science class, actual geological field trips tend to be restricted due to a number of problems including travel distance, cost, safety, and so on. Therefore, alternative way should be sought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benefits of actual field tr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3차원 가상공간에서 직접 학습 현장을 자유롭게 탐구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플래시 파노라마(Flash Panorama)를 웹과 접목한 새로운 형태의 VFT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과학 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 VFT 활용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3차원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기존에 개발된 VFT에 비해 보다 실제 현장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줄 수 있는 플래시 파노라마를 활용한 VFT를 제주도를 대상으로 개발하였다. 제주도는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것으로 화산 지형 및 여러 퇴적구조가 잘 발달되어 있어 2007년 및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지질학 관련 내용을 학습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 본 연구에서는 이 새로운 VFT를 교과 활동 및 비교과 활동에서 보다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VFT의 활용 방안과 각각에 대한 활용 모형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화산지형의 교수-학습을 위한 제주도 VFT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3차원 가상공간에서 직접 학습 현장을 자유롭게 탐구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플래시 파노라마(Flash Panorama)를 웹과 접목한 새로운 형태의 VFT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과학 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 VFT 활용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 한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제주도 VFT를 AFT를 대체하거나 AFT를 위한 사전답사로 활용뿐만 아니라 교실 수업에서의 직접적인 활용과 비교과 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VFT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성주의 인식론에 따른 지식과 배워 알게됨의 의미는? 현대 과학교육의 주도적인 패러다임인 구성주의 인식론에 따르면 지식은 환경으로부터 수동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아니라, 인식하는 개인에 의해 능동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며, 무언가를 배워 알게 된다는 것은 한 개인의 경험적 세계를 조직해 나가는 적응 과정이다(곽영순, 2001). 이것은 교실 안에서 이론에 의존하는 수업보다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연현상을 직접 관찰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해주는 것이 자연현상을 이해하고 개념화 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
플래시 파노라마를 활용하여 웹-기반의 가상야외지질답사를 개발하여 활용 방안을 탐색한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플래시 파노라마의 새로운 기술로 개발된 제주도 VFT는 가상의 공간에서 학습자들로 하여금 그들이 학습하게 될 지질학적인 자연현상의 모습을 실제 자연에서 나타나는 형태와 규모를 실제와 거의 유사하게 관찰할 수 있어 해당 현상의 이해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개발된 VFT는 그 교육적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웹-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홈페이지 안에서 원하는 공간에 비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중학생용 활동지는 관찰을 통한 현상의 이해를 중심으로, 고등학생용 활동지는 관찰과 추리를 통해 현상의 이해와 설명을 중심으로, 예비교사는 귀추적 사고를 통한 관찰에 대해 규칙을 추리하고 가설을 생성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제작하였다. 이렇게 사용자의 수준에 따라 중학생, 고등학생, 그리고 예비교사 3개 수준으로 구분하여 개발한 것은 VFT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을 자신의 수준에 맞춰서 답사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할 것이다. 셋째, 제주도 VFT는 성공적인 답사 활동을 위해 Orion(1989)의 ‘생소한 공간’의 축소를 목적으로 답사에 필요한 사전 지식들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플래시 파노라마에서는 답사 지역의 파노라마 이미지와 함께 다양한 학습 콘텐츠들(질문 및 추가 설명 창, 지형·지물의 근접 및 확대 사진, 동영상, 암석 표본의 접사 사진 및 박편사진 등)을 삽입 하여 학습자들의 답사활동을 보조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답사 공간을 관찰하기만 하는 수준을 넘어서 그 공간 내에서 다양한 탐구 활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어서 교사에게는 교재 개발의 부담을 줄여주고, 학생에게는 탐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VFT를 교과 및 비교과 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3Ps 기본 모형을 개발하였다. 3Ps를 기본 모형으로 하여 교과 활동에서는 교실의 강의식 수업과 탐구 수업 및 자유탐구, 비교과 활동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과 수학여행의 활용 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를 이용하여 VFT 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활용 방안은 학교 현장에서 실제 답사 수행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대안일 뿐만 아니라 지질학적 현상에 대한 흥미와 전지구적 소양(global literacy)을 함양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야외답사가 제한된 범위에서만 행해지는 이유는? 현재 야외답사는 개발된 야외 학습장의 부족과 접근의 어려움, 학급 당 학생 수의 과밀화, 거리와 시간의 문제, 그리고 비용의 문제 등으로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만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야외답사의 이점을 장점으로 살리면서 현실적인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곽영순, 2001, 구성주의 인식론의 이론적 배경. 한국지구과학회지, 24, 427-447. 

  2. 교육과학기술부, 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 대한교과서, 서울, 267 p. 

  3. 맹승호, 위수민, 2005, 경기도 시화호 탄도 해안과 한염 지역의 야외 지질 답사 수업모형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6, 9-27. 

  4. 박종호, 1993, 공주 지역 야외 지질 실습 자료 개발 및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7 p. 

  5. 서승조, 1990, 진주 성지공원 일대의 지질. 과학교육연구, 16, 1-20. 

  6. 오민수, 1978, 고등학교 지구과학에서 야외 지질 조사의 지도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 45-52. 

  7. 오승찬, 강대봉, 1986, 지역 단위 야외 실습장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전국과학전람회자료집제(32회), 1-25. 

  8. 이상교, 1985, 야외관찰 관측 활동이 지구과학의 학습 태도 및 학력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p. 

  9. 이창진, 홍석의, 2003, 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가상지질조사 웹 컨텐츠 개발: 제주도 송악산과 지삿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4, 172-180. 

  10. 전영호, 1996, 충북 영동 지역의 야외 지질 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3 p. 

  11. 정남식, 1994, 야외 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개념 변화. 과학교육, 352, 52-58. 

  12. 정용재, 송진웅, 2006, Peirce의 귀추법 양식을 이용한 교육대학원생들이 생성한 가설의 특징 분석. 초등과학교육, 25, 126-140. 

  13. 정원우, 서승조, 1984, 대구근교의 야외지질 실습코스(I). 경북대학교 논문집, 37, 419-425. 

  14. 조규성, 변흥룡, 2002,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과 이의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 한국지구과학회지, 23, 610-611. 

  15. 조혜경, 2008, 수학여행의 교육적 기능회복 방안.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p. 

  16. 한국지구과학회, 2000, 안면도 및 천수만 지역의 지질.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대중화사업, 2, 111 p. 

  17. 한국지구과학회, 2001, 제주도로 떠나는 자연사 여행.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대중화사업, 3, 133 p. 

  18. 한국지구과학회, 2002, 지구는 내 친구(여름 바닷가에서 해빈, 암석, 별과의 대화).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대중화사업, 4, 66 p. 

  19. 홍순관, 1993, 전곡읍 일원에 분포하는 화산암을 중심으로한 지구과학적 현상 탐구 및 교과 교육 적용에 대한 연구. 옥포 장학회 지원 연구 보고서, 104 p. 

  20. Arrowsmith, C., Counihan, A., and McGreevy, D., 2005, Development of a multi-scaled virtual field trip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geospatia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and Development using ICT, 1, 42-56. 

  21. Cowden, P.A., DeMartin, J.D., and Lutey, W.E., 2006, Stepping inside the classroom: A look into Virtual Field Trip and the constructivist educator. Retrieved March 7, 2009, from http://www.pdf-finder.com/pdf/VIRTUALFIELD-TRIPS.html 

  22. Elkins, J.T. and Elkins, N.M.L., 2006, Improving student learning during travel time on field trips using an innovative, portable audio/video system.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4, 147-152. 

  23. Elkins, J.T. and Elkins, N.M.L., 2007, Teaching geology in the field: Signigicant geoscience concept gains in entirely field-based introductory geology course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5, 126-132. 

  24. Foley, K., 2003, A virtual field trip into real technology standards. Multimedia Schools, 10, 38-40. 

  25. Folkomer, T.H., 1981, Comparison of three methods of teaching geology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29, 74-75. 

  26. Garner, L. and Gallo, M., 2005, Field trips and their effect on student achievement and attitudes: A comparison of physical versus virtual field trips to the indian river lagoon.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4, 14-17. 

  27. Hemler, D. and Repine, T., 2006, Teachers doing science: An authentic geology research experience for teacher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4, 93-102. 

  28. Hesthammer, J., Fossen, H., Sautter, M., Saether, B., and Johansen, S.E., 2002,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enhance learning in geological field trips. Journal of Geodcience Education, 50, 528-538. 

  29. Hurst, S.D., 1998, Use of “virtual” field trips in teaching introductory geology. Computers and Geosciences, 24, 653-658. 

  30. Kali, Y., 2003, A virtual journey within the rock-cycle: A software kit for the development of systems-Thinking in the context of the earth’s crust.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1, 165-170. 

  31. Kean, W.F. and Enochs, L.G., 2001, Urban field geology for K-8 teacher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9, 358-363. 

  32. Kelly, M.M and Riggs, N.R., 2006, Use of virtual environment in the geowall to increase student confidence and performance during field mapping: An example from an introductory-level field clas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4, 158-164. 

  33. Kem, E.L. and Carpenter, J.R., 1984, Enhancement of student values, interests and attitudes in earth science through a field-oriented approach.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2, 299-305. 

  34. Klemm, E.B. and Tuthill, G., 2003, Virtual field trips: Best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al Media, 30, 177-193. 

  35. Mckenzie, G., Utgard, R., and Lisowski, M., 1986, The importance of field trip.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16, 17-20. 

  36. Moore, K.E. and Gerrard, J.W., 2002, A Tour of the Tors. In Fisher, P. and Unwin, D. (eds.), Virtual Reality in Geography. Taylor and Francis, London, UK, 190-207. 

  37. Nix, R.K., 1999, Retrieved July 10, 2009, from http://www.dallas.net/~rnix/vft_text.hml 

  38. Orion, N., 1989, Development of a high school 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7, 13-17. 

  39. Orion, N., 1993,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 325-331. 

  40. Qiu, W. and Hubble, T., 2002,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virtual field trips in Geoscience Education. The China Papers, October 2002, 75-79. 

  41. Shroder, J.F., Bishop, M.P., Olsenholler, J., and Craiger, J., 2002, Geomorphology and the World Wide Web. Geomorphology, 47, 343-363. 

  42. Stainfield, J., Fisher, P., Ford, B., and Solem, M., 2000, International virtual field trips: A new direction?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24, 255-262. 

  43. Stevenson, S., 2001, Discover and create your own field trips. Multimedia Schools, 8, 40-5. 

  44. Tuthill, G. and Klemm, E., 2002, Virtual field trips: Alternatives to actual field trips. Multimedia Schools, l, 453-4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