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D 파노라마 가상 현실 기술을 이용한 지질 답사 학습 자료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 Program using 3D Panorama Virtual Reality Technique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5 no.3, 2014년, pp.180 - 191  

김희수 (공주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부안군 채석강 지역에 대한 3D파노라마 가상 현실 지질 답사 투어 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360^{\circ}{\times}180^{\circ}$ 파노라마로서 관측 지점의 모든 면을 볼 수 있고, 확대, 축소, 화면 돌리기 등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이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얻기 위해 컴파스 활용하기, 지층의 경사 등을 측정하기 위한 이동 가능한 각도기 제공, 관찰 지점의 표본에 대한 3D 관찰하기 등을 제공하였다. 또 주요 관찰 포인트에는 확대된 사진, 팝업창, 전문가 설명 등으로 학습을 도왔다. 이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학교 과학 영재반 학생 35명에게 적용해본 결과 약 85% 이상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중학교 과학과 지질학 수업 시 간접적 상황학습이 될 수 있고, 시간문제, 비용문제, 안전문제 등을 줄일 수 있는 하나의 보충적인 지질 답사 방법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geological field trip learning program using 3 Dpanorama virtual reality (PVR) techniques is developed to learn about the Chaeseokgang area located in a national park near Byeonsan-bando, Jeonbuk, Korea. The developed $360^{\circ}{\times}180^{\circ}$ PVR program can show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채석강 지역에 포함된 중학교 교육과정의 내용 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지형을 감상할 수 있는 3차원 파노라마로 구성하여 인터넷이 가능한 곳이면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사이버 투어를 하면서 학습할 수 있는 VFT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 셋째, 정리 단계는 사이버 지질 답사 결과를 토대로 탐구활동 결과와 느낀점 등을 정리하는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핵심적으로 정리할 내용 중심으로 간단한 노트를 제공하여 VFT 학습을 마무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10은 point 3에서 지층이 잘 보이는 곳에 컴파스를 위치시켜 북쪽 방향에 대한 지층의 방향을 짐작해볼 수 있도록 한 예이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컴파스는 고정시켜두고 영상을 움직여 지층이 컴파스 부근에 오도록 개발하였다.
  • 주요 관찰 내용은 경치 구경하기, 주변 지형 살피기, 지질 구조 살피기, 암석 등 특정 표본 관찰해보기 등이다. 이때 지질학적으로나 지형학적으로 특이한 모습을 보인 곳에는 그 내용을 보다 잘 확인할 수 있도록 팝업창으로 해설하기, 3D로 표본 돌려보고 확대해보기, 전문가 설명듣기, 사진으로 확대해보기 등의 버튼을 두었기 때문에 관련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의 VFT와 PVR 기술의 장점을 살려 다양한 지질학 및 지형학적인 현상을 보여주는 채석강 지역 중심으로 가상 지질 답사 투어용 자료를 개발한 다음, 중학교 과학영재들에게 적용하여 그 반응을 통해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FT를 통한 지질 학습의 장점은? 가상 지질 학습장(VFT, Virtual Field Trip)에 대한 선행 연구자들(Hurst, 1998; Qiu and Hubble, 2002; Park et al., 2008; Caliskan, 2011; Uricchio, 2011; Allison and Cuffey, 2012)의 연구 결과를 보면, VFT는 실제 자연의 지질 학습장을 인터넷 환경에 그대로 제공하고, 학습자가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고 반복 학습이 가능하며 지질 정보 뿐만이 아니라 다양하고 융합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또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VFT 프로그램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개발한 VFT 프로그램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질 답사 지역을 투어형태로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다는 점이다. 이때 학습자는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가상 투어를 할 수 있다. 둘째, 특정 관찰 지역이나 위치에 대한 정보가 팝업창, 나래이션, 확대된 사진 그리고 전문가 설명 등으로 제공된다는 점이다. 이는 단순 투어뿐만 아니라 학습을 수행해야 하는 학습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셋째, 지층의 방향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컴파스(direction compass)를 활용한 점과 지층의 경사를 측정해볼 수 있도록 하는 이동 가능한 각도계(dragable angle compass)를 활용한 점이다. 넷째, 주요 관찰 지점에서 산출된 표본을 3차원으로 돌려보고 확대해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야외 답사에서 표본의 여러 면을 자세히 관찰해야 하는 활동을 간접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우리나라 학교에서 야외 지질 답사의 현황은? , 2005; Caliskan, 2011). 그런데 우리나라 학교 현장에서 야외 지질 답사와 관련된 수업을 할 때, 지질 구조 수업은 모형실험으로, 암석, 광물, 화석 관찰 수업은 전형적인 몇가지 표본 활용 수업으로 대신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주말이나 특정 시간대를 활용하여 제한적으로 야외 학습을 수행해오고 있다(Kim and Lee, 2011). 외국의 경우에도 야외 관찰과 야외 실습은 거리, 시간, 비용, 범위, 안전성 등의 문제 때문에 어려움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Caliskan,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llison K. and Cuffey, K., 2012, Virtual field trip for introductory geoscience classes. The California Geographer, 52, 1-18. 

  2. Caliskan, O., 2011, Virtual field trips in education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5, 3239-3243. 

  3. Cho, K.S., Ryang, W.H., Shin, S.S., Oh, J.M., and Chung, D.H., 201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for geological fieldwork in Jeokbyeokgang area, Gyeokpo, Byeonsa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 658-671. (in Korean) 

  4. Dykes, J., Moore, K., and Wood, J., 1999, Virtual environments for student fieldwork using networked compon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13, 397-416. 

  5. Heo, J.H. and Lee, K.Y., 2013, The effects of flash panorama-based virtual field trips on students'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and their understanding of volcanic concept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clas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 345-355. (in Korean) 

  6. Hurst S., 1998, Use of "virtual" field trips in teaching introductory geology. Computer and Geosciences, 24, 653-658. 

  7. Kent, M., David D., and Chris O., 1997, Fieldwork in geography teaching: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pproaches.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21, 313-332. 

  8. Kim, G.W. and Lee, K.Y., 2011, Development web-based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 by using flash panorama and exploring the ways of utilization: A case of Jeju island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212-224. (in Korean) 

  9. Kim, S.B., Chough, S.K., and Chun, S.S., 2003, Tectonic controls on spatio-temporal development of depositional systems and generation of fining-upward basin fill in a strike-slip setting: Kyokpori-Fomation (Cretaceous) south-west Korea. Sedimentology, 50, 639-665. (in Korean) 

  10. Lee, J.W., 2005,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study site for geology using the olympic parks and the changes of the students' attitudes through its appli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97 p. (in Korean) 

  11. Ministry of Education, 2011, Science curriculum. Seoul, Korea, 8 p. (in Korean) 

  12. Orion, N. and Hofstein, A., 1991, The measurement of students' attitudes towards scientific field trips. Science Education, 75, 513-523. 

  13. Orion, N. and Hofstein, A., 1994,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during a scientific field trip in a natural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1097-1119. 

  14. Park, J., Carter, G., Butler, S., Slykhuis, D., and Reidgriffin, A., 2008, Re-dimensional thinking in Earth Science: Form 3-D virtual reality panoramas to 2-D contour maps. Journal of Interactive Learning Research, 19, 75-90. 

  15. Park, J.M., Ryang, W.H., and Cho, K.S., 200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ids for geological fieldwork based on Chaeseokgang area, Buan-gun, Joenbuk,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747-761. (in Korean) 

  16. Qiu, W. and Hubble, T., 2002,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virtual field trips in geoscience education. The China Papers, October, 75-79. 

  17. Ramasundaram. V., Grunwald, S., Mangeot, A., and Comerford, N.B., 2005,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al virtual field laboratory. Computer and Education 45, 21-34. 

  18. Spicer, J. and Stratford, J., 2001, Student perceptions of a virtual field trip to replace a real field trip.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17, 345-354. 

  19. Stephen, D., 1998, Use of 'virtual' field trips in teaching introductory geology. Computers & Sciences, 24, 653-658. 

  20. Tan, A., Timmermans, H., and Vries, B., 2006, Route knowledge in complex environments: An analysis of pedestrian recall using stereoscopic panoramic interactive navigation. Spatial Cognition and Computation, 6, 279-293. 

  21.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09, Weekend geological travel with family. Books Hill, Seoul, Korea, 259 p. (in Korean) 

  22. Uricchio, W., 2011, A 'proper point of view': The panorama and some of its early media iterations. Early Popular Visual Culture, 9, 225-2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